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The effects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on th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rabbit was studied for a period of 21 days using isocalorids and isonitrogenous basal diet. It is investigated that the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by feeding with calcium, magnes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did not appeared but perilla oil and magnesium feeding group appeared a little bit lowering. There was no effect for the total protein, but there was some sort of effect for albumin and globulin. Particulary, alpa-globulin was increased by calcium, magnes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feeding groups. The esterified cholesterol was increased at the magnesium and perilla oil diet group. It is also, investigate that there is almost no effect for the electrolytes concentration and transport phenomena in the cell through magnesium, calcium, sesame oil and perilla oil diet groups.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의 차이(差異)가 수수속작물(屬作物)의 건물생산(乾物生産)과 성분함량(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공시작물(供試作物) 및 품종(品種)으로 수수의 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의 Pioneer 988, 수단그라스의 Piper 및 옥수수의 수원(水原)19호(號)를 공시(供試)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의 100, 80, 60
임목(林木)과 초사료생산(草飼料生産)이라는 측면에서 임간초지개발(林間草地開發)은 우리 나라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혼파초지(林間混播草地)에서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과 이용기간연장(利用期間延長)을 위한 적정시비수준(適正施肥水準)을 구명(究明)하고자 수령((樹齡) 10~15년간(年間) 소나무지대(차광정도(遮光程度) 40~50%)에서 질소, 인산, 칼리비료의 수준을 달리한 13가지 시비수준(施肥水準
옥수수 및 sorghum 식물(植物)에 있어서 생육시기(生育時期)와 환경온도(環境溫度)가 cell-wall constituents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의 Blizzard와 sorghum의 Sioux 및 Pioneer 931 품종(品種)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포장(圃場) 및 Phytotron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실내온도(室內
한국(韓國)에서 발생(發生)하고 있는 흰잎마름병균의 병원성(病原性) 변이연구(變異硏究)는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에 의한 일본(日本)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이용(利用)하여 전국적(全國的)인 균형(菌型)의 분포상태(分布狀態)를 조사(調査)하여 왔으나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사용(使用)한 균형분류(菌型分類) 결과(結果) 동일(同一) 균군중(菌群中)에서도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에 따라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이 나타나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이용(利用)한 균형분류(菌型分類)가 부적합(不適合)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한국(韓國)에서 증식(增殖) 보존(保存)할때 출수(出穗)가 늦거나 도복(倒伏)에 약(弱)하여 채종(採種)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한국(韓國)에 알맞는 판별품종(判別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한국품종중(韓國品種中)에서 선발(選拔)된 밀양(密陽) 23호(號), 청청(靑靑)벼 등(等) 7품종(品種)과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을 각(各) 균주별(菌株別)로 접종(接種)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우리나라 흰잎마름병균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과 이병성반응(罹病性反應)이 뚜렷하고 저항성유전자(抵抗性遺傳子)가 다르다고 추정(推定)되는 품종중(品種中)에서 밀양(密陽) 42호(號), 한강(漢江)찰벼, 풍산(豊産)벼, 청청(靑靑)벼, 밀양(密陽) 23호(號)가 한국(韓國) 흰잎마름병균의 병원성(病原性) 변이판별(變異判別)에 적합(適合)한 판별품종(判別品種)으로 선발(選拔)되었다. 우리나라 흰잎마름병 병원균(病原菌)의 병원성(病原性)은 일본판별품종(日本判別品種)의 반응(反應)에 의하여 I, II, III, IV, V 균군(菌群) 등(等)으로 분류(分類)되어 왔으나 한국판별품종(韓國判別品種)의 반응(反應)에 따라 Kl, K2, K3, K4, K5 레이스로 명명(命名)하였다.가 높았다. 5. 매몰병원균(埋沒病原菌)의 살균효과(殺菌效果)는 하우스-턴널-단열구(斷熱區)에서 15cm 깊이까지는 처리(處理) 7일간(日間)에 사멸(死滅)했고 20cm 깊이에서는 Pythium균(菌)과 Fusarium균(菌)을 제외(除外)하고 모두 14일간(日間)에 사멸(死滅)하였다. 6. 최고(最高)에 달(達)했다가 최저(最低)에 이르는 온도(溫度)의 반복적(反復的)인 파동(波動)이 있는 것에서 없는 것보다 단시간(短時間)에 사멸(死滅)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볼 때 하기고온기(夏期高溫期)의 재배(栽培) 휴한기(休閑期)에 PVC film을 사용(使用)하여 하우스를 밀폐(密閉)하거나 턴널을 만들어서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토양소독(土壤消毒)의 가능성(可能性)이 충분(充分)히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이었다. 그리고 5'-phosphodiesterase 생성에서 최적 탄소원은 sucrose이고 질소원은 이고 corn steep liquor나 혹은 yeast extract를 각각 0.01%씩 첨가한 구는 첨가하지 않은 control 구보다 20%의 5'-phosphodiesterase 생성 증가를 나타 내었다. 이 균이 생성한 5'-ph
3 Anechura species were reported and reviewed from Korea. The harmandi morph of A. harmandi is first recorded in Korea. Simple diagnoisis with figures were given for all species.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23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of the Cassidinae from Korea, of them 4 species are newly added here as: Cassida (Taiwania) juglans Gressitt, 1942, C.(T.) versicolor (Boheman, 1855), C. (Cassidulella) velcris Weise, 1896 and C.(C.) vittata Villers, 1789.
