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0년 10월) 172

12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싸리수염진딧물은 (Aulacorthum solani)은 상추, 가지, 감자, 토마토 등에 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최근에는 오이에서 피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2010년 천안의 친환경 시설재배 오이 농가에서 싸리수염진딧물에 의한 피해가 관 찰되었다. 피해는 오이 잎의 바깥쪽 부터 노랗게 탈색되면서 전체 잎이 황변화하 였으며, 주로 중, 하엽에서 피해가 나타났다. 싸리수염진딧물은 진딧물 중에서도 크기가 큰 종에 속해 목화진딧물이나 복숭 아혹진딧물의 방제에 이용하는 콜레마니진디벌의 기생률이 낮아, 포식성 토착천 적인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방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꼬마남생이무당벌 레의 방사시기, 방사밀도, 방사간격은 싸리수염진딧물이 50엽당 200∼300마리 사 이에 발생하였을 때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m2당 0.2마리(150마리/300평/10a) 밀 도로 12∼14일 사이에 2∼3회 방사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이 50엽당 200∼300 마리가 발생하였다.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유충을 3회 방사한 후 5월 11일 최종 싸 리수염진딧물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무방사와 비교하여 90% 이상의 밀도 감소효 과를 나타내었다.
12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남 공주시의 파프리카 세뇨리타 품종에 과실에 갉아먹은 흔적이 있거나, 찢어 지는 증상이 발생하여 원인을 알아본 결과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에 의한 피해로 구명되었다. 2010년 8월 31일 파프리카 과실 피해률은 30~40% 로 매우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어,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8월 31일 꽈리허리노린재의 사전밀도는 줄기 당 4.2마리로 조사되었다. 사전밀도 를 조사한 후 9월 1일과 9월 10일에 각각 2회에 걸쳐 친환경농자재를 1,000배 농 도로 잎과 줄기에 흠뻑 젖도록 살포하였다. 친환경농자재를 살포한 후 4일째인 9 월 14일에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처리구 과실 피해률은 3%였고, 밀도는 줄기 당 0.1마리로 방제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향후 파프리카 재배지에서 꽈리허리노린재 의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친환경농자재가 유용한 방제 수단이었다.
12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 및 산림해충의 새로운 방제제로서 주목받고 있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전 세계적으로 750여종 이상 분리,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선진국에서는 이 미 수십 종의 곰팡이가 미생물 살충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주목받고 있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최근 식물병 원성선충, 세균 그리고 곰팡이에 대해서도 그 생물학적 방제의 가능성이 증명되어 식물병원성 균주와 해충을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 히 Lecanicillium spp., Beauveria bassiana 는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기생하기도 하고 균사와 포자에 부착하여 카이티나제(chitinase) 같은 효소 및 다양한 대사활 동에 따른 영향으로 병원균을 제거하는 등 식물병원성 곰팡이균주의 성장을 저해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토마토, 고추 등 온실의 주 요 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며, 화학적 방제제로 방제가 어려운 잿빛곰팡이균주 Bortrytis cinerea 를 대상으로 길항성을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 각지의 토양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 곰팡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B. cinerea 생장을 저해하는 균주를 배양액에 의한 저해와 대치배양법을 통해 선발하 고 그 길항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균주들은 작물에서 발생하는 해충과 식물병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경제 적인 미생물제제로서 그 활용이 기대되어진다.
12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logical control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in greenhouse tomatoes with the parasitoid Encarsia formosa has been evaluated in Korea. However implementation of biological control program is retarded due to the reasons that lacks of site specific strategies. Aim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1) To develop an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method of the whitefly in tomato plants; the following were studied: (a) development of proper introduction rate of parasitoid, E. formosa, for the control of whiteflies, and (b)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control method of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s with a parasitoid, Diglyphus isaea. (2) To build a computer-simulation model in which all factors are incorporated which have been stud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fly and the parasitoid. The computer-simulation models would be used to estimate the effect of future developments in the greenhouse industr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greenhouse whitefly using E. formosa. More general goals are to develop reliable evaluation techniques to test the pest-control ability of natural enemies prior to their use in practical situations and to determine which role simulation models may play in estimating the results of biological control in new situations.
