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경북대농학지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31 No. 4 (2013년 12월) 10

Original Article

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α-glucosidase from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fractions of Galla rhois. In FRAP and ORAC assay for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we confirmed that Galla rhois extracts ha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aqueous extract. We used trolox as a positive control. In order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α-glucosidase, we compared acarbose and Galla rhois extracts. As a result of α-glucosidase inhibitory assay,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of Galla rhois showed high inhibitory activitity and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aqueous extract.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s (IC50s) of acarbose,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fractions were 0.45 mM, 0.53 μg/mL, 0.415 μg/mL and 0.37 μ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lla rhois extracts can be a clinically useful anti-diabetic ingredient, indicating that it needs to be fractionated and isolated and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4,000원
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agricultural parameters derived from historical climate data is important for planning in agri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the magnitude and recent trends of the transpiration ratio defined as the crop water use per harvested yield for the period from 1980 to 2010. The crop water use was estimated using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s Crop Wat model for eight administrative provinces in Korea. The temporal trends and spatial uncertainty were explored using the Mann-Kendall and Theil Sen’s methods. The regional average rice yield was 6.31 t ha-1(range 5.9 to 6.9 t ha-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ce yield in Korea increased by 26 kg ha-1yr-1. Overall, the regional average transpiration ratio was 1,298 m3 t-1 (range 1,162 to 1,470 m3 t-1). From 1980 to 2010, the transpiration ratio decreased by 8.2 m3 t-1 (range 2.7 to 14.4 m3 t-1), largely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 yield. The statistical approach to historical data used in this study also provides a basis for simulating the future transpiration ratio.
4,000원
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utilization of persimmon peels as novel bio-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vinegar (DPV), Daebong persimmon peel vinegar (DPPV) and commercial persimmon vinegar (CPV)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P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titratable acidities of vinegars were 3.24% (DPV), 2.77% (DPPV) and 7.78% (CPV),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at D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browning degree of DPV was lower than CPV in contrast to the turbidity.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have showed that overall values of CPV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DPPV and DPV.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DPV and CPV were 19.49 and 17.13 mg/100g GA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DPPV (8.04 mg/100g CE) were two fold higher than that of DPV (3.85 mg/100g 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nd FRAP assays, of DPV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vinegars. Fre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Organic acid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aebong persimmon peels could be utilized for vinegar production as a health-benefit material.
4,000원

Short Communications

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08, leaf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on several Chinese chive farms in Sangju.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 was confirm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here the pathogen exhibited a strong pathogenicity toward healthy plants.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identified the isolate as from the Fusarium genus. For further analysis, PCR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with ITS region and 28S rRNA gene which are commonly used for fungal identification. However, the results provided a poor re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analyze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1α) gene. The analyzed results using TEF-1α gene indicated that the isolate was F. proliferatu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EF-1α gene is important when Fusarium sp. was identified using molecular classification method.
4,000원

Original Article

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renewable nanomaterial, cellulose nanocrystal (CNC) isolated from wood gran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in developing high performance nanocomposit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reinforcing efficiency of two different CNCs, i.e., cellulose nanowhiskers (CNWs) and cellulose nanofibrils (CNFs) from hardwood bleached kraft pulp (HW-BKP) as reinforcing agent in polyvinyl alcohol (PVA)-based nanocomposite. The CNWs were isolated by sulfuric acid hydrolysis while the CNFs were isolated by 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radical (TEMPO)-mediated oxidation. Based on measurement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individual CNWs were about 6.96±0.87 nm wide and 178±55 nm long, while CNFs were 7.07±0.99 nm wide. The incorporation of CNWs and CNFs into the PVA matrix at 5% and 1% levels, respectively, resulted in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indicating different efficiencies of these CNCs in the nanocomposit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inforcing potential of CNCs a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morphology, dimensions, and aspect ratio.
4,000원
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경전철 건설로 인한 도심의 경관훼손 저감 및 쾌적한 가로경관을 위한 교량하부녹화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 3호선이 건설되는 구간이며, 고층아파트 및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사례지로선정하였다. 교량하부 녹화방식 을 유형화한 뒤,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와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3차원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장면을 제작 하였으며,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설문평가를 실시하였 다. 분석결과, 화목열식유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 었으며, 교량경관에 대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하부의 효율 적인 녹화계획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 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Original Articl

