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0년 10월) 172

6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the oviposition biology of arrowhead scale, Unaspis yanonensis (Kuwana) (Homoptera: Diaspididae), the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overwintered females were examined at various temperatures (16, 20, 24, 28, and 32℃). The total fecundity increased with rising temperature, showed a maximum of 260.9 crawlers per female at 24℃, and then declined thereafter. Females showed a periodical oviposition activity. The 1st cycle fecundity was identified at all temperatures examined,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16 and 28℃. However, the 2nd cycle fecundity and later cycle fecundity were much lower at 16, 20, and 32℃ than those at 24 and 28℃. The pre-oviposition period ranged from 49.0 d at 16℃ to 19.7 d at 32℃, and was the shortest 19.4d at 28℃. The linear lines of mean development rates (1/mean pre-oviposition period) against temperatures provided the estimate of low-threshold temperature 8.7℃ for pre-oviposition stage and the thermal constant of 358.1 DD.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rmal constant for the completion of U. yanonensis pre-oviposition period well predicted the first crawler occurrences in the fields.
6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le cicadas produced species-specific calling songs to attract conspecific receptive females. Male cicadas typically occupy tree trunks or tree branches during calling song production. We studied calling site preference in four species of cicada: Cryptotympana dubia, Meimuna opalifera, Oncotympana fuscata, and Meimuna mongolica. Several males were observed to sing together in a tree in C. dubia, but males of other species tended to sing singly in trees.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two or three individuals of different species sang together in a tree. Species differed significantly in height of and distance to trunk from calling site. Both tree height and tree crown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calling site preference. The height of calling site was the highest in C. dubia, followed by M. opalifera, M. mongolica, and O. fuscata. The distance to trunk from calling site in M. opalifera was the farthest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pecies. Males of other species tended to sing close to tree trunks. Males of M. opalifera were mobile when they produced calling songs, whereas males of other species were stationary. That is, males of M. opalifera sang only for short periods of time and moved around adjacent trees. Segregation of calling sites suggests that these four cicada species occupy different sections of trees, thereby avoiding competition for calling sites.
6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le cicadas produced species-specific calling songs to attract conspecific receptive females. Male cicadas typically occupy tree trunks or tree branches during calling song production. We studied calling site preference in four species of cicada: Cryptotympana dubia, Meimuna opalifera, Oncotympana fuscata, and Meimuna mongolica. Several males were observed to sing together in a tree in C. dubia, but males of other species tended to sing singly in trees.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two or three individuals of different species sang together in a tree. Species differed significantly in height of and distance to trunk from calling site. Both tree height and tree crown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calling site preference. The height of calling site was the highest in C. dubia, followed by M. opalifera, M. mongolica, and O. fuscata. The distance to trunk from calling site in M. opalifera was the farthest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pecies. Males of other species tended to sing close to tree trunks. Males of M. opalifera were mobile when they produced calling songs, whereas males of other species were stationary. That is, males of M. opalifera sang only for short periods of time and moved around adjacent trees. Segregation of calling sites suggests that these four cicada species occupy different sections of trees, thereby avoiding competition for calling sites.
6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관행관리와 친환경관리를 하는 경북 상주시 공검면 일대 10개의 배과원에서 2005년부터 5년간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발생을 페 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5월상순에 월동성 충이 발생이 시작되어 7월상순에 제 1세대성충이 최성기를 보였으며 8월상순~9월 중순에 2세대 성충이 발생하였고 그후 성충은 급감하였다. 년간 누적 발생량의 변 이계수는 약 12%~47% 이내의 과원별 발생량의 차이를 보였다. 사과무늬잎말이 나방은 월동 세대 성충이 5월상순에 월동성충이 발생되어 7월상순에 발생 최성기 를 이루고, 8월상순~9월상순까지 2세대 성충이 최성기를 이루고 9월중순부터는 발생량이 급감하였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사과무늬잎말이나방보다 년간 누적 발생량은 조금 더 많았다.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과원별 연간 누적 발생량의 변이 계수는 13~55%로 과원별로 발생량의 차이가 매우 컸다. 상주지역 배 과원에서 애 모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무늬잎말나방의 발생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 았다.
