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인 polystyrene sulfonic acid dope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PSS)을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사용한 펜타센 단분자 유기 반도체 기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금을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하는 기준소자와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PEDOT:PSS 박막은 금 박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도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PEDOT:PSS 소스/드레인 전극을 갖는 펜타센 유기 트랜지스터는 금을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갖는 기준 소자와 비교할 만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PEDOT:PSS와 펜타센 사이의 접촉저항이 금과 펜타센 사이의 접촉저항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에 의한 성능 저하를 보상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is a major pathogen that may b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economic losses in the livestock industry. BVDV is a well-characterized member of Flaviviridae family with plus-stranded RNA viruses. Non-structural NS5B protein is RNA-dependent RNA polymerase, which is responsible for viral RNA synthesis and genome replication of BVDV. Therefore, the NS5B polymerase is a key target for the discovery of anti-BVDV drugs. A number of small-molecule inhibitors against the NS5B polymerase have been reported in literature of which we collected series molecules having various scaffold with their biological data determined by evident experimental conditions, methods and procedures. Then, we constructed database of 655 small-molecule NS5B inhibitors having definitive activity values, structural paramete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lecular hydrophobicity, hydrophilicity, polarity, Hbond donors and H-bond acceptors) associated with their absorption and permeability through a cheminformatics approach. The database was opened to provide insight for allosteric NS5B inhibitors of BVDV with an accessible platform on the web (http://nabic.rda.go.kr/chemical genomic database/BVDV RNA dependent RNA polymerase inhibitors). This molecula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would be useful in attempting to identify features and decision factors that enhance anti-BVDV activity or increase selectivity of the allosteric inhibitor. These anti-BVDV molecules could also be screening for the purpose of exploiting potent NS5B inhibitors in the same family (e.g., HCV, CSFV, YFV, WNV, and DENV).
본 연구에서는, F4-ZnPc 광활성층 기반의 저분자 유기태양전지의 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다 양한 조건의 홀이동층과 전자이동층을 조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BF-DPB 호스트 유기물에 C60F36 또 는 NDP9 도펀트를 도핑한 조합을 홀이동층으로 사용하였고, 전자이동층으로는 W2(hpp)4가 도핑된 C60 또는 순수 C60/Bphen 물질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홀/전자이동층의 조합은 유기태양전지의 단락전류밀도와 fill factor,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