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riting conferences are one-on-one feedback sessions that enable teachers and students to engage in constructive interaction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While interacting individually, a teacher can use various feedback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a student’s writing. This study examined how a secondary English teacher elicited students’ self-correction of writing issues during EFL writing conferences conducted in Korean (L1) as part of a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at a Korean high school. One English teacher and five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ed in writing classes for two weeks during the winter vacation. Their conversations were video-recorded and analyzed using Conversat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 elicited the student’s selfcorrection through four key strategies: (1) metalinguistic clues, (2) building on initial corrections, (3) leveraging morphological knowledge, and (4) guiding students through a stepwise construction of sentence elements. This study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orrective feedback in secondary EFL writing conferences and offer insights for improving teacher-student feedback interactions.
        6,900원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self-correction in improving lexical stress placement among Korean English learners, a critical yet challenging feature for speakers of Korean, which lacks lexical stress contrasts. Grounded in Schmidt’s (1990) Noticing Hypothesis, the research compares the benefits of self-correction— where learners reflect on and correct their own pronunciation errors —with the shadowing technique. Forty-sev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practicing self-correction and a control group engaged in shadowing. Pre- and post-test analyses revealed that the self-correctio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particularly with trisyllabic and tetrasyllabic words, while the shadowing group showed minimal change. These findings highlight self-correction’s role in promoting learner engagement, error awareness, and deeper cognitive processing,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nunciation instruction that emphasizes learner autonomy and focused attention.
        5,8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고자장 MRI가 보급화 되면서 자장의 불균일(field inhomogeneity)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Echo Planner Image(EPI) 기법을 이용한 영상에서 균일화 과정을 통해 영상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EPI기법을 이용한 뇌 확산강조 영상 검사시, prefrontal lobe과 temporal lobe의 경우 공기와 조직 간의 경계에 있는 부위로, 자화율 차이에 따라 왜곡된 영상이 획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T2WI와 DWI를 이용하여 파라핀 적용 전·후에 따른 자장의 불균일 보정과 영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9월부터 10월까지 참여한 정상인 10명(평균 29.6±3.8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3.0T MR system(Discovery 750 scanner, GE Medical System, USA)와 16-channel head 코일을 이용하여 T2 강조영상(T2WI)과 확산강조영상(DWI)을 먼저 획득하였다. T2WI는 DWI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영상으로 사용되었다. 그런 다음 공기와 조직 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자화율 차이에 따른 자장의 불균일을 보정하기 위하여 인체 조직밀도와 유사한 파라핀을 head 코일과 검사자 머리에 부착하여 DWI를 얻었다. T2WI는 TR/TE= 6594/96msec를 사용하여 축상면 방향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때 사용된 FOV는 230×230, matrix 320×320, 2 NEX, ST 4mm로 하였고, 총 영상획득 시간은 165초였다. DWI의 영상변수로는 b-value= 1000, 0s/mm², TR/TE= 8000/62msec, FOV= 230×230, matrix= 160×160, 4 NEX, ST= 4mm로 하였으며, 이때 총 영상획득 시간은 101초였다. Image J를 이용하여 T2 강조영상(T2WI)과 확산강조영상(DWI)의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prefrontal lobe 주변의 background 표준편차와 백질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결 과 : 기준 영상인 T2WI, 파라핀 적용 전 DWI(b-value 1000), 그리고 파라핀 적용 후 DWI(b-value 1000)의 평균 면적은 각각 39,843.20±1608, 35,346.70±1978 그리고 37,862.60±1852 이었다. 파라핀 적용 전 DWI(b-value 0)와 파라핀 적용 후 DWI(b-value 0)의 평균 면적은 각각 35,541.60±1981, 38,061.60±1853 이었다. T2WI와 비교하여 개인별 면적의 오차는 적용 전보다 모두 감소하였으며, 파라핀 적용 전·후 DWI SNR 평균은 b-value 1000 45.69±21.96에서 80.42±39.31 bvalue 0 89.85±45.72에서 149.90±73.41 이었다. 파라핀 적용 후 DWI의 SNR이 파라핀 적용 전에 비해 약 1.6배에서 최대 1.8배 정도 증가하였다. 결 론 : 파라핀을 적용한 확산강조영상(DWI)은 적용 전에 비해 SNR이 증가하였으며 신호소실과 왜곡이 감소되었다. 