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E-MRA 검사 시 최적의 Scan time을 설정하기 위해 Test bolus에서 ROI 위치별 조영증강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Test bolus 기법을 통해 CE-MRA를 시행한 환자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획득 장비는 Philips 사의 3.0T 장비(Ingenia, Philips Healthcare)와 Head and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parameter는 TR/TE msec: 17/2.1msec, Flip angle 30°, 절편두께 80mm, dynamic scan time 1sec, dynamic scan 150, NEX 1 로 하였다. Test bolus영상에서 대동맥궁(12명), 총경동맥(10명), 내경동맥(10명), 동·정맥의 혼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S상정맥동(32명)에 10mm2의 ROI를 각각 설정하여 신호강도곡선의 분포와 Peak time을 구하여 CE-MRA를 시행하였다. CE-MRA의 동·정맥의 혼재 정도의 평가는 Image J를 이용하여 MIP(maximum intensity projection)의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test, SPSS 버전 18)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분석을 병행하였다. 결 과 : Test bolus 영상에서 대동맥궁이 Peak time에 도달한 후 평균 1초 후 총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였으며 1.3초 후 내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였다. 이때 S상 정맥동의 신호 강도가 100%에서 250%까지 급증하는 구간은 대동맥궁이 Peak time에 도달한 후 평균 1초 후였다.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는 대동맥궁에 ROI를 설정하였을 경우(119.32±46.29) 가장 높게 나왔고, 내경동맥(84.54±18.14)과 총경동맥(72.49±22.17)순으로 낮아졌다. ROI 설정 위치에 따른 신호강도의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p-value 0.081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사후분석 병행한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1개의 부집단만 존재하여 각각의 ROI 설정 위치에 따른 S상 정맥동 신호강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 론 : ROI 위치에 따른 MIP 영상의 S상정맥동의 신호강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연관성이 낮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Test bolus영상에서의 각 부위별 ROI의 신호강도 곡선의 분포 결과에서는 총경동맥이 Peak time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S상 정맥동의 신호강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동맥궁의 신호강도곡선이 평균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커 뚜렷한 분해능을 나타나 Test bolus에서의 ROI 설정은 대동맥궁에서 시행하는 것이 동·정맥의 혼재가 최소화된 영상을 획득 할것으로 사료된다.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Screening Dixon기법 사용 시 Gd-EOB-DTPA 주입 전, 후에 따른 정량화된 지방 비율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조직 생검을 통해 간 지방증 진단을 받은 환자 30명과 간 기증자 30명(남/여: 36/24, 평균연령: 46.35±13.25,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3.0T MRI system MAGNETOM Skyra ( Siemens, Munich, Germany)와 18 channel body coil을 사용하였으며, Screening Dixon (TR:4.10msec, TE:1.23, 2.46msec, matrix:187×256, Bandwidth:1500, NEX:1) 기법을 이용하였다. Gd-EOB-DTPA 주입 전과 주입 후 15분 지연 영상을 획득하였다. Screening Dixon의 conclusion report에 대한 진단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검 결과와 비교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 Fat과 Water영상에서 간의 2-8segment에 300mm² 크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F/W(fat-only/water-only)와 지방분율(F/(F+W)×100%)의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각 평균값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 Screening Dixon의 conclusion report값은 지방증 환자에서(조영제 주입 전 100% 지방, 후 100% 정상)으로 제시되었고, 정상 간 기증자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 모두 100% 정상)으로 제시되었다. 