12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raction effect of spearmint oil and to confirm their EAG response against lantern fly, Lycorma delicatula nymphs and adult. In dose responses to spearmint oil, 2nd ∼ 4th nymphs and adult were significantly attracted at a dose of 5㎕. Attraction effect was showed highest (84.8%) at a 4th instar nymph, and mild effect (approximately 60%) was observed at 2nd∼3rd instar nymphs, but the others are not showed the significance. At a dose of 10㎕, 4th instar nymph and adult were significant and only 4th instar nymph was significantly attracted at a dose of 2.5㎕ but the others are not. Carvone, a constituent of spearmint oil, exhibited significantly attraction effect on nymphs and adult except 1st and 2nd instar nymphs. But limonene did not show any attraction effect. The attraction assay of L. delicatula to the mixtures of constituents appeared to be efficient additively. In EAG response to spearmint oil which exhibited attraction effect, antennae of 4th instar nymph and adult responded to only carvone. In conclusion, attraction effect of spearmint oil was more effective in 4th instar nymph and adult than 1st ∼ 3rd instar nymphs.
12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s been banned by Montreal Protocol due to ozone depletion in developed countries since 2005 but uses for quarantine & pre-shipment (QPS) remains exemption due to no appropriate alternatives yet available. However, in 2010, the prohibition of QPS in European Union(EU) will be expected to phase out MB worldwide use. There is an inevitable need for MB alternatives technology. Also, other consumer's demand in QPS is that MB has damaging effect to the quality of highly valuable fresh products: some fruits, vegetables and mostly cut flowers. We evaluated 2% of phosphine(PH3) and 98% of CO2 mixtures as MB alternative in export cut flower fumigation. On sensitivity test, larvae of Aphis gossypii were most tolerant to PH3 fumigation in all stage of A. gossypii, Tetranychus urticae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e LC99 and LCT99 value of mixture gas for larvae of A. gossypii was 55 mg/L (24hr, 15℃) and 1,224 mgh/L(15℃), respectively. On confirmation trials scheduled in 28m3 container, all stages of A. gossypii, T. urticae, and F. occidentalis were completely controlled in 100g/㎥ of mixture gas for 24hrs at 8℃, and no damage was observed in roses, chrysanthemums, and lilies. The PH3 and CO2 mixture technology in cut flowers fumigation and their application will plays an practically important roles in further MB replacement strategy in Korea.
12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auveria bassiana 등의 곤충병원성곰팡이를 해충방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 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대량배양방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방 안으로 다음의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곰팡이의 배양 시 곡류는 탄소원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질소원이 부족한 반면, 기장은 탄소원은 물론이거니와 질소원 역 시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포자 생산과 균사생장에 있어서 매우 매력적인 재료이므 로 기장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B. bassiana 균주를 PDB 배지에 2 5℃, 5일간 배양하여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고체 배지원인 기장은 물에 불리는 시 간을 달리하고(10분, 30분, 60분) 버섯재배용기에 넣고 121℃, 30분간 멸균후 B. bassiana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온도는 25℃±0.5, 습도 30%±5, 암조건에서 배 양하였으며, 배양 15일 후, 1.9×109cfu/g, 2.9×109 cfu/g, 3.0×109 cfu/g의 포자를 생 산하였다. 최초 접종량은 5ml, 10ml로 달리하여 배양하였으며, 초기 배양성은 30 분, 60분 불리고, 10ml접종한 것이 좋았으나, 배양 20일 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 토마토 시설재배에서는 다양한 해충이 대량 발생하지만 친환경적인 방 제 방법이 부족한 상황이다. 친환경농가에서는 병해충을 방제를 위해 다양한 자재 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불분명한 것이 많다. 토마토농가에서는 여러종류의 포살용 트랩과 해충의 유입을 막는 방충망도 널리 이용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40mesh /1inch 방충망와 유아등-흑설탕트랩을 이용한 거세미나방 방제효과와 한냉사와 방제용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가루이 방 제시험을 화천과 아산에 위치한 유기재배농가에서 수행하였다. 나방에 대한 트랩 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흑설탕에 비해 유아등이 나방 유인력이 훨씬 높았으며 트 랩과 방충망을 설치한 토마토온실에서 단 1개의 피해과만 나타나 68개의 피해과 가 난 동일규모의 근접 온실에 비교해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냉사와 방 제용트랩을 설치한 온실에서 재배 초기 가루이의 성충밀도는 16마리(/트랩)였고 무설치구에서는 약 45마리로 가루이의 초기 방제에 끈끈이 트랩의 방제효과 가능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냉사의 사용상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온실 온도상 승을 억제하기위해 무동력환풍기를 하우스내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12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팔파바구미는 자운영 및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의 생체량 확보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해충이다. 즉 녹비작물의 안전 및 안전생산은 알팔파바구미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서 그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알팔파바구미를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친환경 농자재 가운데 몇 종을 선발하여 처리효과 를 검정하였으며, 알팔파바구미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인 4월에 친환경 자재의 처리시기 및 횟수에 따른 알팔파바구미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자재 가운데 고삼, 님+고삼, 고삼+멀구슬, 베라트린으로 조성된 자재 의 방제효과가 8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처리시기 및 횟수에 따른 방제효과는 1 회 처리는 4월 중순, 2회 처리는 4월 상순+4월 중순의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금년도의 기상이 예년에 비해 매우 낮았던 것을 고려하면 1회 처리 시기는 해당년도의 기상과 알파바구미의 발생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따라서 자운영 및 헤어리베치의 문제해충이 알팔파바구미는 상기에 제시된 친 환경 농자재 등을 이용하여 4월 상순과 중순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 로 여겨진다.
