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ri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share the Chinese Zodiac that assigns twelve animals to each year a person is born based on the order of arrival, so-called Tti. The twelve animals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life and are regarded as more special than other animals. Thus, the animals are used in idiomatic expressions as a vehicle to more properly describe human feelings and thought.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to explore the Chinese perception about the animals.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representative semantic features of the twelve animals are as follows: [Villain], [Thief], [Misdeed], [Harmful], and [Heinous] for Rat; [Big] for Ox; [Villain], [Ferocious], [Cruel], [Heinous], [Foe], [Causing Fear], [Causing Risk], [Harmful], [Aggressor], and [Predator] for Tiger; [Agile] and [Quick] for Rabbit; [Emperor], [King], [High Status], [Authority], and [General] for Dragon; [Villain], [Aggressor], [Greedy], [Cunning], [Heinous], and [Vicious] for Snake; [War] and [Military] for Horse; [Weak], [Sacrifice], and [Dangerous Situation] for Sheep; [Nominal] for Monkey; [Small], [Slight], [Trifling], and [Useless] for Rooster; [Shabby], [Vulgar], [Bad], and [Foolish] for Dog; and [Shabby], [Vulgar], and [Wicked] for Pig. The negative semantic features were dominant in all animals except the dragon, which is consistent with a tendency that the animals are generally used to emphasize the negative aspects of a person.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animals are also presented in various domains of action, psychology, personality, morality, size, episode, speed, status, position, geographical features, attitude, shape, living, means, situation, etc.
천문학·점성학은 베다의 보조학문 중 하나이다. 그리스의 점성학과 천문학 중 하나인 황 도 십이궁도(黃道十二宮圖)는 인도에 전파되어 기근이나 홍수 등 날씨의 변화, 전쟁의 승 패, 미래를 예측하는 등 힌두인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황도 십이궁도는 13014세 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시슈타상히따』(2asiṣṭha-Saṃhitā)에서 수행의 원리로 나타난다. 『바시슈타상히따』는 아드바이따 베단따(8dvaita-2edānta, 不二一元論)를 사상적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요가 수행의 방법으로 팔지요가를 서술하고 있으면서 황도 십이궁도 (rāśi)를 호흡 수행의 원리를 수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바시슈타상히따』에 서술된 내용 가운데 황도 십이궁도에 따른 호흡 수행을 중심으로 내용을 논한다.
In modern Astronomy the vernal equinoctial (VE) point is taken as the starting point for measuring celestial longitudes. Due to the precession of equinoxes, the above point is receding back along the ecliptic. As a result, the longitudes of xed stars are increasing every year. In ancient India, the Hindu astronomers did not favour the idea of fixed stars changing their longitudes. In order to stabilize the zodiac, they had taken as the origin a point which is fixed on the ecliptic and as su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VE point. This initial point being a fixed one, the longitude of stars measured from this origin remain invariable for all time. There was an epoch in the past when this initial point coincided with the VE point and thus the epoch may be called the zero-year.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determination of the zero-year. The reasons for the choice for the fixed zodiacal system by the Hindu astronomers as well as the epoch of zero-year have been found out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vailable in various astronomical treatises of ancient India written in Sanskrit.
음양 사상과 결합된 십이지 문화는 선인들의 우주관, 생사관을 담 고 있으며 풍수지리에서 궁합, 토정비결에 이르기까지 우리일상에 깊 이 스며들어있다. 게다가 우리는 태어난 해에 따라서 띠가 정해지니 동물과 사람을 가깝게 생각했다. 십이지는 시간이나 방위를 상징하는 데 우주의 운행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실체를 나타낸 것으로 인간의 생년월일이 운명을 좌우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십이지에 등장 하는 열두 동물은 단순히 감상이나 장식용으로 그리기도 했지만 각 동물이 특별한 상징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십이지를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물화 를 살펴보고, 사신도, 해치 등 상상 속 동물 그림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 옛 그림에 등장하는 동물화는 실제 하는 동물뿐 아니라 신화나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동물들도 있어서 상상력을 중시하 는 현대회화가 추구하는 바와 일치하여 앞으로의 연구가치가 높다. 동물화를 통해 살생보다는 그림으로 대신한 <호피도>나 개의 오륜 (五倫)까지 생각하는 선인들이 생명을 대했던 마음을 공감할 수 있었 으며,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과 천지 만물과 내가 하나라는 ‘만물재동사상(萬物齋同思想)’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옛 그림에는 있지만 멸종한 호랑이처럼 토종동물들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여겼던 까치가 유해동물로 간주 되는 현대사회의 생명경시 현상을 되돌아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