정량적 분석에서 지방증 환자에 대한 조영제 주입 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81±0.011, Ⅲ:0.082±0.012, Ⅳ:0.076±0.016, Ⅴ:0.079±0.011, Ⅵ:0.079±0.010, Ⅶ:0.081±0.010, Ⅷ:0.076±0.014)로 나타났고, 조영제 주입 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39±0.006, Ⅲ:0.037±0.005, Ⅳ:0.040±0.006, Ⅴ:0.037±0.004, Ⅵ:0.039±0.008, Ⅶ:0.037±0.006, Ⅷ: 0.037±0.007)로 나타났다(p<.001). 정상 간 기증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49±0.010, Ⅲ:0.055±0.005, Ⅳ:0.032±0.004, Ⅴ:0.044±0.007, Ⅵ:0.050±0.007, Ⅶ:0.043±0.008, Ⅷ:0.032±0.004)로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 평균 F/W값은 segment (Ⅱ:0.033±0.007, Ⅲ:0.031±0.007, Ⅳ:0.023±0.004, Ⅴ:0.020±0.003, Ⅵ:0.023±0.013, Ⅶ:0.018±0.004, Ⅷ:0.020±0.007)로 나타났다 (p<.001). 지방분율의 전체 평균 값은 지방증 환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7.73±1.30%에서 주입 후 3.09±0.41%로 감소하였고, 정상 기증자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3.86±0.59%에서 주입 후 2.09±0.37%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결 론 : Screening Dixon은 F/W, I/O dual ratio를 통한 정량화된 수치를 conclusion report로 제시하며, 정상 간 실질을 구분하는 기준은 F/Wnormal threshold≤0.05로 알려져 있다. F/W값이 0.05 이상이 될 경우 비정상간 실질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계산식을 이용해 fat, iron, combined deposition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Gd-EOB-DTPA 주입 후 적용한 Screening Dixon은 지방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모두 정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영제 주입 후 water의 T1이완시간 감소로 인한 신호 증가가 F/W값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Gd-EOB-DTPA를 사용하는 검사에서 간 지방 정량화를 시행하는 경우 조영제 주입 전에 Screening Dixon을 시행하는 것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의 복부검사 시 사용하는 TSE기법 중에 하나인 RARE(Rapid Acquisition with Relaxation Enhancement)기법은 환자의 호흡동기화를 통해 복부 총담관의 관련된 질환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3D 영상은 2D 영상에 비해 높은 해상력과 자유로운 영상 후처리과정의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3D 기법에 Simens사의 ZOOMit(역동적인 여기 펄스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작은 관심영역을 통해 고해상도 영상과 Aliasing artifact를 없앤 기술)의 기법을 적용한 3D SPACE 적용하여 기존의 RARE 기법과 비교 및 분석을 통한 영상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9월~2014년 12월까지 병원의 자기공명 복부검사(MRCP)를 시행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Body coil 18Ch을 이용하였고 사용한 Sequence는 호흡동기화 기법을 적용한 3D RARE(Rapid Acquisition with Relaxation Enhancement)였으며 Parameter는 FOV:380X380mm/ TR:2400ms/ TE:700ms/ Image Matrix:384X384X61/ thickness:1㎜/ Gap:0㎜/ Slice No120/ Scan time: 5min의 관상면 영상과 ZOOMit을 적용한 3D SPACE(Sampling Perfection with Application optimized Contrast using different flip angle Evolutions)는 FOV:400X200mm/ TR:2400ms/TE:700ms/ Image Matrix:384×384×61/ thickness:1㎜/ Gap:0㎜/ Slice No120/ Scan time: 3min 24sec의 관상면을 획득하였다. 간담도 췌관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각각의 신호대 잡음비(Singnal to Noise ratio)와 대조도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를 측정하였고 정성적 평가를 위해 숙련된 방사선사가 영상의 질을 5개 항목 10단계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결 과 : 기존방식의 3D RARE의 SNR과 CNR은 각각 20명 평균 1.35±1.21 & 3.9±2.