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검은말벌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지역에 침입한 꿀벌의 중요한 포식해충이다. 양봉가들이 살충제를 활용하여 밀도 억제를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현가능하고 과학적 방법과 적용 가능성이 정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봉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를 가지고, 등검은 말벌의 유충과 성충의 살충율과 반응 패턴을 조사하였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은 처리 후 30분 내 70% 이상의 살충률을 보 였으며, Bifenthrin, Cartap hydrochloride의 상대적으로 살충률이 낮았다. Clothianidin, Dinotefuran, Carbosulfan의 반수치사약량(LD50)은 각 0.29, 0.65, 2.21 μg/bee이었다. 5령 유충에 대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연속 섭식 처리를 했을 때, 2일이후에 약효가 나타났고 72시간 후에는 모두 70% 이상 살충률을 보였다. 등검은말벌의 반수치사약량은 양봉꿀벌의 것보다 10-100배 더 높았다. 향후 이 살충제를 말벌 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
2022년 3월12일 제천시의 발표(구체화)에 따르면 제천지역 내 양봉 농가를 대상으로 꿀벌생육실태를 확인한 결과 전체 벌통에서 절반 수준의 꿀벌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전부터 국내 남부에서 진행되어 오던 꿀벌집단실종 현상의 한계선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론에서 집중 조명된 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이 과연 한반도 온난화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원인분석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꿀벌실종이 일어난 연도와 달을 중심으로 제천지역내의 기온, 일교차, 강수, 일조량 등 다양한 환경조건 중 예전 과 비교하여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이 꿀벌의 집단실 종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다른 요인분석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꿀벌실종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 고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Neonicotinoids) 살충제를 이용해 꿀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생존한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국내 살충제의 연도별 사용량을 간접 비교함으로써 꿀벌실종의 주요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충북제천 꿀벌의 실종은 기온의 상승보다는 일조량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일조량에 따른 벌집내부의 온도변화 및 꿀벌의 활동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꿀벌실종에 대한 장기적인 상관관 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화분매개곤충으로 중요한 산업적 가치를 지닌 꿀벌은 전 세계적으로 병해충에 의한 개체수 감소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제기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질병저항성 꿀벌 계통을 선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꿀벌 육성 계통별 청소력(hygienic behavior)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는 질병 저항성 계통 선발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5종의 꿀벌 계통과 2종의 교배종 계통에 대한 청소력 평가를 Pin killed brood assay 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처리 24 시간 후 죽은 번데기를 제거하거나 개봉하는 능력이 60% 이상으로 청 소능력이 낮은 계통(non-hygienic)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반대로 죽은 번데기를 제거하거나 개봉하는 능력이 90%이상인 hygienic 계통은 C, D, E, F, ♀CX♂D 그리고 ♀FX♂D 계통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외 A 계통은 보통(intermediate)의 청소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육성 계통 대부분이 높은 질병저항성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질병저항성 꿀벌 계통 선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봉산물로서의 가치 평가와 제품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벌번데기(16 ~ 20일령)의 영양성분분석 및 이를 이용한 추 출물을 제조하고 생리활성 효과를 검정하였다. 수벌번데기 동결건조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1.69 ± 0.07%, 조단백 48.52 ± 0.20%, 조지방 23.41 ± 0.14%, 조회분 4.05 ± 0.02% 였고, vitamin C 14.92 ± 0.52 mg/100 g, vitamin E 6.06 ± 0.11 mg α-TE/100 g 이었으며, 무기성분은 K과 P 의 함량(mg/100g)이 각각 1,349.13 ± 34.57 및 1,323.55 ± 43.85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고, Ca과 Fe의 함량은 각각 55.43 ± 1.51 및 5.49 ± 0.19가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벌번데기 동결건조분말 중에 함유된 지방산은 포화지방산(g/100g total fatty acids)이 약 59.62, 불포화지방산이 약 40.38 을 차지하였고, 고급지방산인 palmitic acid (C16:0)가 35.49 ± 0.08, 그리고 oleic acid (C18:1, n-9)가 35.91 ± 0.22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아미노산(g/100 g)은 총 38.99 ± 2.63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유리아미노산(mg/100 g)은 총 5,129.04 였으며, 이중 proline이 1,257.68, glutamic acid가 759.12로 가장 높았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μg/ml)은 증류수추출 시 0.8, 50% EtOH 추출 시 3.2, 70% EtOH 추출 시 6.4, 그리고 EtOH 추출 시 32 농도에서 약 90%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항산화능에 기여하는 주요 화합물이 극성계 화합물임으로 추정되었으며, 저분자단백질 또는 유리형 아미노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수벌번데기는 우수한 식품원료로의 사용과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포장충류(Nosema spp. (NS))는 양봉꿀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기생충으로 효과적인 방제물질의 선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제마병과 기타 꿀벌의 발생유행시기의 구명과 더불어 3가지 노제마병 방제물질(M1 = 벌꿀희석의 레몬쥬스; M2 = 설탕시럽 혼합의 카모마일 추출물; M3 = 설탕시럽 혼합의 항생물질 스트리베트)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꿀벌 성충과 유충집단의 질병 유행시기를 년간 조사하였으며, 야외 및 실험실 조건에서 노제마병에 대한 M1, M2, M3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극소수의 꿀벌 성충과 유충 질병이 발견되었다. 노제마 병은 겨울과 봄 기간 저온과 고습조건에서 검출되었다. 포장실험에서 M2는 36.66%까지 발병억제 능력을 보였으며, 반면M3는 23.33%, M1는 13.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내실험에서 M2가 방제효과가 가장 좋았고, 그 다음 M1와 M3 이었다. 3가지 방제물질은 병에 감염된 꿀벌성충의 생존력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제마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질로 카모마일의 잠재적 방제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ligustica (Hymenoptera: Apidae), strain with a high hygienic behavior (HHB) has been bred for several years in Korea, and a diagnosis system to distinguish it from low hygienic behavior (LHB) strain has been necessitated. Thus, complete mitogenome of the two strains were sequenced through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 to detect SNPs. Comparison of the mitogenome sequences from the two strains of A. m. ligustica have detected 23 SNPs in 11 PCGs and these were further confirmed the presence of SNPs using each 10 individuals selected randomly from each strain, indicating that these SNP markers might be useful to diagnose the honeybee strains with the HHB. Therefore, mitogenome sequences are promising genome source to detect SNP markers, particularly for inbred female iso-lines.
Perturbation of normal behaviors (e.g., nursing and foraging) in honey bee colonies by any external factors would immediately reduce the colony’s capacity for brood rearing, which can eventually lead to collapse of entire colon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ood rearing suppression in the biology of honey bee workers (nurse and forager), the gene-set enrichment analysis (GSEA) was performed for the transcriptomes of worker bees with or without their brood rearing being suppressed, from which functional profiles of pathways under influences by each condition were identified. Blocking of normal labor (i.e., nursing or foraging) induced the over-representation of pathways related with reshaping of worker bee physiology, suggesting that transition of labor is physiologically reversible. In addition, brood rearing suppression appeared to result in the reduction of neuronal excitability and aggressiveness in both forager and nurse, which would be necessary to manage the in-hive stress under unfavorabl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