6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민달팽이류는 온난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국내의 시설작물 재배 시 주요 관 리대상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다. 민달팽이류는 주로 야간과 흐린 날에 은신처에서 나와 적극적으로 활동함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고 방제효과도 높지 않는 것으로 여 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작물 재배 시 야간에 작물생육을 위해 전조하는 광 파장에 따른 민달팽이류의 유인행동반응을 조사하여 민달팽이류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하였다. 자체 제작한 정육면체의 흑색 아크릴상자(높이×폭=50cmx 70cm) 내 부의 중앙에 원통형(직경 25cm) 방을 두고 그 주위로 6개의 방을 일정하게 두어 중앙의 방에 두줄민달팽이, 작은뾱족민달팽이 및 노랑뾰족민달팽이를 각각 방사 하여 위면 뚜껑내부에 적색(610nm), 주황색(587nm), 황색(572nm), 연두색(557nm) 및 초록색(527nm) LED광을 부착하여 방사한 민달팽이류가 어떤 LED광의 방으 로 이동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두줄민달팽이는 주황색(15.8%)으로 가장 많이 이동 하였고, 다음은 황색(11.7%)>연두색(3.3%) >초록색(1.8%)의 순 이었다. 작은뾰 족민달팽이의 이동도 두줄민달팽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주황색(21.6%), 황색 (20.0%) 및 적색(14.2%)에서의 이동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노랑뾰족민달팽이 는 모든 광원에서 10.0% 이하의 낮은 이동률을 보였으나, 주황색(10.0) 및 적색 (6.7%)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민달팽이류는 단파장 보다는 장파장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에 관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6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응애혹파리(Feltiella acarisuga) 유충의 일일 점박이응애 알, 약충, 성충에 대한 포식수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의 알은 77.9개, 약충은 31.4마리, 성충은 28.1마 리를 포식하여, 응애혹파리는 점박이응애의 약충과 성충 보다는 알을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응애혹파리의 알, 1령충, 2령충, 3령충, 번데기의 온도에 따른 발육기간을 조사 한 결과 15℃에서는 4.2∼10.3일, 20℃에서는 3.0∼7.4일, 25℃에서는 2.3∼6.9 일, 30℃에서는 1.9∼6.2일, 35℃에서는 1.7∼5.7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기 간은 령기에 관계없이 짧아졌으며, 번데기가 다른 령기 보다 발육기간이 길었다. 응애혹파리의 알, 1령충, 2령충, 3령충, 번데기의 25℃에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령충이 92.3%, 번데기가 97.2%였으며 령기에 관계없이 모두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6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응애혹파리(Feltiella acarisuga) 유충의 일일 점박이응애 알, 약충, 성충에 대한 포식수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의 알은 77.9개, 약충은 31.4마리, 성충은 28.1마 리를 포식하여, 응애혹파리는 점박이응애의 약충과 성충 보다는 알을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응애혹파리의 알, 1령충, 2령충, 3령충, 번데기의 온도에 따른 발육기간을 조사 한 결과 15℃에서는 4.2∼10.3일, 20℃에서는 3.0∼7.4일, 25℃에서는 2.3∼6.9 일, 30℃에서는 1.9∼6.2일, 35℃에서는 1.7∼5.7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기 간은 령기에 관계없이 짧아졌으며, 번데기가 다른 령기 보다 발육기간이 길었다. 응애혹파리의 알, 1령충, 2령충, 3령충, 번데기의 25℃에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령충이 92.3%, 번데기가 97.2%였으며 령기에 관계없이 모두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6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odelphax striatellus(SBPH) (Homoptera:Delphacidae) is a major rice insect pest in Asia. It brings the indirect damage by transmitting Rice Stripe Virus (RSV) and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Molecular markers for genetics studies will be very helpful for dynamics of SBPH and viruses. For surveying genetic variation among populations of SBPH by microsatellite analyses, we used an enrichment strategy to develop microsatellite markers from SBPH. Eight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were selected to characterize genetic structuring of SBPH populations.
