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능동 구속된 콘크리트의 일축 압축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이다. 일축 압축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SMA로 능동 구속된 콘크리트에 대한 적합조건을 기반으로 유효 구속응력이 도출되었으며, 기존 모델에 기반한 응력-변 형률 모델을 이용하여 SMA로 능동 구속된 콘크리트의 일축 압축거동 예측 방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모델에 대한 검증을 위해 선행 연구에 대한 실험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제안 모델을 통한 예측 결과는 콘크리트의 최대 압축강도 및 최대 압축강도에 해당하는 변형률 에 대한 비를 각각 1.00 및 0.89로 예측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1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ous materials such as polymeric foam are widely adopted in engineering and biomedical fields. Porous materials often exhibit complex nonlinear behaviors and are sensitive to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ell size and shape, amount of porosity, and temperature, which are influenced by the type of base materials, reinforcements, method of fabrication, etc. Henc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orous materials such as compressive stress-strain behavior and void volume fraction according to aforementioned factors should be precisely identified. In this study, unconfined uniaxial compressive test for two types of closed-cell structure polyurethane foam, namely, 0.16 and 0.32 g/cm3 of densities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the void volume fraction of three different domains, namely, center, surface and buckling regions under various compressive strains (10%, 30 %, 50 % and 70 %) were quantitatively observed using Micro 3D Computed Tomography(micro-CT) scanning system.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ain and void volume fraction with respect to cell size, density and boundary condition were investigat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