를 나타냈고 ZOOMit을 적용한 3D SPACE 기법에서는 평균 7.5±5.3& 8.5±4.8를 나타냈다.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한 통계수치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0.02<P). 정성적 평가의 척도에서는 기존 방법이 10점 만점에 5명 평균 6.7±1.15을 나타냈고 ZOOMit 3D SPACE 적용 기법에서는 8.31±1.05을 나타냈다. 결 론 : 기존의 임상적으로 사용하던 RARE Sequence는 경사에코 기법에 비해 해상력과 대조도가 뛰어났으나 Phase encoding step수를 줄이기 위하여 Rectangular FOV밖에 사용하지 못했고 Averaging은 한번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ZOOMit을 적용한 3D SPACESequence는 장점인 작은 FOV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공간 해상력을 가지고 기존 사용기법의 비해 높은 SNR과 CNR을 통해 진단학적인 영상의 질 개선은 물론이거니와 전체적인 영상획득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환자 호흡 동기화를 통한 검사시간 연장을 줄이고 긴 검사시간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제한점으로 환자 개개인의 호흡동기화에 따른 영상의 질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히 평가되지 않았다. 향후 연구될 부분이라 생각되며 ZOOMit 기법 특징을 이용한 다른 검사 부위 적용을 통해 진단적 가치를 높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피사체의 X축 위치에 따른 영상왜곡과 신호강도의 정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검사를 위한 지침을 설정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진단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자체 제작한 팬텀은 아크릴 상자에 외경이 16mm 높이가 55mm인 원통형 플라스틱 시약병 44개를 4행 11열로 시약병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45mm 간격으로 배열하였으며, 지방을 표현하기 위한 마가린과 물을 채워 제작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3T Skyra (Siemens Germany) 와 18Ch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으며 확산강조영상 parameter는 scan slice thinkness 3mm, slice gap: 0mm, FOV: 450×450, TR: 5000, TE: 73/118, Matrix: 126×126, slice number: 15, scan time: 9min 45sec, NEX: 3, phase encoding 방향을 RL(right to left)로 설정하여 관상면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b-value 0, 400, 1400 으로 설정하여 scan 하였으며, T2 지방소거 영상을 같이 획득하여 환자 table의 iso-center를 기준으로 X축의 위치에 따른 영상왜곡과 신호강도의 차이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분석 프로그램으로는 Image J를 사용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18.0을 사용하였다. 결 과 : T2 지방소서 영상에서 fat과 water의 영상왜곡과 신호강도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이 때 X축의 위치에 따른 평균값은 통계적 유의하였다(p<0.05). DWI 영상에서 b-value가 0, 400 인 경우 patient table 중심으로부터 좌우 2열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제 3열부터 영상의 왜곡과 신호강도의 감소가 발생하였고, 제 4열의 위치에서는 영상의 왜곡과 신호강도의 감소가 급격하게 발생하였다. b-value가 1400인 경우는 영상의 왜곡은 patent table 중심으로부터 좌우 1열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제 2열 이후부터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였으며, 신호강도는 제 2열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제 3열의 위치에서부터 감소가 발생하였고, 제 4열의 위치에서는 영상의 왜곡과 신호강도의 감소가 급격하게 발생하였다. 이때 모든 실험에서 11개의 시약병 중에서 가장 바깥쪽의 시약병은 영상으로 확인이 안 되었으며 9개의 시약병만 영상에서 확인이 되었다. 제 5열은 모든 부분에서 식별 불가능하였다. 이 때 X축의 위치에 따른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 론 : T2 FS 영상에서는 patient table의 중심에서 180mm 이상에서 현저한 영상의 왜곡과 신호강도의 감소가 있었고, 확산강조영상에서는 90mm 이상 벗어나게 되면 현저한 영상의 왜곡과 신호강도의 감소가 생기게 되고 180mm 이상에서는 영상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사지와 같이 patient position을 위치하기 어려운 검사에서 특별히 유의하여 진단적 가치를 갖는 영상을 만들어야 한다.