본 논문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lamming 충격력에 의한 선각의 굽힘 모우멘트와 전단력의 계산은 본 논문의 이론 전개방법에 의해 구하는 것이 Antonides의 적용 방법보다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2) 수치계산 예에서 보면 선체 중앙단면에서 가장 큰 sagging moment가 발생하며 Antonides의 결과치 보다 3~5%정도 더 크게 나타났다. 3) 기준진동형의 중첩항 수는 주어진 문제의 특성 및 요구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므로 고차 진동형에 대한 실측치와 이론치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Using King's model, we derived the dynamical masses of six globular clusters. The masses of clusters were calculated from the dynamical length parameters combined with the central velocity dispersion. The dynamical masses are all in the range from 2.5×105M⊙ 2.5×105M⊙ to 1.4×105M⊙ 1.4×105M⊙ . The (M/Lv)⊙ (M/Lv)⊙ , values lie between 1.0 and 1.2, which are typical for galactic clusters.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at Geumho river basin to get a basic data for Daegu basin area development plan are as the follows. 1. It is a A=0.35 L 1.848 (r = 0.97),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n area and river length at Geumho river. 2. Dividing the rainfall of Geumho river basin as two parts, a first half rainfall and a second half rainfall, the amount of a first half rainfall appeared 57.5% comparison with total rainfall. 3. The maximum flood discharge appeared 12 hrs. continuous rainfall rather than 24 hrs. continuous rainfall. 4.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from Geumho II bridge to chungchun appeared the rising water level of 69 cm, 55 cm, 44 cm, at section III in the starting point water level of 1.8 m, 2.4 m, 4.0 m respectively. 5.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by the flood water level appeared a similar form. There was a average rising water level of 30 cm at section III. At the results of this computation, it was confirmed that section III was affected the highest backwater phenomena among the observed river reaches in Geumho river. In addition, this paper should be given a assistance to decide a economic and safe section in construction of bank of river and estuary barrage.
백쥐의 사료(飼料)에 석이버섯의 수용성(水溶性) 및 EtOH 추출물(抽出物)을 지(知)하여 지질대사(脂質代謝) 및 cholesterol대사(代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한 결과(缺課),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간희(肝曦) 및 혈(血) cholesterol 저하작용(低下作用)에 관해서는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이나 EtOH 추출물(抽出物)이 동시(同時)에 유핵(有劾)하다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그리고 EtOH 추출물(抽出物)이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이 cholesterol 저하작용(低下作用)에 관여하는 유핵성출(有劾性物)은 물이나 EtOH의 추출(抽出)에 따라서 어느 쪽의 추출액으로도 이행(移行)되는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推定)된다.
Interaction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s)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was studied for a period of 30 day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as a basal diet .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8 feeding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α1-lipoprotein par lipalbumin is 0.34 for control group, 0.38 the highest group fed 0.1 Mg(II) 10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25 group fed 0.1M Mg(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2. The ratio ratio of α2-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64 for control group. 0.95 as the highest for the group fed 0.1M Ca(II) 1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0.1M Ca(II) 5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3. The ratio of β-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71 for control group, the highest 0.81 for the groups fed 0.1M Mg(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37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4. In serum triglyceride, control group was 129.5mg%, the highest 155.4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5.7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0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5. In serum cholesterol, control group was 96.7mg%, the highest 152.5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0.5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6. In case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control group was 0.95, the highest 0.98 for the group fed 0.1M Ca(II)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7. Interaction between metal(II) ion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 are soybean oil〉sesame oil〉perilla oil, for Mg(II). soybean oil〉perilla oil〉sesame oil, for Ca(II). Therefore, it is invetig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tal 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the higher, the cholesterol level is the lower,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i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