이로 인해 T2WI 비교하여 면적의 오차가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자체 제작한 보정 물질(파라핀)은 불균일한 자장 요소를 일정 이상 보완할 수 있으며, 저비용과 더불어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고 효율적으로 영상 신호소실과 왜곡을 개선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의 지방소거 기법 중 하나인 Dixon기법은 물과 지방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위상 보정(phase correction) 과정 및 두 가지 영상을 이용한 calculation을 통해 지방소거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들보다 월등히 균일한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지만 B0,B1 민감도 즉 두개의 피사체 간격에 포함된 불균질한 부분의 따라 각각 지방-물 신호가 바뀌는 swap 현상이 발생한다. 자체 제작한 균일 보정물질을 통하여 불균일한 피사체를 보정함으로써 swap 현상을 줄여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15개 구역으로 나뉜 물과 지방이 함유된 팬텀 두 개(A, B) 가로×세로×두께 (10cm×18cm×2cm)크기와 (12cm×8cm×3cm) 크기의 파라핀을(C) 사용한 보정물질을 이용하였으며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Body coil 18Ch을 이용하였고 사용한 sequence는 2 point Dixon T2 지방소거 영상과 T1 지방소거 영상으로, T2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2200ms/ TE:78ms/ Image Matrix:259×384/ thickness: 3mm/0mm / Scan time: 2min 12sec) T1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450ms/ TE:11ms/ Image Matrix: 246×448/ thickness: 3mm/0mm/ Scan time: 2min 16sec)의 관상면 영상으로 먼저 팬텀 A와 B를 이용하여 서로 붙여서 촬영, 5cm 간격으로 촬영 10cm 간격으로 촬영하고 5cm 간격과 10cm 간격에 보정물질(C)을 두어 한번 더 촬영하였다. 영상 측정 프로그램 Image J를 사용하여 팬텀(A, B)의 총 30개의 구역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보정물질 사용 전·후의 차이와 좌우 신호강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총5명의 실험 지원자 다리를 대상으로 같은 Scan parameter를 적용하여 보정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10cm, 15cm 간격과 보정물질(c)을 사용한 15cm 간격을 촬영하고 4군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변화 정도를 비교·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Independent t-test p<0.05). 결 과 : 팬텀 실험에서는 T2와 T1 Dixon 지방소거영상 모두 보정물질 사용 시 사용 전보다 균등한 지방소거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었고 T2 지방소거 검사 시 보정물질 사용하였을 때 10cm 거리에서 좌우 신호가 균등해지고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으며 T1 지방소거 검사에서는 5cm 거리에서 균등해진 신호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0cm 거리에서는 수치가 크게 변함이 없었다. 실험 지원자의 경우 지원자 모두 보정물질 사용시 사용 전보다 전체적인 신호강도의 저하는 없었으며 15cm 간격의 보정물질 사용 후 좌우 신호가 균등해짐을 알 수 있었고 swap이 발생된 4명 중 3명의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다. 결 론 : 본 실험을 통하여 Dixon기법을 두개의 분리된 피사체에 적용했을 때 피사체 간격 정도에 따라 지방소거 영상의 계산적 오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ixon기법은 기존에 사용하던 CHESS 지방소거 기법에 비해 피사체의 굴곡이나 크기에 따른 영향이 적다. 그러나 두 개의 피사체 즉 인체의 사지부분 검사를 하게 되는 경우 화학적 전이(chemical shift)에 의한 계산 오류로 지방과 물이 반전되어 영상이 생성되는 swap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불균일한 부분이 발생하는 두 개의 피사체의 간격에 인체 등가물질의 보정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간격에서 발생되는 swap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간격이 더 늘어나는 경우 swap 현상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였으나 크기에 따라 간격에 맞는 보정물질을 제작하여 보완한다면 넓은 간격에서도 swap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인체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swap에 의한 진단적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5.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its 20 years of practice, the Appellate Body gradually established a de facto stare decisis rule similar to that exists in common law system. Given the tight time constraint as provided in the DSU for an appeal process, the Appellate Body may face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sufficient time available for it to consider thoroughly all the elements for the interpretation of a provision, especially arguments or evidence of law that have not been raised even by the parties nor by the panel. If the issue whether Article XX of GATT 1994 can be invoked by China to justify a violation of paragraph 11.3 of its Accession Protocol had been decided in China-Raw Materials, can this issue be reopened and assessed again in China-Rare Earths? The author explored these two cases in light of the relevant WTO precedents as well as the common law thinking.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t is both necessary and technically feasible to correct certain previous interpretation. Such a correction will contribute to further improvement in the clar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overed agreements and accession protocols; hence give more confidence to Members that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treaty can be well preserved by a system with a built-in self-correction mechanism.