        4,3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의 지방소거 기법 중 하나인 Dixon기법은 물과 지방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위상 보정(phase correction) 과정 및 두 가지 영상을 이용한 calculation을 통해 지방소거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들보다 월등히 균일한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지만 B0,B1 민감도 즉 두개의 피사체 간격에 포함된 불균질한 부분의 따라 각각 지방-물 신호가 바뀌는 swap 현상이 발생한다. 자체 제작한 균일 보정물질을 통하여 불균일한 피사체를 보정함으로써 swap 현상을 줄여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15개 구역으로 나뉜 물과 지방이 함유된 팬텀 두 개(A, B) 가로×세로×두께 (10cm×18cm×2cm)크기와 (12cm×8cm×3cm) 크기의 파라핀을(C) 사용한 보정물질을 이용하였으며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Body coil 18Ch을 이용하였고 사용한 sequence는 2 point Dixon T2 지방소거 영상과 T1 지방소거 영상으로, T2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2200ms/ TE:78ms/ Image Matrix:259×384/ thickness: 3mm/0mm / Scan time: 2min 12sec) T1 지방소거 영상(FOV:236×280mm/ TR: 450ms/ TE:11ms/ Image Matrix: 246×448/ thickness: 3mm/0mm/ Scan time: 2min 16sec)의 관상면 영상으로 먼저 팬텀 A와 B를 이용하여 서로 붙여서 촬영, 5cm 간격으로 촬영 10cm 간격으로 촬영하고 5cm 간격과 10cm 간격에 보정물질(C)을 두어 한번 더 촬영하였다. 영상 측정 프로그램 Image J를 사용하여 팬텀(A, B)의 총 30개의 구역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보정물질 사용 전·후의 차이와 좌우 신호강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총5명의 실험 지원자 다리를 대상으로 같은 Scan parameter를 적용하여 보정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10cm, 15cm 간격과 보정물질(c)을 사용한 15cm 간격을 촬영하고 4군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변화 정도를 비교·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Independent t-test p<0.05). 결 과 : 팬텀 실험에서는 T2와 T1 Dixon 지방소거영상 모두 보정물질 사용 시 사용 전보다 균등한 지방소거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었고 T2 지방소거 검사 시 보정물질 사용하였을 때 10cm 거리에서 좌우 신호가 균등해지고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으며 T1 지방소거 검사에서는 5cm 거리에서 균등해진 신호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0cm 거리에서는 수치가 크게 변함이 없었다. 실험 지원자의 경우 지원자 모두 보정물질 사용시 사용 전보다 전체적인 신호강도의 저하는 없었으며 15cm 간격의 보정물질 사용 후 좌우 신호가 균등해짐을 알 수 있었고 swap이 발생된 4명 중 3명의 swap 현상을 없앨 수 있었다. 결 론 : 본 실험을 통하여 Dixon기법을 두개의 분리된 피사체에 적용했을 때 피사체 간격 정도에 따라 지방소거 영상의 계산적 오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ixon기법은 기존에 사용하던 CHESS 지방소거 기법에 비해 피사체의 굴곡이나 크기에 따른 영향이 적다. 그러나 두 개의 피사체 즉 인체의 사지부분 검사를 하게 되는 경우 화학적 전이(chemical shift)에 의한 계산 오류로 지방과 물이 반전되어 영상이 생성되는 swap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불균일한 부분이 발생하는 두 개의 피사체의 간격에 인체 등가물질의 보정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간격에서 발생되는 swap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간격이 더 늘어나는 경우 swap 현상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였으나 크기에 따라 간격에 맞는 보정물질을 제작하여 보완한다면 넓은 간격에서도 swap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향후 인체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swap에 의한 진단적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6.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stomer needs in food service industry is not only demanding high quality product(food), but also high quality service. Therefore, how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based on customers expectation, and how to design the service systems by food service industry or restaurants are important task. This study is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it aims analyzes factors influences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perception of pork-belly specialty restaurants customers.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level of satisfaction in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frequency of eating out relatively to the purpose of eating out, and research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after visiting the restaurant. Based on such results, solutions that can cope with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are suggested. Selec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samples, and purpose of eating out, which are limits of this study, needs to be studi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fter diversifying and segmentation.
