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ll-developed listening skills are crucial to success in the marketing profession. Poor listening skills have been rated 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o salesperson failure (Ingram et al., 1992). Listening errors can result in conflicts, missed business opportunities, alienated relationships, and a waste of time and money (Bergeron & Laroche, 2009).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listening, organizations such as Pfizer, Ford, IBM have introduced listening training programs for all their personnel (Shepherd et al., 1997). A number of definitions exist for “listening” (e.g., Bergeron & Laroche, 2009). From the marketing perspective, this paper adopts a well-accepted listening definition as “the cognitive process of actively sensing, interpret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the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of present or potential customers” (Castleberry & Shepherd, 1993, p.36). Prior research ha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ctive listening” strategies such as active empathetic listening (Drollinger et al., 2006; Bodie, 2011); adaptive selling (Spiro & Weitz, 1990); and listening across cultures (Imhof & Janusik, 2006).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neither marketing students nor professionals receive coaching or instruction for situations when listening is particularly difficult – i.e., when we are required to listen carefully to another person in the presence of hindrances to communication (distractions, inattention, poor delivery). Salespeople, students, journalists, counselors … are often faced with the task of “tough listening” - when they must listen carefully to a person that is not communicating in an interesting or engaging manner, when the environment is full of distractions, or when they as listeners are fatigued. The major hindrances to effective listening have been well documented, but extant research that addresses how people might overcome those hindrances is sca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ange of strategies that people use to improve their comprehension and empathy of others when they wish to listen carefully but find it difficult to do so. The practice of effective listening is perhaps one of the most human and fundamental components of community, commerce, and culture. Several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marketing, education, communication, and psychology have closely examined the listening process in an effort to understand and improve it.
        2.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linguistic knowledge and strategy use to L2 listening success, especially in bottom-up and top-down dominant listening tasks. Participants (n = 130) were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required listening course. The tested variables for linguistic knowledge were sentence processing speed, grammar, receptive vocabulary, and productive vocabulary. Listening strategy use was measured with a metacognitive awareness listening questionnaire. We hypothesized that linguistic knowledge will make greater contributions to Bottom-Up-Listening-Comprehension (BULC) than to Top-Down-Listening Comprehension (TDLC), and different aspects of strategies will be accessed in each comprehension type due to different psycholinguistic features of the tasks. A serie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and confirmed our prediction. The unique variance explained by linguistic knowledge was 27.8% in BULC, but 22.4% in TDLC. Strategy items that address problem solving and mental transl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ULC, while items dealing with directed attention and person knowledge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TDLC.
        6,300원
        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the strategic behaviors of younger Korean students. Three Korean elementary studen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An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retrospective verbal data on listening processes as well as listening strategies, and a listening strategy questionnaire was used to gather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general listening strategic behaviors. A coded strategy report was tabulated, and the mean and percentage were used to render a strategy profile for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case, used all four groups of strategies: cognitive, compensation, metacognitive and affective strategies. However, they differed in their use of strategies within each group of strategies as well as in how often they used each type of strategies. The differences in the strategic behaviors were closely related to listening proficiency level, text difficulty and listening situation. A highly proficient participant used more strategies compared to less proficient participants. The highly proficient participant typically used top-down strategies more often. In contrast, the less proficient participants used bottom-up strategies more often. They typically relied heavily on familiar words and translation when they listened to a more difficult text. Cognitive strategies were reported the most in the interview and compensation strategies were marked as highest in the LSQ.
        6,600원
        4.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
        202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에 나타난 비동 의 화행 전략의 출현 빈도 및 구체적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전략 사용의 효용성 및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비동의 화행 전략 실현 빈도는 ‘간접 비동의 전략’, ‘직접 비동의 전략’, ‘부가 전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전략들은 다른 전략과의 결합을 통해 실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세부 전략 실현 빈도의 경우 ‘간접 비동의 전략’ 에서는 ‘설명’, ‘직접 비동의 전략’에서는 ‘완곡한 주 장’, ‘부가 전략’에서는 ‘부분 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동의 화행의 전략적 사용은 한국어 학습자의 정교한 대화 협력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능력시험에서도 실제성 이 반영된 비동의 화행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학습자들이 비동의 상황에서 성공적인 화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동의 화용 전략을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본다.
        7.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성별에 따라 영어듣기학습자가 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의 차이점과 영어듣기학습에서 사용한 듣기전략과 성별이 모의TOEIC 듣기성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설문을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모의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4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모의TOEIC을 치른 강원도 원주 소재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학습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신뢰도, 빈도분석, 평균비교,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TOEIC 듣기성적 Level Ⅱ집단이 Level Ⅰ집단보다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인지전략, 보상전략, 정의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자대학생학습자가 여자대학생학습자보다 정의적 전략을 제외한 기억전략, 인지전략, 상위 인지전략, 보상전략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상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전략들에서는 통계 적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 관계를 가지지 못하였다. 넷째, 영어듣기학습에서의 듣기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특히 인지전략과 보상전략의 사용은 모의TOEIC 듣기성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들이 TOEIC 듣기평가에서 사용하였던 듣기전략의 남녀별 사용정도 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설문을 Bacon(1990)의 듣기학습전략을 참고로 하 고,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28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2015년도에 모의 TOEIC을 치른 대학생 107명(남학생 25명과 여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생 남녀별 듣기전략의 사용정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구하였고 평균비교를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TOEIC 성취도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28개 항목에 대하여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 지전략 그리고 정의적 전략 모두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가리지 않고 남자의 듣기전략별 사용정도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전략별 선호도의 순서도 비슷하였다. 다만 세부적 전략별로 남녀 간의 선호도의 차이가 있었고, 정의적 전략의 경우에는 하위집단에서 여자의 사 용정도가 남자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