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5품종에 대한 적정 착과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방 당 착과수를 4~5과, 7~9과 그리고 적과를 하지 않은 방임구를 비교한 결과, 적과를 함으로써 모든 품종의 평균 과중이 증가하였으며, 당도는 높아지고 산도는 낮아져 상품성이 향상되었다. 적 과 정도가 강할수록 화경장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잎 수, 엽병장, 관부직경 등은 차이가 없었다. 적과를 실시한 후 각 화방의 1번 과중을 조사한 결과, 설향과 매향 품종은 2화방에서부터 뚜렷이 과중이 커졌으며, 대왕과 싼타 품종 은 3화방의 1번 과중이 무거워졌다. 옥매 품종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대왕과 매향은 화방 당 4~5과를 남기는 강한 적과를 하는 것이 방임구에 비해 각각 4.3% 및 6.6% 증수되었으며, 싼 타, 옥매, 설향 품종은 7~9과를 남기는 가벼운 적과를 하는 것이 방임구에 비해 각각 3.1, 3.5, 9.1% 증수되었다. 결과적 으로 각 품종의 개화습성에 맞게 착과 수를 조절함으로써 과실 품질을 향상시키고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4,000원

Original Article

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중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및 myclobutanil의 생물 학적 반감기와 출하전 잔류허용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안 전사용기준에 근거한 기준량과 3배량의 약제를 살포하고 그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 중 두 농약의 잔류량은 각각의 MRL 이하로 나타났으며, 사과 중 생물학적 반감기 는 flusilazole의 경우 기준량 처리구에서 6.7일, 3배량 처리 구에서 6.2일로 나타났다. 반면에 myclobutanil의 반감기는 기준량 처리구에서 13.3일, 3배량 처리구에서 24.8일로 나 타나 flusilazole보다 더 긴 반감기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First order kinetics에 근거한 감소지수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각 농약의 감소상수는 flusilazole에 대하여 0.0513, myclobutanil에 대하여 0.0244이었으며, 산출된 감소상수들 을 이용하여 출하 전 잔류허용기준(PHRL)을 계산한 결과,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한 농약살포를 가정하였을 때 flusilazole은 수확 일주일 전 0.43 mg/kg, myclobutanil은 같은 시기 0.59 mg/kg 이하로 잔류하면 수확 시 잔류농도가 MRL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예측된다.
4,000원
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원예시설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 하고 있는 단동비닐하우스의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를 경 감시킬 수 있는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재배작물별로 대표적인 온실규격를 선정하여 안전풍 속과 적설심을 구한 후 재현기간 8년에 해당하는 지역의 설계풍속 및 적설심과 비교하여 온실의 구조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풍하중을 적용한 결과, 최 대 단면력은 과채류, 근채류, 엽채류 온실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풍 속은 엽채류 온실이 17.7 m/s, 과채류 온실이 20.2 m/s, 근채류 온실이 22.3 m/s로 나타나 지역별 8년 빈도의 설계풍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홍천, 이천, 성주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재배작물별 대표온실에 단위 적설하중을 적용한 결과, 근채류 온실의 최대 단면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재배작물별 서까래 간격을 고려한 안전적설심은 엽채 류 온실이 8.8 cm, 과채류 온실이 9.4 cm, 근채류 온실이 11.8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지역별 8년 빈도의 적설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경남지역 일부를 제 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 불안전한 것으로 분 석되었다. 3. 재배작물별 대표 온실의 안전풍속과 적설심에 대하여 구조물에 발생하는 최대 인발력은 12.7~15.1 kgf/개소, 최대 연직하중은 20.6~21.7 kgf/개소로 나타나 기초는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안전풍속과 안전적설심이 매우 작기 때문에 폭설이나 강풍에 대비한 보강이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 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 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 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 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 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 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