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경북대농학지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3 (1985년 12월) 26

1.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drobium kingianum의 유묘증식(幼苗增殖)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발아(發芽)에 미치는 기본(基本) 배지(培地)의 영향(影響)과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미치는 hyponex의 종류별농도(種類別濃度), auxin 농도(濃度), 당(糖), 한천(寒天) 및 pH의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는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유묘(幼苗)의 증식(增殖) 및 생장(生長)은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 IBA , sucrose , agar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形成)되었으며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해서는 auxin이 첨가(添加)되지 않은 배지(培地)에 sucrose 한천(寒天) 및 pH는 5.0이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4,000원
2.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gremont russet 사과 품종(品種)의 종자에 여러가지 종피(種皮) 파상(破傷)을 한 후 발아(發芽), 유아(幼芽), 유근(幼根)의 생장(生長)과 생리적(生理的)인 왜화(矮花)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엽(子葉)의 크기를 1/2로 절단하고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한 Egremont russet 사과 품종(品種)의 종자(種子)에 를 처리한 것은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이 55%였으며 동일조건(同一條件)에서 대조구(對照區)는 45%였다. 그리고 종피(種皮)가 완전(完全)한 것과 종피파상(種皮破傷)을 한 구(區)에서는 낮았다. 유아장(幼芽長)은 종피(種皮)를 완전히 남긴 것과 파상(破傷)한 구(區)에 를 처리하였을 때 촉진(促進)되었으나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한 구(區)에서 더 길었다. 그러나 유근장(幼根長)은 처리에 의(依)해서 억제(抑制)되었으나 유근(幼根)의 직경(直徑)은 더 커졌다. 그리고 생리적(生理的)인 왜화(矮花)는 종피(種皮)를 남긴 구(區)에서 발생(發生)되었으며 처리에 의(依)해 극복되지 않았다. 자엽(子葉)의 녹색화(綠色化) 속도는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하고 자엽(子葉)의 크기를 1/2로 절단한 구(區)에서 촉진(促進)되었다.
4,000원
3.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질계(砂質系) 답토양(畓土壤) 유형별(類型別)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Bentonite와 Zeolite를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고 수량(收量) 및 토양개량(土壤改良)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포장(圃場) 시험(試驗)하였다.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 동시(同時)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증수(增收)되었는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Zeolite 1.0 M/T, 사토(砂土)에서는 Bentonite 0.5 M/T, 시용(施用)이 각각(各各) 5%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사토((砂土)에서 Bentonite 1.0 M/T 시용(施用)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증수(有意增收)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수도경엽중(水稻莖葉中)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을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함으로써 질소(窒素)와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높아졌고 인산(燐酸) 및 염기(鹽基)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또 토양(土壤)의 pH와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다소 높아졌고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구(大邱) 신천(新川) 하상(河床) 오니(汚泥)로부터 -caprolactam이용성(利用性)이 우수한 균(菌)을 분리(分離)하여 Arthrobacter globiformis N-2-1로 동정(同定)했다. Arthrobacter globiformis N-2-1의 배양(培養)을 위한 최적배지(最適培地)의 조성(組成)은 -caprolactam 0.4%, 0.2%, 0.05%, 0.02%, 0.01%, yeast extract 0.05%이었다. 이 균(菌)의 생육(生育)을 위한 최적(最適) pH는 7.0, 온도(溫度)는 부근(附近)이었다. 본(本) 균(菌)은 무기염 배지(培地)에서 yeast extract를 가(加)하지 않고서도 -caprolactam을 잘 분해(分解)하여 증식(增殖)할 수 있었으나, yeast extract를 가(加)하면 생육(生育)이 더욱 촉진되었다. 또한 본(本) 균(菌)은 대부분의 당(糖)을 잘 이용(利用)할 수 있었고 유기산(有機酸)으로는 -ketoglutarate, adipate, p-hydroxybenzoate는 잘 이용(利用)하였으나 gluconate는 잘 이용(利用)할 수 없었다. 그리고 amino acid는 대부분 잘 이용(利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4%의 -caprolactam을 함유한 배지(培地)에서 60시간(時間) 배양(培養)으로 -caprolactam을 완전히 분해(分解)할 수 있었다. 분리균(分離菌) N-2-1에 의한 -caprolactam의 분해(分解) 생성물(生成物)은 -aminocaproic acid로 확인되었다.
