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신설 과목인 「도시의 미래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지리교과의 심화과목이자 진로 선택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웹 기반 GIS 플랫폼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모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 공간 분석을 위한 통합 도구를 제공하며, HTML과 JavaScript로 설계되어 저사양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또한 「도시의 미래 탐구」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지리탐구의 수업 실행 방식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도시’라고 하는 시민성의 공간을 과학적 인식, 개인적 반응, 비판적 사고를 통해 온전히 이해하게 되고, 도시의 역동성과 공간 불평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와 지리정보기술을 통합한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증진하고 비판적 탐구 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1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s apprenants coréens de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ont, en Corée, rarement l'occasion d'utiliser le français en dehors de la salle de classe. Cependant, le développement des outils de Communications Médiatisées par Ordinateurs (CMO) leur fournissent un environnement d'apprentissage plus favorable pour surmonter les contraintes d’isolement et les aident à améliorer leurs capacités à communiquer en français. Notre travail de recherche porte sur l’utilisation de ressources en ligne. Ce parcours est divisé en trois segments selon les stades atteints dans l'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 la présentation, la pratique, la production (3P). En outre, des questionnaires et des entretiens ont été menés pour mesurer l'utilité perçue de ce site. Sur dix semaines, les principaux résultats de cette étude sont les suivants: la prononciation a d'abord été analysée à travers un pré-test et un post-test par des enregistrements. Les résultats du post-test ont montré une nette amélioration de leur prononciation, en particulier en lecture à haute voix plus qu’en expression libre. Cela souligne la difficulté de parvenir à un usage automatique d’une prononciation apprise consciemment. Ces ressources en ligne ont montré leur utilité dans l'apprentissage des caractéristiques prosodiques. A la lecture des enquêtes, les étudiants reconnaissaient un effet positif en prononciation, pour l'écoute et la prise de parole. Cette amélioration serait due à la possibilité de télé-charger, d’écouter et de répéter des fichiers authentiques, mais aussi aux taches communicatives proposées, qui intégraient des conversations en ligne.
        6,600원
        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웹과 스마트폰 앱이 갖는 장점을 활용한 컨텐츠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웹지도 이용실태에 대한 현황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에서 웹지도의 활용현황과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여 웹지도 활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연구자료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웹지도를 일상생활에 주로 사용하지만, 수업시간에도 웹지도는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에서 지도의 원리 학습 및 적용에 활용되고 있었다. 주로 일반도와 위성영상지도를 활용하며 각 웹지도 사이트별 활용하는 지도의 유형에 선호도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웹지도에 대해 지명, 위치찾기 등에 만족하며 백과사전과 같은 지역정보, 지도에 나오는 지역의 사진, 동영상 등이 웹지도와 결합되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교실 IT 인프라 환경은 웹지도 활용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교사들은 기능과 디자인면에서 교사와 학생의 조작, 변형, 활용이 용이한 웹지도 서비스의 요구를 드러냈다. 또 교사들의 경력과 사회과 교수 곤란도에 따라 웹지도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4,600원
        4.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넷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36 츠 자동화 망원경이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의 추적 오차는 약 1"/분이고, 지향 정밀도는 적경 방향에서 약 ±10", 적위 방향에서 약 ±20"였다. 이것은 계속 개선되어나갈 것이다. 예비관측을 통해 얻은 영상자료를 IRAF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원격천체관측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600원
        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model for English teacher evaluation, which purports to encourage a teacher to get actively involved in his or he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upon teaching. The evaluation model using portfolio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acher should play a key role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order to bring about change in teaching. Another theoretical premise of the model is that data on teaching should be gather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observation, student performance and self-appraisal. The web-based model encourages stakeholders, e.g., administrators, headteachers, parents, to take part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 model reflects the findings of a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evaluation and their needs. It is suggested that a number of factors related to administration, technology and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odel. Some suggestions are also made concerning evaluator training, time constraints, institutional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