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drologic responses to variations in storm directio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and prediction of floods and the development of watershed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the prediction of hydrologic responses to changes in storm direction is a difficult task that requires meteorological simulations and extensive computation. It is also difficult to identify the center of rotation of a storm affecting a basin of interest. Therefore, we propose a simple approach of rotating the basin position relative to the storm within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model instead of changing the pathway of the storm, which we term the Basin Rotation Method (BRM). The proposed BRM was tested on four major typhoon even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original basin orientation (i.e., before it was rotated) exhibits earlier and higher peak discharge and earlier recession compared to the basin after rotation. We conclude that the proposed method (BRM) is a viable alternative for use in assessing the directional influence of moving storms on floods caused by historical rather than hypothetical storm events.
        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개의 지표면과 그 사이에 있는 하도로 이루어진 유역을 가정하여 이동강우에 대한 유출을 운동파 이론을 적용하므로서 해석하여 다양한 강우이동속도의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동강우는 하천의 상류방향, 하류방향, 횡방향으로 0.25∼2.0m/s의 속도로 이동시켰으며, 이때 강우분포형은 균등분포형, 전진형, 지연형, 중앙집중형을 적용하였다. 횡방향 이동강우의 경우에 첨두유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류방향의 이동강우에 대한 첨두유량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강
        3.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제 유역에서 강우량 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으나 유출량 모의시에는 종종 유역내 동일한 강우량이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해석하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을 가지고 유출을 모의하게되면 그 정확성에 한계가 따르며, 태풍, 사이클론, 허리케인 등에서 종종 일어나는 이동강우의 경우에는 산출된 유출량의 정확성 문제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GIS기법을 이용하여 1999년 8월 2일 16:00에서 23:00까지 춘양관측소에서 관측된 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