4,000원
5.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대구지방(大邱地方)에 있어서 벼의 증발산량(蒸發散量) 대(對)한 산정기준(算定基準)을 정(定)하기 위(爲)하여 실험(實驗)에 의(依)해 증발산량(蒸發散量)을 측정(測定)하고, 측정(測定)된 실측치(實測値)와 이제까지 발표(發表)된 여러 가지의 증발산량(蒸發散量) 산정공식(算定公式)(Blaney & Criddle 공식(公式) 외(外) 8가지 공식(公式))에 의(依)한 계산치(計算値)를 비교(比較)하여,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벼 생육(生育)에 가장 적합(適合)한 작물계수(作物係數)를 산출(算出)함에 있다. 시험기간(試驗期間)은 1982년(年)에서 1984연(年)까지 였으며, 실험(實驗)은 경북대학교내(慶北大學校內)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실시(實施)하였고, 시험(試驗)을 위(爲)한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는 '진주(眞珠)'를 사용(使用)하였다. 실험(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증발산량(蒸發散量)은 이앙후(移秧後) 증가(增加)하기 시작(始作)하여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이르는 8월(月) 상(上) 중순(中旬)에서 최대치(最大値)을 나타냈으며, 그 후(後),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의 평균(平均) 1일(日) 증발산량(蒸發散量)은 6.33mm였다. 또한, 증발산량(蒸發散量)은 기상요소중(氣象要素中) 일사량(日射量), 일조시간(日照時間), 상대습도(相對濕度)와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지니고 있었다. 각각(各各)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884, 0.838, -0.805이었고, 증발계(蒸發計) 증발량(蒸發量)과는 상관계수(相關係數) 0.942로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지니고 있었다.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벼 생육(生育)에 적합(適合)한 작물계수(作物係數)는 Blaney & Criddle 공식(公式)에 의(依)한 K와 Kc로, 그 범위(範圍)는 각각(各各) 0.76~1.45, 0.82~1.27 이었고 최대치(最大値)는 공(共)히 8월(月) 상순(上旬)에 나타났다. 증산량(蒸散量)과 건물중(乾物重)은 상관계수(相關係數) 0.998로서 고도(高度)의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며, 평균(平均) 증산비(蒸散比)는 269.03이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작물계수(作物係數)와 증발산량(蒸發散量) 및 증산비(蒸散比)는 대구(大邱) 및 인근지역(隣近地域)의 용수원(用水源) 계획시(計劃時) 증발산량(蒸發散量)을 산정(算定)하는데 유용(有用)하게 사용(使用)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4,000원
6.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벼의 본답기간(本畓期間)에서의 용수량(用水量) 확보(確保)에 기본(基本)이 되는 소비수량(消費水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일반계(一般系) 진주(眞珠)벼, 통일계(統一系)인 태백(太白)벼와 풍산벼를 공시(供試)하여 1983년도(年度)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품종별(品種別)로 소비수량(消費水量)에 대(對)한 여러 계수(係數)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것으로서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중지표면(水中地表面) 온도(溫度)는 평균(平均) 이며 8월(月) 상순(上旬)에 모든 측정위치(測定位置)에서 최고(最高)의 온도(溫度)를 기록(記錄)하였다. 2. 벼의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은 이앙후(移秧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각(各) 품종(品種)마다 공(共)히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최대량(最大量)을 나타내고 그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평균(平均) 엽수면증발량(葉水面增發量)을 보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인 진주(眞珠)벼는 8.43 mm/day였고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인 태백(太白)벼는 7.78 mm/day, 풍산벼는 7.71 mm/day이었다. 3. 증발계증발량(蒸發計蒸發量)과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과의 비(比)는 진주(眞珠)벼가 1.71, 태백(太白)벼가 1.50, 풍산벼는 1.59이었다. 4. 작물계수(作物係數) K는 일반계(一般系)가 1.41, 통일계(統一系)가 1.30이었고 보정작물계수(補正作物係數) Kc는 일반계(一般系)가 1.40, 통일계(統一系)가 평균(平均) 1.27이었다. 5.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소비수량(消費數量)이 많았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다소(多少) 적었다. 전체적(全體的)으로 수위(水位) 2 cm인 시험구(試驗區)가 타시험구(他試驗區)보다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the critical head values of boiling and piping, sever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3 cases of model dykes on 7 kinds of pervious found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It appears that the coarser and the denser the foundation material, the higher the critical heads of boiling and piping, and that the lower the permeability of the foundation, the higher the critical heads of boiling and piping. 2. A difference in head between the moments of boiling and piping is greater in the case 2 or case 3 than in the case 1 because of the additional hydraulic resistance. And it is found that the coarser the foundation material, the greater the head difference. 3. The critical heads of boiling and piping is directly prortional to the seepage length. 4. The piezometric heads close to the singular point are of the same magnitude, provided that the geometry of the model dyke and foundation material are the same. 5. Variations of the weight of model dyke can not affect the critical hea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shown above, the critical head of piping can be more practically predicted for prototype using the results from laboratory tests on scale model.
