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근 불균형으로 인한 양안시 이상의 대표적 변수인 사위와 안근 불균형과 관련된 양안시 이상의 다른 변수간의 상호관계를 분석, 조사하여 임상에서 외사위가 있는 사 람의 진단 및 처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안근불균형과 관련된 6가지 변수를 얻기 위하여 사위검사와 융합력 검사, 주시시차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피검사자는 18명의 양안시 이상 증상을 느끼는 증상 집단과 23 명의 양안시 이상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비 증상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증상 집단과 비 증상 집단, 그리고 전체집단으로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여 사위 에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전체집단과 증상 집단에서는 Sheard’s criterion > Percival' s criterion > Y -intercept > X -intercept > Slope of F.D.C. 의 순으로 나타났고, 비 증상 집 단에 서 는 Sheard’s criterion > Percival’s criterion > Y -intercept > Slope of F.D.C. > X -intercept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검사자가 임상에서 외사위가 있는 사람을 처치할 때 쉐어드기준 (Sheard’s criterion) 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변수로 판단되며, 종합적인 진단 및 처치를 위해서는 주시시차 각 (Y -intercept) 이 부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변수로 판단 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