13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판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19종을 대상으로 실내에서 퉁퉁마디뿔나방 (Scrobipalpa salinella) 유충을 대상으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90% 이상의 살 충효과를 나타낸 것은 수도응삼이 등 15개 제품이었다. 실내에서 살충효과가 우수 한 수도응삼이 등 5종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및 자체 개발한 B.t HARI042균주를 대 상으로 전남 신안군 증도면의 함초 재배포장에서 퉁퉁마디뿔나방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체 개발균주인 B.t HARI042균주의 방제효과가 88.1%로 가장 높 았고, 친환경유기농자재인 수도응삼이, 선초 및 멸다이의 순으로 80% 이상의 방 제효과를 보였다. 함초 재배지에서 퉁퉁마디뿔나방의 친환경적인 관리체계는 유 충이 1년에 3회 피해를 주기 때문에 6월 상순부터 8월까지 주 발생시기 초기에 각 각 1회씩 3회 처리하면 퉁퉁마디뿔나방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13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gricultural fields, the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potential as the biological control agents due to their role of natural enemies for insects. To address the requirements of a potential South Korea based biocontrol effort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various entomopathogenic fungi in 1080 soil samples representing from various area and locations in South Korea. Entomopathogenic fungi were isolated from soils using semiselective medium SDA-D50 contained saboraund dextrose agar, 50 ug/ml dodine, 100 ug/ml chloramphenicol and 50 ug/ml streptomycin. The isolated putative fungi were identified by the determination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of the nuclear ribosomal analysis. As a result, entomopathogenic fungi were found to occur in 30.8% of the soil samples studi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Beauveria bassiana (Bals.) Vuill. and Meta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 Isolates of B. brongniartii, Cordyceps sp., Lecanicillium sp., Isaria sp. and Tolypocladium cylindrosporum were also found. The occurrence of entomopathogenic fungi was analyzed by the area and soil types. These positive entomopathogenic fungi may have potential against variety pests in agriculture and forest
13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북 청주․청원에 위치한 4곳의 포도원과 진천군에 위치한 포도원 3곳에서 포도 나무 가지에 산란된 난괴를 흰색 망사자루를 이용하여 주변과 격리시키면서 부화 되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5월 13일부터 6월 4일까지 23일간, 부화된 꽃매미 약충수로 조사하였다. 청주․청원지역에서 꽃매미 부화시기는 5월 15일에 처음 부화한 것을 시작으로 5월 19일부터 23일까지 꽃매미 부화가 집중되었고, 진 천지역에서는 5월 17일에 부화한 것을 시작으로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꽃매미 부화가 집중되었다. 꽃매미 총 부화기간은 청주․청원지역은 19일간, 진천지역은 15일간이었다. 꽃매미 부화가 끝난 시기는 청주․청원은 6월 2일, 진천지역은 5월 31일 이었다. 꽃매미 방제는 알 기간인 겨울철에는 알집제거, 약충시기에는 약제살포로 방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꽃매미 부화시기 조사는 꽃매미 방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13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evious study, the plant essential oils such as clove bud , thyme white and garlic oils gave potent toxicity with the range of 1.5 to 4.5×10-3 ul cm-3 of LC50 values against Bemisia tabaci. Based on the bio-assay results, three plant essential oils(clove bud, thyme white and garlic) were applied to 30% emulsion type. The 100, 200 and 400 fold dilution of these emulsions was showed mild toxicity under port scale treatment against Q biotype. At each fold dilution, clove bud showed 44, 26 and 14%, and thyme white produced 44, 39 and 27%, respectively. Of garlic emulsion, its toxicity was evaluated with 27, 26 and 11%, respectively. But, in case of clove bud and thyme white mixture, their toxicity was more good under the mixture than under the single treatment. Mixture with clove bud 200 fold dilution adding to thyme white 200 fold dilution showed potent activity with 86% mortality. And also 200 adding to 400, and 400 to 400 exhibited 61%, 76%, respectively. These essential oil mixtures showed similar strong toxicity against B biotype under port scale test. In particular, the mixture with clove bud 200 fold dilution adding to thyme white 200 fold dilution showed the highest synergistic effect. Toxicity to plants, except the 100 fold dilution of these emulsions was not observed.
