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천노인복지센터에서 2022년도에 경기특화사업으로 실행한 ‘융복합 재가노인 맞춤형영 양지원사업’의 연속으로 고령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집합교육 및 치과내원, 재가서포터즈단을 활용한 재택멘토링 교육 등 구강관리사업 수행 사전, 사후 측정과 비참여집단과의 비교 결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고 정성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한다. 연구대상은 포천노인복지센터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수혜자 중 사례관리를 통해 30여명을 선정하여 먼저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정규분포성으로 Shapiro-Wilk 활용 결과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10개월 사업기간 전후반에 설문을 통해 실행되었으며, 비 참여자의 경우 사업 종료후 에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실험1에서는 참여 전체집단(N=30)은 고령으로 인한 정규분포성 불안정과 소수 집단으로 비모수통계 Wilcoxon(W)로 사용 척도에 대해 사전/사후 차이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2에서 참여 틀니집단(N=17)과 비틀니집단(N=13)의 사전비교와 사후비교 차이는 동질성 Levene(F) 확인 후 두 독립표본의 Mann-Whitney(U)를 활용한 결과로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구강관리사업 참여 전체집단(N=30)과 비참여 집단(N=30)에 대한 추후 구 강보건인식 척도를 동질성 Levene(F) 확인 후 두 독립표본의 Mann-Whitney(U)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정성적인 평가로 각 단위프로그램별 진행과 성과에 대해 FGI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저소득 고령재가노인의 구강관리 인식 미흡으로 표본집단의 정규분포성이 불안정하 며 위드코로나 고려 소수 재가서포터즈단이 재택멘토링을 수행하였기에 비모수통계방식 적용 및 일 부 영가설이 기각되지 않아 효과크기(Effect Size)를 적용한 검증으로 사업에 효과가 있음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7,0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is a response to the need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silence and talk concems of participants with Asian and American backgrounds in relation to c1ass participation. Although the silence of students from Asian culture in English- dominant education has been widely di scussed in the L2 literature, a comparative approach to silence of Asian and Arnerican students in academic courses is scarce. By attempting to deconstruct dichotomizing trends of thinking about cl ass roαn silence embedded in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aims to position dialogic negotiations of differences on the fault line in 뼈tween cultures. Using data from students' essays and classroαn observation over a semester, 1 compare and contrast perceptions of oral participatioll in an L2 acadernic class. 1 discuss what common expectations both groups have regarding oral participation and the differing attitudes they have toward silence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My discussion implies the need to remap dichotornizing ideas about East versus West and to foml a pedagogically appropriate response to silence in increasingly intercultural academic commumtles.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