        4,000원
        7.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총산, 향기성분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풍미, 식미감 및 기호도 면에서 가장 뛰어난 김치의 조건을 찾아내고, 위 김치의 분말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담백한 맛과 향을 제공하면서 영양성과 보존성이 뛰어난 동결 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를 개발하고자 한 논문으로 그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김치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 5.5에서 pH 3.9로 낮아졌고 총산은 0.35%에서 0.82%로 높아졌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저장 18일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저장 12일부터 18일 사이에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pH 4.0, 총산 0.73%을 나타낸 저장 18일째의 김치를 동결 건조하여 동결김치분말 첨가 BFS(breakfast sausage)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2. 김치(pH 4.0, 총산 0.73%, 저장 18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aldehyde류가 5종, acid가 4종, ester가 5종, sulfide1종, alcohol 1종 등으로 나타났다. 3. 동결김치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로 달리하여 제조한 BFS(breakfast sausage)를 굽지 않고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 색은 김치분말 9%첨가군(6.65점)이, 맛(6.45점)과 전반적인 기호도(6.25점)는 김치분말 3% 첨가군이, 부드러움은 Cotrol군(5.70점)이, 매운 맛은 김치분말 9% 첨가군(6.85점)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구운 뒤 실시한 관능 평가 결과, 색(7.15점), 맛(7.10점), 부드러움(6.00점), 전반적인 기호도(7.15점) 등 거의 모든 평가항목에서 김치 분말첨가 3%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또한 구운 것과 굽지 않은 것을 비교하면 구운 것이 안 구운 것보다 좋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동결김치분말 3%를 첨가하여 구워 만드는 BFS(breakfast sausage)가 가장 우수한 제품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s a part of ongoing research to elucidate and characterize anti-cancer nutraceuticals, extracts from many kinds of medicinal plants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so far. Datura stramonium is one of the plants known to contain various alkaloids such as hyoscyamine, scopolamine, atropine etc. Traditionally, it has been used as an analgesic, antispasmodic, and central nervous stimulant. Leaves are also known to be effective against asthma, cough, and chronic bronchitis. In this study, cytotoxicity of extracts from D. stramonium on human cancer cell lines A549 (lung), and HepG2 (liver) were evaluated and compared. Methods and Results :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DMSO in the form of 10, 50, 250, 1,000 μg/ml for final concentration series respectively. The cell viabilities were examined by MTT assay. On HepG2 cell line, extracts of D. stramonium showed dramatic dose-dependent cytotoxicity on 10, 50, 250, 1,000 ㎍/㎖ concentrations series as 88.16%, 78.55%, 55.57%, 23.06% cell viability respectively. On A549 cell line, likewise, same concentration series showed a dose-dependent cytotoxic effect as 96.49%, 96.12%, 68.54%, 20.26% cell viability respectively. On A549 cell line,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10 ㎍/㎖ and 50 ㎍/㎖. Conclusion : Above results, high concentrations of extracts are effective on two cancer cell lin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on further studies about the anticancer activity of D. stramonium as basic data. In order to confirm the anticancer effect of D. stramonium, it is anticipated that additional test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 apoptosis assay and related protein expression.