13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response evaluation of 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s (HPLEDs) as potential attractants to the Spodoptera exigua adults, we investigated the attractiveness of specific wavelength, illuminance intensity and light-exposure time, and compared them to the fluorescent. The all light treatments with the 40 lux intensity attracted the significantly highest number of S. exigua. The optimal light-exposure time exhibited the highest attraction rate at the 60 min. When the attraction and repellent rate in the optimal conditions to the S. exigua was surveyed, the white HPLED exhibited the highest attraction rate (91.1%), whereas the red HPLED exhibited the most repellent rate (33.3%). When evatuated of illuminance efficiency with fluorescent as control, white and red HPLED were found to be 9.14 and 10.34 times more efficient than fluorescent. These data clearly show that both the 40 lux intensity and the 60 min light-exposure time by using the white HPLED was the most suitable for attraction of the S. exigua.
13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들어, 많은 농민들은 종합적인 해충관리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종 천적에 독성이 강하거나 악영향을 미치는 작물보호제가 사용되어 천적을 이 용한 효과적인 해충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에 등록된 살충제, 살균제, 살비제에 대해 파프리카 주요 발생해충인 가루이류, 진딧물류 방 제 천적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는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어비진디벌(Aphidius ervi), 진디면충좀벌(Aphidius colemani), 온실가루이좀벌 (Encarsia formosa), 황온좀벌(Eretmocerus eremicus)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콜레마니진디벌과 어비진디벌의 경우 7종의 약제가 직접살 포에 의해서는 100%의 사망률을 나타내어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간접살포에 의 해서는 처리 후 14일까지도 1종을 제외하고 75%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진디 면충좀벌의 경우 4종의 약제가 직접살포에 의해서 70%이상의 사망률을 나타내어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간접살포에 의해서는 처리 후 14일까지도 75%이하의 생존 율을 나타냈다. 담배가루이좀벌과 황온좀벌의 경우에는 각각 10종과 9종의 약제 에서 직접살포에 의해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13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and evaluate the DNA damage in Plutella xylostella. Adults and pupae of P. xylostella were irradiated with 30, 50 and 100 Gy electron beam. Hatchability and fecundity of adults declined as increased irradiation doses. When pupae were irradiated with 100 Gy, fecundity of emerged adult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no eggs hatched. However, the adults longevity and emergence of pupae did not change. Assessment of DNA damage in cells obtained from adults and pupae of P. xylostella was carried out using single-cel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Electron beam-radiated adults and pupae showed that tail length and percentage of DNA damage at all the dos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ntrol batch. Our results suggest that electron beam induces sterility through the DNA damage and this technique could contribute to analytical identification of an effective disinfestation and quarantine treatment.
