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the phonics instruction with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o literacy instruction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wo approaches on literacy skills and affective facto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eight weeks by sampling 56 fifth-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honics instruction using English stories,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ing the same English stories. The instruments included pre- and post-reading and writing English tests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d more positive effect than phonics instruction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urthermore,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of interest, self-learning attitude and recognition, whereas two sectors of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s more efficient than phonics instruction in developing learners’ literacy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6,300원
        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8학년 65명의 남학생이며, '지구와 별' 단원에 대하여 5주 동안 글로벌 과학적 소양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단기간의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학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철학적, 심리학적, 역사학적 관점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4,800원
        3.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부진아를 대상으로 반응-중재(RtI)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교육과정 기반 측정에 있어서 보편적 판별 도구인 DIBELS Next를 사용하여 본 연구의 대상자인 초등학교 1학년 학생 8명이 기준점 이하 혹은 최저점으로 판별되었고 교사들에 의해서도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위험 수준으로 확인이 되었다. 중재는 학기 시작 무렵(10월)에 이루어졌는데, RtI 수준 2의 시작에 맞는 직접교수 방법을 적용하였다. 중재는 일 주일에 2번, 40분씩 교실에서 이루어졌다. 중재는 일차 연구자인 동료 연구원에 의해 주요 교육과정 수업 이외에 EPACC와 RM-FC가 RtI 수준 2에서 이루어졌다. 일 학년 마지막에 DIBELS Next에서 얻어진 CBM 측정은 전체점수(DCS)와 하위 요인(NWF-CLS, NWF-WWR, DORF-CW, and DORF-A) 점수와 학년 평균 점수와 비교 하였고, 또한 학년 시작(10월), 중간(1월), 그리고 마지막(5월) 시점에서의 이들의 진전을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개별 학생의 점수는 진전되었고 특히 중재 기간 동안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점 및 예비교사와 교사들을 위한 시사점도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