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건국전쟁>이 전기영화 장르의 관습과 영웅화 서사 전략을 통해 역사적 인물인 이승만을 어떻게 형상화하는지 분석한 다. 연구는 다큐멘터리 인터뷰 시학 범주와 영웅의 여정 12단계를 결합 한 통합적 분석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 연구 결과, <건국전쟁>은 감독 의 개입, 인터뷰 기법, 아카이브 자료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이승만을 ‘건국 영웅’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특히 이승만의 생애를 단순한 연대기 적 나열이 아닌 '시련과 보상'이라는 구조적 맥락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역 사적 인물에 대한 복합적 캐릭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서사 전략은 관객 이 이승만을 '독재자'와 '건국 영웅'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 다층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정치 지도자 다큐멘터리의 공 적 기억 형성 잠재력을 조명하며, 영웅적 서사 적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사적 단순화와 불균형의 위험성을 통찰하여 역사적 인물에 대한 다층적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통해 학술적 객관성과 사실적 엄밀성을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기 반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분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내러티브 접근법을 살펴봄으로써 내러티 브 코칭의 이론적 근거와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기초 이론인 내러티브 사고방식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 을 살펴보았다. 둘째, 호 로(Ho Law)의 내러티브 코칭 이론을 중심으로 내러티브 코칭의 필요 성과 학문적 토대, 내러티브 코칭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간의 경험을 탐구하며 내러티브를 연구의 데이터로 사용하는 내러티브 방법론이 내러티브 코칭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긍정심리학, 사회학습이론, 구성주 의 발달이론이 내러티브 코칭의 학문적 토대로 적용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을 밝혔다. 특히 사람에게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으로서의 내러티브 코칭은 코치이가 근접발달 영역을 건너갈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함으로써 코치이의 잠재성을 향상시키는 공간을 마련하는 과정이 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내러티브 코칭 대화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출대화와 다시 이야기 쓰기 기법이 코치이의 삶, 가치, 신념, 자아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제공해 준다 는 것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