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 의사결정균형 , 자기효능감 :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KCI 등재

Adolescents` Stages of Change , Decision Balance , Self - Efficacy in Exercise :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단계적 변화론 모형을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적용하여,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를 예측하고, 청소년의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에 따른 의사결정 균형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규명하며, 운동행동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671명의 학생들 (남: 425명, 여: 246명; 평균연령: 15.3세)이 청소년들의 운동행동단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지적, 동기적 변인들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판 운동행동단계 질문지, 의사결정균형 설문지 그리고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671명 청소년 중, 운동단계별로 계획전단계는 117명(17.5%), 계획단계 112명(16.6%), 준비단계 137명(20.4%), 행동단계 189명(28.3%), 그리고 유지단계 116명(17.2%)으로 나타났으며, 54.5%에 해당되는 청소년들이 현재 전혀 운동을 하고 있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자청소년들은 여자청소년들에 비해 운동의 유지단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여자청소년들은 계획단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은 운동단계가 진보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그러한 자기효능감의 변이는 각 운동행동단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도 운동행동의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운동행동의 단계는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그리고 운동장해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선택한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들은 청소년의 운동행동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이전에 얻지 못했던 한국 청소년들의 운동행동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교나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을 위한 더욱 더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운동행동 변화 전략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predict stages of change in adolescent exercise behavior,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by stages of change, and to present the possible relationship model between stages of change,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A total of 671 adolescents randomly selected from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Nowon-gu district in Seoul were surveyed. Three Korean-version instruments were used to identify exercise stages of chang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ercise benefits/barriers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Stages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Decision Balance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of 671 adolescents 54.5% do not exercise or exercise irregularly (Precontemplation 17.5%, Contemplation 16.6% and Preparation 20.4%). Mal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maintenance stage, wherea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contemplation stage. The Self-efficacy scores of adolescents increased with advancing of exercise stage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ercise stages. In decision balance adolescents` exercise benefits and barriers were also substantially differences by each exercise stag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stages of exercis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exercise benefits and exercise barriers. On the basis of these correla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lf-efficacy, exercise benefits and exercise barrier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a possible relationship with exercise stages of adolescent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nd new information about relatively unstudied Korean adolescents and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etter health promo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for Korean adolescents in a school and community level.

저자
  • 김영호(서울산업대학교) | Kim Young-Ho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