6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과원에서 매년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주요 나방류의 친환경적 발생억제 전략을 세우기 위하여, 페르몬 트랩을 이용하여 발생동향을 조사하였고, 미생물농 약과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한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발생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 용한 페르몬으로는 Z8-12Ac, E8-12Ac, Z8-12OH(복숭아순나방)를 비롯하여, Z13-20-10Kt(복숭아심식나방), Z11-14Ac, E11-14Ac(사과무늬잎말이나방), Z9-14Ac, Z11-14Ac(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등을 사용하였으며, 1주일 간격으로 lure를 갈아주고 유인된 나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가장 많이 유인 포살되었고, 복숭아순나방은 7월 하순과 9월 상순에, 복숭아심식 나방은 8월 상순에 발생 전성기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나방류의 발생을 억제 하기 위하여 친환경농자재를 살포하고 1주일 간격으로 피해엽을 조사한 결과, CNU141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친환경농자재들의 살충력을 검 정하기 위하여 나방류 해충을 채집하여 실험실로 가져와 실내 검정을 실시한 결 과, 다이나와 청멸이 80%이상의 방제가를 보였고, CNU141과 109균주도 75%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미생물살충제로 이용할 수 있는 BT균주로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7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hich is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aelea sp. using two geostatistical methods. Two adjacent sampling plots were selected and named as "Sector A" and "Sector B". Sector A area was 63 ha and Sector B area was 420 ha, respectively. We arbitrarily separated each sampling plot by 50m×50m grids. Sector A and B were separated by 19×15 and 43×41 grids, respectively. The oak wilt disease damage level of tree was classified by amount of frass of Ambrosia beetle near target oak tree as follows: Lost tree (LT), Severe damage (SD), Intermediate damage (ID), and Light damage (LD). Number of each damage level of oak tree was counted and recorded in each sampling grid.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mathematical variogram models and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Variogram model ranges were 179~368m in Sector A and 634~1073m in Sector B, respectively. The damage levels of all trees in each sector were indicated as aggregated distribution by aggregation indices of SADIE (Ia > 1). Each damage level pair had strong association in the consecutive orders than in any random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ADIE association test. The spatial dependence and association of oak wilt damage levels presented here provide the baseline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and manage oak wilt disease in Korea.
7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를 10개 온도조건 (12.5, 15, 17.5, 20, 22.5, 25, 27.5, 30, 32.5, 35℃), 14:10 (L:D)h 광조건, 상대습도 20-30%의 항온기 에서 개체 사육하며 성충까지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온도 의존적인 선형, 비선 형 발육율 모형과 생리적 연령을 기반으로 하는 발육완료 모형의 모수는 알, 어린 약충 (1-3령), 노숙약충 (4-5령)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알은 모든 온도조건에서 1령 약충으로 발육 가능하였고 발육기간은 12.5℃에서 44.5일로 가장 길었으며, 35℃에서 5.8일로 가장 짧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 육기간도 짧아졌다. 약충은 고온 조건인 32.5, 35℃에서 성충까지 발육이 불가능 한 특성을 보였으며, 발육 가능한 온도 조건에서는 모두 5령을 경과한 후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어린약충 (1-3령)의 경우 12.5℃에서 발육기간이 58.4일로 가장 길었 고 30℃에서 7.4일로 가장 짧았으며, 이보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육기간이 다 시 길어지는 양상을 보여 35℃에서는 12.3일이 소요되었다. 노숙약충 (4-5령)은 12.5℃에서 발육기간이 75.5일로 가장 길었고, 27.5℃에서 6.9일로 가장 짧았다. 알, 어린약충, 노숙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1.4, 10.2, 11.0℃였고 발육에 필 요한 유효적산온도는 111.0, 137.7, 109.7 DD였다. 