4,200원
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계 및 양돈용 배합사료중 pellet 사료와 분말사료의 생산비를 비교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하여 박(1982)이 개발한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공장의 규모는 일산 80ton으로부터 400ton이었다.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력비는 pellet 사료가 분말사료에 비해 4배가 높았다. 2. 노동비는 pellet 사료가 분말사료에 비해 20%가 높았다. 3. 일산 200ton 규모의 경우 투자비용은 pellet 사료가 20% 높았다. 4. 고정비 및 변동비를 고려한 총생산비를 공장규모가 100ton에서 400ton으로 커질 경우 pellet 사료가 분말사료에 비해 30%에서 50%로 증가되었다.
4,000원
9.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계적(機械的)인 과실(果實) 수확장치(收穫裝置)를 개발(開發)하기 위해서는 과실(果實) 일과경계(一果梗系)의 이탈특성(離脫特性) 및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할 필요(必要)가 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는 재래품종(在來品種)인 청도반시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작용력(作用力)의 변화(變化)에 따란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의 이탈력(離脫力)과 이탈형태(離脫形態) 그리고 이탈(離脫) Torque를 측정(測定)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의 이탈형태(離脫形態)는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꽃받침으로부터 과경(果梗)이 빠져나가는 형태(形態)가 많이 나타났으며 과경축(果梗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에서 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감 과실(果實)의 기계(機械) 수확시(收穫時) 목표(目標)라고 할 수 있는 과경(果梗)과 꽃받침의 접합점(接合點)에서의 이탈형태(離脫形態)는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 과경(果梗)이 결과지(結果枝)의 일부(一部)를 부착(附着)한 채 파괴(破壞)되는 형태(形態)는 감소(減少)하였다. 감 과실(果實)의 이탈력(離脫力)은 최대(最大) 13kg에서 최소(最小) 5kg정도(程度)였으며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최대(最大) 47%에서 최소(最小) 8%까지 감소(減少)하였고, 과경축(果梗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에서 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성숙도(成熟度) 별(別)로 최대(最大) 31%에서 최소(最小) 24%까지 감소(減少)하였다. 과실(果實)의 이탈력(離脫力)과 중량(重量)과의 비(比)(F/w)는 최대(最大) 130에서 최소(最小) 54정도(程度)였으며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최대(最大) 36%에서 최소(最小) 8%까지 감소(減少)하였고 과경축(果徑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에서 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성숙도(成熟度) 별(別)로 최대(最大) 49%에서 최소(最小) 33%까지 감소(減少)하였다. 과수(果樹)로부터 과실(果實)을 이탈(離脫)시키기 위해서는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에 최대(最大) 1,280kg에서 최소(最小) 530kg정도(程度)까지의 형계력(衡繫力)을 가(加)하는 것이 필요(必要)하였다. 과실(果實)의 이탈(離脫)에 필요(必要)한 Torque의 범위(範圍)는 정도(程度)였다.
4,000원
10.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실험(實驗)은 견층(繭層) seicin에 대(對)한 몇가지 화학약제(化學藥劑) 처리(處理)의 온도별(溫度別), 농도별(濃度別) seicin 용해성(溶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공시(供試) 해서촉진제중(解舒促進劑中) 견층(繭層) seicin의 용해촉진력(溶解促進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sodium peroxide()였으며, sodium carbonate(), sodium sulfite() ammonia water()의 순(順)으로 용해촉진력(溶解促進力)이 작았다. 2. 공시(供試) 해서억제제중(解舒抑制劑中)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tannic acid()였으며, stannic acid(), formic acid(HCOOH)< methyl alcohol()의 순(順)으로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작았다. 3. 공시(供試) 해서억제제중(解舒抑制劑中)에서 formic acid와 stannic acid는 의 고온(苦蘊)에서는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溶解)를 크게 촉진(促進)하였다. 4. 공시(供試) 해서억제제중(解舒抑制劑中) methyl alcohol의 경우(境遇)는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전혀 없었다.