13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녹비작물로 활용이 기대되는 세스바니아(Sesbania exaltata)에 발생되어 피해를 주고 있는 콩명나방(Maruca testulais)의 발생, 피해 및 방제법을 조사한 결 과; 간척지와 숙답화된 두 조사지역에서 콩명나방(Maruca testulais)의 발생 및 피 해는 6월 하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9월 상순에서 중순까지 큰 피해를 주었다. 피해양상은 주로 잎을 말고 그 속에서 가해하는데 심한 경우 꽃잎까지 말아서 가 해한다. 두 조사지역 중에서 숙답화된 지역 보다는 간척지역에서의 피해엽률이 높 았다. 세스바니아 콩명나방에 대한 우수약제를 선선발하기 위하여 루페뉴론 유제 등 4가지 약제를 대상으로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공시약제 모두 90% 이상의 방 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콩명나방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시기 및 방제횟수는 유충 의 발생이 늘어나는 7월 상순에 1회 방제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13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5개 지역(경기 화성, 경북 상주, 경북 영천, 전북 남원, 충북 영동) 포도 수출 단지를 대상으로 검역대상 해충을 비롯한 발생 해충 조사를 포도 생육기간 중에 조사하였다. 각 수출단지에서 10농가 과원을 대상으로 과원 당 20주 이상의 포도에서 피해를 주는 해충을 엽과 신초, 열매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50,810개의 신초와 514,437엽을 조사한 결과 포도수출단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 는 해충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Lygocris spinolae)와 이슬애매미충(Arboridia kakogawana), 볼록총채벌레(Scirothrips dorsalis), 참콩풍뎅이(Popillia flavosellata), 포도들명나방(Herpetogramma luctuosalis),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주홍날개꽃매미(Lycorma delicatula),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등이 었는데 미국의 검역 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tiferalis)이나 버찌가는 잎말이나방(Eupoecilia ambiguella), 도깨비잎말이나방(Sparganothis pilleriana), 열매꼭 지나방(Starhmopoda auriferella), 포도애털개나방(Nippoptilia vitis)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전체 조사지역에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율이 가장 높았으 며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열매 피해가 발생하였다. 포도들명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남원지역 1개 과원과 화성지역 2개 과원, 영동지역 3개 과원에서만 피해가 확인되 었고, 이슬애매미충에 의한 피해는 영천과 영동지역에서는 목격 되지 않았다. 발 생 해충의 종류나 밀도는 지역 간 보다 지역 내 과원 간 차이가 많았다. 열매에서는 볼록총채벌레 피해이외에는 남원지역 1개 과원에서만 가루깍지벌레에 의한 피해 과가 1.5% 발생하였다.
13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과 솔껍질깍지벌레, 솔잎혹파리는 소나무류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들이다. 이들 해충들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무주사가 있으나 각각의 해충 에 대한 방제약제와 나무주사 시기가 서로 다르다. 최근에는 이들 해충들의 피해가 동 일기주에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 방제약제와 나무주사 시기를 달리 적용하고 있는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침투이행성이 높은 약제를 나무주사하여 동일기주에서 2종 이상의 해충(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솔껍질깍지벌레, 솔잎혹파리) 에 대한 동시방제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티아메톡삼 분산성액제(15%)와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20%)를 흉고직경 cm당 0.6ml씩 5월 초에 나무주사하여 65일 경과 후 솔수염하늘소를 가지에 접종하 여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치사율 100%를 보였으며, 접종된 가지에서는 섭식흔도 발견되지 않았다. 솔잎혹파리에 대한 방제가능성을 검정하기 위해 티아메톡삼 분산 성액제,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 아세타미프리드 액제(10%)를 5월 초에 소나 무를 대상으로 나무주사하여 솔잎혹파리의 충영형성과 충 폐사율을 조사한 결과 이 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와 아세타미프리드 분산성액제 처리구에서는 충영이 미 형성되어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티아메톡삼 분산성액제 처리구에서는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6월에 나무주사하여 솔껍질깍지벌레에 정 착약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00% 살충효과를 보였다.
14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솔껍질깍지벌레(Masucoccus thunbergianae)는 1987년 Miler와 Park이 최초로 보 고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고흥군 도양읍 비봉산의 해송림에서 고사목이 발생 하면서 피해가 시작되었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전남, 전북, 경남, 부산, 울산 등 주로 남․ 서해안 지역의 해송림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주로 남해안 지 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에 내륙지역의 해송림에서는 피해가 발생되 지 않고 있어 발생양상에 있어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주로 부화약 충기나 난낭시기에 주로 바람에 의해 자연확산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조경수나 가로수 로 식재할 목적으로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을 굴취하여 다른 지역에 이동, 이식하는 인위적 확산도 있을 수가 있다. 솔껍질깍지벌레 피해임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는 해충의 정확한 분포와 확산양상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송이 대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지역(92개 시군구 677개 읍면 동)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단위면적당(φ 1cm) 밀도를 조사 하였고, 출현빈도율을 이용하여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솔껍질깍지벌레는 60 개 시군구 373개 읍면동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분포도를 중첩 한 결과 혼생피해지는 18개 시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조사지역 16개 구군 79개 읍면동 중 16개 구군 65개 읍면동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남은 19개 시군 204개 읍면동 중 12개 시군 90개 읍면동에서, 전남은 19개 시군 196개 읍면동 중 18개 시군 166개 읍면동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솔껍질깍지벌레의 단위면적당(φ 1cm) 충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기장군 장안읍으 로 4.5마리였다. 솔껍질깍지벌레의 충 출현빈도율이 50%이상인 지역은 전남 보성군, 고흥군, 신안군,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로 나타났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 하여 60개 시군구 373개 읍동의 솔껍질깍지벌레 충 출현빈도율 자료를 기초로 분포도 를 작성하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