        8,100원
        6.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me of the metal waste generated from KEPCO NF is being disposed of in the form of ingots. An ingot is a metal that is melted once and then poured into a mold to harden,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uniform distribution of radioactive material. When measuring the uranium radioactivity in metal ingot with HPGe detector, 185.7 keV of U-235 is used typically because most gamma rays emitted at U-235 are distributed in low-energy regions below 200 keV. To analyz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U-235 with HPGe detector more accurately, self-attenuation due to geometrical differences between the calibration source and the sample must be corrected. In this study, the MCNP code was used to simulate the HPGe gamma spectroscopy system, and various processes were performed to prove the correlation with the actual values. First an metal ingottype standard source was manufactured for efficiency calibration, and the GEB coefficient was derived using Origin program. And through the comparison of actual measurements and simulations, the thickness of the detector’s dead layers were defined in all directions of Ge crystal. Additionally instead of making an metal ingot-type standard source every time, we analyzed the measurement tendency between commercially available HPGe calibration source (Marinelli beaker type) and the sample (metal ingot type), and derived the correction factor for geometry differences. Lastly the correction facto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obtaining the uranium radioactivity concentration in the metal ingot with HPGe gamma spectroscopy. In conclusion, the U-235 radioactivity in metal ingot was underestimated about 25% of content due to the self-attenuation.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flect this correction factor in the calculation of U-235 radioactivity concentration.
        7.
        202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amma-ray spectrometry for volume samples, the self-attenuation effe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density between the efficiency calibration sour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ample and the sample actually measured. In particular, the lower the gamma-ray energy, the greater the gamma-ray attenuation due to the self-attenuation effect of the sample. So, the attenuation effect of low-energy gamma-rays in the sample should be corrected to avoid over- or under-estimation of its radioactiv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rrecting the self-attenuation effect of the sample is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for the sample, which can be directly calculated using a collimator. The larger the size of the collimator,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calculate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sample, but excessive size may limit the use of the collimator in a typical environmental laboratory due to its heavy we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collimator size 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and purpose. This study is to optimize a collimator that can determine the effectiv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of low-energy gamma-rays, and verify its applicabilit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esigned collimator was optimized for gamma-ray energy of less than 100 keV and cylindrical plastic bottle with diameter of 60 mm and a height of 40 mm. The materials of optimized collimator consisted of tungsten. Acryl and acetal were used to form the housing of the collimator, which fixes the central axis of the bottle, collimator and point-like source. In addition, using the housing, the height of the tungste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ample. For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he optimized collimator, IAEA reference material in solid form were used. The sample was filled in the bottle with heights of 1, 2, 3 and 4 cm respectively. Using the collimator and point-like source of 210Pb (46.5 keV), 241Am (59.5 keV), and 57Co (121.1 keV),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and the radioactivity for the sample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o calculate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using the optimized collimator, a relatively high sample height is required. However, the optimized collimator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s of low-energy gamma-rays for the self-attenuation correction regardless of the sample height.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mized collimator can be useful to correct the sample selfattenuation effect.
        8.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PGe 검출기를 이용하여 밀도가 다양한 환경시료에 대한 정밀 분석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밀도보정인자가 필요하다. 밀도에 대한 보정인자를 구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코드인 MCNPX 코드를 사용하여 크리스털의 높이, 지름 및 코어의 크기와 같은 특성이 다른 세 대의 p-type HPGe 검출기를 모사하고 밀도 1 g/cm3의 교정용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모 델링을 검증하였다. 검증을 통하여 모델링을 확정한 후 0.3, 0.6, 0.9, 1.0, 1.2, 1.5 g/cm3 밀도를 가진 샘플에 대한 효율을 시 뮬레이션하고 밀도보정인자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각 검출기에 대한 밀도보정인자를 비교하였을 때 전 에너지 범위에서 그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검출기의 크리스털과 같은 주요 특성에 대해 밀도보정인자가 독립적임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