4,000원
11.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장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감자, 양파, 마늘 및 밤의 장기 저장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확후 l개월 이내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은 자연저온 저장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중 시료의 발아는 감자가 150Gy, 양파 및 마늘이 50Gy 밤이 250 Gy의 선량으로 8~10개월간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부패율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중량감소에 있어서도 적정선량의 조사는 네가지 사료에서 6~24%의 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식품의 품질에 관여하는 성분인 수분, 당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식품의 장기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감자, 양파 및 마늘은 50~150 Gy, 밤은 250 Gy 정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연저온저장고( R.H. 75~85%)에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4,000원
12.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ji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품질변화(品質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효소적(酵素的)인 면(面)에서 관찰하고자 preclimacteric 단계에서 수확하여 상온(常溫)() 및 저온(低溫)(), 감압(減壓)(380mmHg) 및 상압(常壓)(760mmHg)에서 저장(貯藏)하여 경도(硬度), 산(酸), 당(糖) 그리고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 및 전기영동형(電氣泳動型)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Fuji 사과의 Acid-phosphatase는 cell wall fraction에 주로 존재하며 climacteric maximum에서 최고의 활성(活性)을 보였으며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변화의 폭이 가장 크고 활성(活性)이 높았으며 그 다음 상온감압구(常溫減壓區), 저온상압구(低溫常壓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의 순(順)이었다. 효소(酵素)의 최적(最適) pH는 5.5, 최적온도(最適溫度)는 였다. 열(熱)과 pH의 안정성(安定性)을 조사한 결과 까지는 안정하였으며 pH 5~8사이에 안정하였다. 무기감(無機監) 영향에서는 Fe, Hg에 의해서 크게 저해(沮害)되었다. 저장중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저장기간별로 추출해낸 효소액(酵素液)을 전기영동(電氣泳動)시킨 결과 전기간(全期間)에 걸쳐서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4,000원
13.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마도 과실의 감압저장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마도 과실의 추숙, 노화 현상을 효소적인 면에서 관찰하고자, 퍼옥시다제의 활성 변화, 동위효소의 유무, 그리고, 이에 따른 과실내의 저장물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마도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가용성구분, 세포벽구분, 미토콘드리아구분, 리보조옴구분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 가용성과 세포벽구분의 활성이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마도의 추숙, 노화에 따라 퍼옥시다제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상온저장()에 비해, 저온저장()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그 감소 경향은 유사하였다. 상압에 비해 감압구의 활성이 높았으며, 감압구 중에서도 380Torr.구가 570Torr.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저장중 가용성(soluble), 가용화성(Solubilized), 퍼옥시다제의 전기영동 패턴(electrophoresis pattern)의 변화를 관찰한 바 3 - 4 종의 동위효소(isoenzyme)가 관찰되었으며 저장중 전기영동상의 변화가 인정되었다. 감압에 따른 저장중 일반성분의 변화는, 저온구와 상온구에 있어서, 온도에 의한 영향이 전반적으로 많이 나타나서 상온구 보다 저온구가 저장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압력에 의한 영향도 다소간 나타내어 570Torr.구보다 380Torr.구의 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상의 두가지 사실을 종합해 볼때, 저온 380Torr.구가 저장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퍼옥시다제는 밴드B가 저장초기에 있었으나 저장 6일 경에 소실되었으며 밴드A는 가용화시킨 퍼옥시다제의 경우와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며, 밴드는 저장시일이 경과할수록 전반적으로 약간 모여드는 경향이었다.
4,000원
1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장 중인 밤의 과육의 분할성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상대습도(54%, 76%, 88%, 97%, R.H.)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중 밤의 부위별(외층, 내층) 수분, 전분, 유리당 및 Tannin이 과육의 분할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중 밤과육의 수분은 상대습도가 88% 이상에서는 모두 증가하였으나 상대습도 76% 이하에서는 내층의 수분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밤의 전분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리당은 증가하였다. Tan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삽피의 tannin이 이동하므로 내층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밤의 최적 저장상대습도는 발아율, 부패율, 분할율을 고려해 볼때 상대습도 88%가 가장 양호하였다.
