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 방식 중 하나인 Wet Cell 측정법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 해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하였다. 방 법: Wet Cell 측정용 홀더는 현재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Poster Soft Contact Lens Wet Cell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국내 제조업체의 렌즈를 함수율은 38%, 45%, 58%로 구면굴절력은 -3.00D, -7.00D, -10.00D로 분류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결 과: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Wet Cell 방식으로 콘택트렌즈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한 결과, -3.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3.41D로 45%일 경우 –3.41D로 그리고 함수율 58%일 경우 -2.63D로 각각 측정되었다. -7.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7.87D로 45%일 경우 –7.20D로 그리고 58%일 경우 -5.19D로 각각 측정되었다. 또한 -10.00D의 콘택트렌즈는 함수율 38%일 경우 –10.17D 로 45%일 경우 -10.60D로 58%일 경우 -7.33D로 각각 측정되었다. 결 론: 실험 결과, 함수율이 높을수록 Wet Cell 방식에 의한 측정값은 콘택트렌즈에 표기된 굴절력에 비 해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디옵터가 높아질수록 측정 정확도 역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Wet Cell 방식을 사용하여 망원경식 렌즈미터로 측정 시 함수율과 디옵터별로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됨 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안경렌즈 굴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렌즈미터에 대해 기존 4점 방식 자동렌즈미터 와 Shack–Hartmann 방식의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구면 안경렌즈의 굴절력을 각각 측정하고 정확도를 분석 하였다. 방 법: 실험에 사용한 안경렌즈는 임상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내 제조업체의 렌즈를 사용하였 으며, 제조사별로 A, B, C사의 안경렌즈를 구면굴절력에 따라 -5.00D, -10.00D, -15.00D로 분류하여 각 각 실험하였다. 결 과: 4점 방식 자동렌즈미터를 사용하여 구면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한 결과 -5.00D는 A사 -4.89D, B 사 -4.92D, C사 -4.97D로 측정되었으며, -10.00D는 A사 -9.94D, B사 -9.94D, C사 -9.93D, -15.00D는 A사 -14.96D, B사 -14.90D, C사 -14.92D로 각각 측정되었다. Shack–Hartmann 방식 자동렌즈미터를 이 용하여 같은 종류의 구면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한 결과 -5.00D는 A사 -5.00D, B사 -5.01D, C사 -5.02D로 측정되었으며, -10.00D는 A사 -10.00D, B사 -10.01D, C사 -10.00D, -15.00D는 A사 -15.09D, B사 -15.01D, C사 -15.08D로 각각 측정되었다. 결 론: 안경렌즈 굴절력 측정에 있어 구면렌즈의 경우 Shack–Hartmann 방식의 자동렌즈미터가 4점 방 식 렌즈미터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3.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e test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 method between conventional four point method and Hartman Shack principle applied method in digital lensmeters. Methods: The lenses tested are from the most frequently used manufacturers’ ones in Korea. The lenses are from 3 different brands with spherical power of -5.00D, -10.00D, and -15.00D. Cylinder lenses are sourced with same criteria with cylinder power of C-0.50D, C-1.25D and C-2.00D. Before making the measurement, all the sample were stored in standard saline solution for at least 30 min and maintained at standard temperature. Results: The Hartman-Shack method employed digital lensmeter showed a better accuracy performance in spherical lens value measurement, meanwhile the four points method based lensmeter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cylinder value. For the spherical cylinder combined value lenses, the Hartman-Shack method employed lensmeter performed better than four point method based lensmeter. Conclusions: As per the minus diopter spherical cylinder lenses, the Hartman Shack lensmeter showed better accuracy in spherical values and four point method based lensmeter showed better reading for cylinder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