        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ancient, roots of Rumex crispus, called wooi-daehwang, were used for various symptoms and diseases like cough, phlegm, bronchitis and hepatitis, caused inflammatory. As a part of ongoing research to elucidate and characterize anti-inflammatory nutraceutical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R. crispus root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ress inflammation. In this study,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R. crispus root on LPS-stimulated RAW264.7 mouse macrophages was evaluated. Methods and Results : The EtOH extracts were suspended in water. The aqueous layer was further partitioned in diethylether, ethylacetate and n-butanol, sequentially. RAW264.7 cells were seeded onto 96-well plates, and cells were allowed to adhere for 6 h and then were pretreated with the R. crispus root extracts for 24 h. Cellular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stimulated by adding lipopolysaccharide (LPS).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 by microplate reader.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potential of these fractions was evaluated by assessing NO production by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solvent-partitioned R. crispus root fractions.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diethylether fraction diluted in 50 ㎍/㎖, 25 ㎍/㎖, 12.5 ㎍/㎖, 6.25 ㎍/㎖, 3.125 ㎍/㎖ was 79.2%, 70.9%, 59.5%, 16.1%, and 11.8%, respectively. And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range of another fractions, EtOAc, n-BuOH and aqueous layer, were 0 - 30.2%, 0 - 20.1% and 3.8 - 22.4%, respectively.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it showed that diethylether fraction have strong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t was suggested that R. crispus root have NO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R. crispus root possesses anthraquinones, such as chrysophanol, parietin, and anthrones etc.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 crispus semen extract has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 as anti-inflammatory, and extract of R. napalensis has cyclooxygenase (COX)-2, COX-1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ur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R. crispus root extracts anti-inflammatory effects probably by suppressing iNOS expressions, and resulting in the inhibition of NO synthesis.
        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in 9 extracts from 8 medicinal plants, such as leaf extract of Lonicera maackii (Llm), leaf extract of Platycarya strobilacea (Lps), flower extract of Fagopyrum dibortryis (Fdf), stem extract of Physostegia virginiana (Spv), root extract of Allium senescence (Ras), aerial part extract of Allium schoenoprasum (Aas), aerial part extract of Artemisia japonica var. manshurica (Aaj), stem extract of Caryopteris incana (Sci), and leaf extract of Caryopteris incana (Lci), on human cancer cell lines. Methods and Results : Dried plant extracts were granted from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s. The extracts of each plant were dissolved in DMSO and stored in deep freeze at –20℃. The cell viabilities were examined by MTT assay. On SK-OV-3 cell line, Lps, Aas, Sci ans Lci showed dose-dependent cytotoxic effect. On A549 cell line, almost samples show dose-dependent cytotoxic effect, but especially Aaj showed relatively high cytotoxic effect. In case of HCT-15 cell line, Llm and Aas showed relatively high cytotoxic effec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onicera maackii, Platycarya strobilacea, Fagopyrum dibortryis, Physostegia virginiana, Allium senescence, Allium schoenoprasum, Artemisia japonica var. manshurica, and Caryopteris incana can be utilized as potential sources of anticancer agent due to their cytotoxicity.
        1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s a part of ongoing research to elucidate and characterize anti-inflammatory nutraceuticals, six kinds of plant extracts (aerial part of Nepeta cataria, leaves of Lonicera maackii, leaves of Platycarya strobilacea, flower of Fagopyrum dibotrys, flowers and fruits of Solanum nigrum, stem of Physostegia virginiana)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ress inflammation. The anti-inflammatory has been studi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cells which cells synthesized nitric oxide (NO) from L-arginine by nitric oxide synthase (NOS). In this study,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of six kinds of plant extracts on LPS-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was evaluated. Methods and Results : Six kinds of plant extracts were parceled out from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AW 264.7 cells (1.5×105 cells/well) were seeded onto 96-well plates with DMEM media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s.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the extracts and LPS-stimulated cells for 24 h. Cellular NO production was stimulated by adding 1 μg/mL of LPS. After incubation, Griess reagent was used to determine NO production.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nm by microplate reader.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potential of these extracts was evaluated by assessing NO production by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in the presence. As a result, inhibition rate of NO production was about 40% of L. maackii, 33% of F. dibotrys, 23% of P. strobilacea and 17% of P. virginiana.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aerial part of N. cataria and flowers and fruits of S. nigrum.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be able to confirm that leaves of L. maackii and flower of F. dibotrys appeared dose-dependent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and leaves of P. strobilacea appeared NO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n low-concentration. As screening NO synthesis inhibition of six extracts, they may be a good candidate for delaying the progression of human inflammatory diseases and warrants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