4,000원
15.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추이(推移)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樹立)하기 위하여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도(分布圖)(Fig 1)과 그 위도적(緯度的) 분포(分布)(Table 1)를 작성(作成)하였다. 경상북도(慶尙北道) 동북(東北)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울진군(蔚珍郡), 영덕군(盈德郡), 영양군(英陽郡), 봉화군(奉化郡)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分布)를 나타내었고, 문경군(聞慶郡), 상주군(尙州郡), 예천군(醴泉郡), 영풍군, 의성군(義城郡), 달성군(達城郡), 경산군(慶山郡), 청도군(淸道郡)에는 일부지역에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금릉군(金陵郡), 성주군(星州郡), 칠곡군(漆谷郡), 월성군(月城郡), 선산군(善山郡), 경산군(慶山郡) 지역(地域)에서는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全體的)인 송이버섯 발생(發生)의 경향은 소나무 임지(林地)의 분포(分布)나 임분(林分)의 건전도(健全度)에 밀접한 영향을 띠고 있었으며,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면적(面積)을 각군별(各郡別)로 그 수를 헤아려 보면(Table 1) 울진군(蔚珍郡) 117개소(個所), 영덕군(盈德郡) 70개소(個所), 영양군(英陽郡) 54개소(個所), 문경군(聞慶郡) 38개소(個所), 청송군(淸松郡) 37개소(個所), 안동군(安東郡) 35개소(個所), 상주군(尙州郡) 32개소(個所), 봉화군(奉化郡) 26개소(個所), 영풍군 22개소(個所), 영일군(迎日郡) 17개소(個所), 영천군(永川郡) 15개소(個所), 의성군(義城郡) 15개소(個所), 경산군(慶山郡) 10개소(個所), 군위군(軍威郡) 9개소(個所), 청도군(淸道郡) 6개소(個所), 예천군(醴泉郡) 5개소(個所), 선산군(善山郡) 4개소(個所), 달성군(達成郡) 3개소(個所), 칠곡군(漆谷郡) 2개소(個所) 월성군(月城郡)의 경우 1개 개소에서 송이버섯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전혀 발생(發生)하지 않는 지역(地域)도 있었다.
4,000원
16.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병해조사(病害調査) 일환(一環)으로 대구(大邱)와 근교(近郊)의 온실(溫室) 등(等)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19과(科) 34속(屬) 34종(種)의 식물(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Glomerella 속균(屬菌) 등(等) 16속(屬)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32속(屬) 32종(種)의 식물(植物)에서 37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Glomerell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Ceratocystis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Sphaceloma속균(屬菌), Botrytis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및 Phomopsis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9속(屬) 19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4,000원
17.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구(大邱)를 중심(中心)으로 한 5개(個) 지역(地域)에 재식(裁植)되어 있는 23과(科) 28속(屬) 32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Uncinula 속균(屬菌) 등(等) 21속(屬)의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26속(屬) 30(種)의 식물(植物)에서 45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中)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Uncinul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Discosia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Phomopsis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Fusicoccum속균(屬菌) 및 Sphaceloma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5속(屬) 16종(種)의 식물(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4,000원
1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조사(調査)는 보리해충의 종합관리체계수립(綜合管理體系樹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잠재해충을 포함(包含)한 전(全) 해충목록작성 및 주요경계해충의 개체군동태(個體群動態) 파악(把握)과 각(各) 지역(地域) 및 보리품종(品種)에 따른 발생변동요인(發生變動要因)을 조사(調査)코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보리해충은 모두 32과(科) 77속(屬) 94종(種)이며 그중 20종(種)이 새로 추가(追加)된다. 우점도(優占度)로 본 주요경계해충은 애멸구, 보리수염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알락매미충, 보리굴파리, 벼줄기굴파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 알락수염노린재등(等)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보리품종별(品種別) 주요해충의 밀도(密度)는 팔달보리에서 가장 높았고 밀양 22호(號)가 가장 낮았다. 