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Φ),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Φ), 사구(4∼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Φ),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hoal by a method of shoal echo integration and tested species identification by a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he acoustic data collected in the East China Sea in March 1994 an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in March 1995. Between areas, frequency distribution of 10 shoal descriptors was different, which showed characteristics of shoal behaviour in size, bathymetric position and acoustic strength. The range and mean of shoal size distribution in length and height was wider and bigg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Relative shoal size of China Sea. Fractal dimension of shoal was almost same in both areas. Mean volume reverbration index of shoal was 3 dB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depth layer of shoal distribution was related to bottom depth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while it was between near surface and central layer in the East China S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hoal descriptor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shoal size and acoustic strength which was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Correlation was also found among the bathymetric positions of shoal to some degree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anchovy shoal of two areas was identifi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contribution factor index (Cio) of the shoal descriptors between two areas were almost identical feature. The shoal volume reverberation index (Rv) was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while shoal length and shoal height showed relatively high negative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4,000원
        3.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정치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음향 유집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정치망의 주요 어획 대상 어종인 잿방어의 식이음, 유영음, 어선의 기관소음, 정현파 순음 등을 녹음시켜, 제작한 수중확성기로잿방어를 사육하는 가두리 양식장에 방성하였을 때, 각 음에 대한 어류을 행동 반응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작된 수중확성기의 수중 실험에서는 측정 주파수의 모든 주파수에서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이 잘 일치하여 주파수 200.600Hz의 수중음을 방성할 수 있었다. 2. 순음 주파수 300Hz및 400Hz를 방성하였을 때 보다 훨씬 민감한 반을을 보였다. 4. 잿방어 어군의 식이음, 유영음 스펙트럼은 주간과 야간에 관계없이 비슷한 음압분포를 나타내었고, 주파수 200~600Hz부근에서 낮은 음압 분포를 나타내었다.
        4,000원
        4.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등어 낚시어장에서 150Hz~200Hz의 순음과 단속순음을 수중스피커로 수중에 방성하였을 때 고등어 어군의 반응과 어선의 보조기관의 수중소음을 측정\ulcorner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조기관만을 운전하였을 때 수중소음의 중심주파수와 음압레벨은 수심 20m에서 각각 500Hz, 146.8dB이었다. 2. 주파수 150Hz와 200Hz의 순음의 음압레벨은 수심 30m, 70m, 120m에서 각각 141.0dB와 146.6dB, 120.0dB와 126.6dB, 114.3dB와 120.5dB이였다. 3. 수중음을 방성해서 5분 전후에 고등어 어군이 유집반응을 보였다. 4. 주파수 150Hz와 200Hz의 순음보다는 단속순음이 좋은 유집반응을 나타냈다
        4,000원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쇄파로 인해 발생되는 쇄파유도류가 파랑의 굴절 및 회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실험자료의 구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정 수심상에 타원형 수중 천퇴를 설치한 후 파랑의 전파변형 및 쇄파유도류의 정량적 계측에 대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천퇴의 제원은 Vincent and Briggs(1989)의 실험과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주기의 파랑을 적용하여 실험자료를 구축하였다. 실험파는 규칙파와 일방향 불규칙파를 적용하였으며, 천퇴 상단에서 쇄파가 발생하는 경우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였다. 쇄파조건의 실험에 적용된 입사파는 천퇴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쇄파가 발생하지 않는 파랑조건이다. 계측은 파봉선과 평행한 방향 뿐만 아니라 파 전파방향에 대해서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