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oise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ound-absorption and insulating materials in order to maximize the noise reduction effect in various noise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e transmission lo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hole size of the performated plate in sound-absorption and insulating board was predicted using an CAE model. The sound-absorption and insulating board was modeled and the computation of the transmission loss wa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The pure sounds of 32Hz to 4,000Hz were generat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hanging the diameter and pitch of the perforated pl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diameter and pitch of the perforated plat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that make up the sound-absorption and insulating material.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variously changing noises, it is believed that a method of improving transmission loss for each frequency band of interest is need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ound-absorption and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diameter and pitch of the perforated plate can be changed.
        4,000원
        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최근까지 한자 讀音의 시비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 사례 몇 가지를 통해서 한자 독음을 통일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고, 아울러 20세기를 전후하여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 양상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한자 독음은 기본적으로 중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우리식의 독음이 생기게 되었다. 이 속음이 광범하게 유포되자, 18세기의 음운학자들은 가능한 속음을 폐기하고, 중국의 독음과 가까운 正音으로의 회복을 시도하였다. 18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여러 韻書와 자전들은 이를 목적으로 발간된 책자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과 시도는 결국 실패하였다. 당시 발간된 책자에서 속음으로 처리된 독음이 오히려 오늘날 출간된 사전에서는 그 한자의 독음으로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자 독음에 대한 언어 대중의 관습을 거스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는 결국 한자를 배운 사람들의 나이에 따라서, 혹은 출판된 사전에 따라서 그대로 반영이 됨으로서 한자 독음에 대한 시비를 여전히 생기게 만들었다. 한자 독음의 시비에서 어떤 독음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는 특정 개인의 주장이나 특정 출판사의 책으로 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보다 한자 한문을 전공한 학자들이 참여하여 학술적 토론을 거치고 또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제 「한자․한문교육연구회」는 주도적으로 대처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회가 떠맡아야 할 책임과 의무이기도 하다.
        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