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에 코로나19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까지 15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1년 12월 9일부터 2022년 2월 21일까지 연구에 동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불안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 방법을 사용하 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취업불안은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r=.38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은 코로나19 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 생활 만족도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코로나19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두려움을 줄이고 긍정적 정서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 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piritual leadership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job crafting. Furthermore, the roles of knowledge sharing as a mediator for the impact of spiritual leadership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job crafting as a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re also examined. This research employed quantitative analysis, including the PLS-SEM approach; SMART-PLS, a measurem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effect of mediation. The population study consisted of all lecturers at the Faculty of Economics and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at the PTKIN in East Java, Indonesia, comprising 220 randomly-selected samples. The result showed spiritual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influence innovative work behavior, while knowledge sharing directly affects job crafting. The findings indicated knowledge sharing mediates the impact of spiritual leadership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role of job crafting as a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ccepted.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s a positive influence of knowledge sharing on job crafting, and indicates both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between variables, and are important for lecturers’ innovative work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