애멸구, 알락매미충, 알락수염노린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는 6월상순(月上旬), 벼줄기굴파리, 보리굴파리는 5월중순(月中旬), 진딧물류(類)는 5월하순(月下旬)에 각각(各各) 가장 높은 발생율(發生率)을 보였다. 천적(天敵)으로서는 긴날개쐐기노린재가 21.4 %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꼬마남생이무당벌레로 9.6%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주요경계해충이 보리수확기(收穫期)인 5월하순(月下旬)에서 6월상순(月上旬)에 걸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확량(收穫量)에 별 다른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 한 조생종(早生種)을 육종(育種) 보급(普及)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同時)에 이모작(二毛作) 지역(地域)의 조식재배(早植栽培)를 유도(誘導)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양22호품종(號品種)에 대(對)한 해충의 저밀도(低密度) 요인(要因)이 화학적(化學的), 물리적(物理的) 또는 생태적(生態的) 저항성(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지 그 여부(與否)를 규명(糾明)하여 장차(將次) 육종연구(育種硏究)에 도입(導入)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또한 경제적(經濟的) 해충관리를 위해서 보리후작(後作) 작물(作物)인 콩등(等) 전작물(田作物)과 벼로 이동(移動)하는 애멸구, 진딧물류(類), 노린재류(類), 인시류등(鱗翅類等)을 보리밭에서 1차(次) 방제(防除)를 하여 그 밀도(密度)를 저하(低下)시키는 방안(方案)과 각(各) 해충의 경제적(經濟的) 피해수준(被害水準)을 설정(設定)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5,800원
19.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실험은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중(血液中) -globulin과 cholesterol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Yoghurt와 Koumiss는 Lactobacillus bulgaricus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Saccharomyccs fragilis strain을 이용하여 환원유(還元乳)로서 제조(製造)하였다. 20마리의 rat을 완전 임의배치법에 의하여 4개의 군으로 나눈 후 각각 5마리씩 배치하였으며 실험구(實險區)는 대조구(對照區)와 milk, yoghurt 그리고 koumiss를 급여한 구(區)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그리고 mixed strain은 에서 8시간 배양(培養)하였으며 배양물(培養物)의 pH는 3.7, 4.6, 3.5로 각각 나타났다. Koumiss의 평균(平均) alcohol생산(生産)은 1.2%로 나타났다. Yoghurt와 Koumiss의 평균점도(平均粘度)는 총고형분함량(總固形分含量) 11%의 milk에서 각각 1500cp와 390cp를 나타내었다.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중(血液中) -globulin 함량(含量)은 대조구(對照區)와 milk를 급여한 구(區)보다 높았다.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내(血液內)에서의 cholesterol함량(含量)은 대조구(對照區)와 milk 구(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4,000원
20.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mouse의 육종(育種) 개량(改良)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mouse 4계통(系統) (BALB/c, CBA, C3H, C57-BL)을 양면교잡(兩面交雜)시켜 생산(生産)된 362두(頭)를 공시(供試)하여 평균능력(平均能力), 잡종강세(雜種强勢), 유전변이(遺傳變異) 등(等)을 추정(推定)한 것이다. 공시(供試)된 mouse는 1984년(年) 11월(月)부터 1985년(年) 2월(月)까지 4개월간(個月間)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부속동물사육장(附屬動物飼育場)에서 사육(飼育)되었으며, 산자수(産仔數), 성비(性比), 생시체중 및 21일령(日齡) 체중과 이유율(離乳率) 등(等)을 조사(調査)하였고 각(各) 형질(形質)에 대(對)한 유전분석(遺傳分析)은 Hayman(1954a, 1954b)의 모형(模型)을 이용(利用)하여 유전변이(遺傳變異)를 추정(推定)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平均能力)에 있어서 산자수(産仔數)는 7.54두(頭), 생시(生時) 체중은 1.55g, 21 일령(日齡), 체중은 10.45g, 성비(性比)는 수컷이 53.2%로 많았으며, 전체 이유율(離乳率)은 94.13%로 나타났다. 2.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크기는 산자수(産仔數)에서 6.97%, 생시(生時) 체중에서 6.08% 및 21 일령((日齡) 체중에서는 3.54%로, 성비(性比)는 7.26% 그리고 이유율(離乳率)에서는 2.05%로 나타났다. 3. 산자수(産仔數), 성비(性比), 생시(生時) 체중, 이유시(離乳時) 체중 및 이유율(離乳率) 등(等)의 형질(形質)에 있어서 상가적(相加的) 유전자(遺傳子)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우성(優性) 효과(效果)는 산자수(産仔數)와 이유시(離乳時) 체중에서만 나타났는데 산자수(産仔數)에서는 각(各)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른 우성효과(優性效果)였고 이유시(離乳時) 체중에 있어서는 parental 계통(系統)의 평균(平均) 우성효과(優性效果)였다. 모체효과(母體效果)는 생시(生時) 체중과 이유시(離乳時) 체중에서만 나타났고, 이유시(離乳時) 체중에 있어서는 상반교잡(相反交雜) 효과(效果)도 인정(認定)되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