알 발육에서 온도와 발육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비선형 모형들 중 Logan-6 모형 을 제외한 모든 모형에서 결정계수 값이 0.99로 높았으며, 어린약충과 노숙약충 발 육의 경우 Lactin-2 모형의 결정계수 값이 가장 높아 해석력이 가장 좋았다. 알, 어 린약충, 노숙약충의 누적발육완료 패턴을 3-parameter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 발육단계의 결정계수(r2) 값이 0.90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7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Thunberg))는 콩과 작물의 주요 해충이었으나, 2000년 이후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감, 사과 등의 과수에서도 돌발적으로 피해를 주는 문제 해충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하고 복잡한 서식환경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포획밀도를 조사하여 밀도 증식 및 서식처이동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트랩간 거리를 사방 0.5km로 설정하여 총 24개 지점에 집합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성충 포획 밀도를 조사하였다. 월동성충은 3월 하순에 최초로 채집되었으며 5월 중순경이 월동 성충 포획 최성기였다. 6월 상순부터 약충이 발견되었으며 7월 상순이 1세대 신성충 포획 최성기였다. 다시 8월 상순부터 포획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지속적으로 포획밀도가 증가하였다. 조사지점별 발생특성을 보면 전 조사기간 동안 포획밀도가 낮았던 곳이 5개지점, 월동 성충부터 점진적으로 밀도가 증가한 곳이 12개 지점, 외부로부터 이동에 의해 특정시기부터 급격한 밀도 증가 특성을 보이는 7지점으로 구분가능 하였다. SADI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를 이용하여 조사지역의 공간분포 특성 분석 결과 5월 20일 (Ia=1.098, Pa=0.2564) 경에는 약한 집중분포 , 7월 8일은 (Ia=0.953, Pa= 0.4872) 무작위분포, 8월 13일은 (Ia=1.329, Pa=0.0256) 강한 집중분포 , 9월 10일 (Ia=0.948, Pa=0.6410) 조사시에는 무작위분포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조사지역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7월 중순까지 무작위 분포하던 성충들이 8월 상순경에 특정 지점으로 집중된 후 9월 상순이후 다시 분산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7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함초 자연발생지(전북 김제시 광활면) 및 재배포장지(전남 신안군 증도면)에서 의 퉁퉁마디뿔나방의 발생생태를 조사한 결과, 2지역 모두 1년에 4회 발생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부화유충은 김제지역에서는 5월 중순, 신안지역에서는 5월 하순 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각 세대별 최고 발생시기는 1 세대는 6월 중순, 2세대는 7월 상순, 3세대는 8월 중순 이었다. 그러나 4세대 유충 은 9월 상·중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지만 함초에 큰 피해를 주지 못하였다. 퉁퉁마 디뿔나방 성충의 산란은 함초의 아래쪽 목질화된 부위뿐만 아니라 함초 재배지 주 변의 말라 죽은 잔재물에 여러 개의 알을 집중적으로 낳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 라서 퉁퉁마디뿔나방은 포장 주변 염생식물에서 월동을 한 후 성충이 포장에 잔존 하는 염생식물에 산란하기 때문에 영농초기에 염생식물의 마른 잔재물 제거를 통 해 이 해충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7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조명나방 유충의 기생천적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10월에서 2010년 4월까지 수원과 홍천, 김제, 대구지역의 옥수수 포장에서 월동중인 조명나 방 유충과 기생천적류를 채집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집된 조명나방 유충과 기생천 적류를 국립식량과학원 야외사육상(수원)에서 계속 야외온도에 노출시키면서 사 육하는 동안 기생천적의 종류 및 기생률 등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Lydella sp. (파리목: 기생파리과), 조명나방살이고치벌 (Macrocentrous cingulum)(벌목: 고치 벌과),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 (Eriborus terebrans) (벌목: 맵시벌과)은 숙주인 조명나방 유충 몸속에서 유충상태로, Cotesia sp.(벌목: 고치벌과)는 옥수수 줄기 속에서 번데기(고치)상태로 월동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김제지역에서는 Lydella sp.와 조명나방살이고치벌에 의한 기생률이 각각 약24.1%, 0.9%로 기생 파리에 의한 기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과 Cotesia sp.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구 칠곡지역에서는 조명나방살이고치벌에 의한 기생률이 약 2.5%였으며 Lydella sp.와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은 관찰되지 않았다. 홍천지역 에서는 Lydella sp., 조명나방살이고치벌,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에 의한 기생률 이 각각 약8.5%, 9.1%, 5.8%로 다른 지역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원 지역에서는 Lydella sp.와 조명나방살이고치벌에 의한 기생률이 각각 약1.4%, 3.2%였으나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은 관찰되지 않았다.
7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irtothrips dorsalis Hood is a newly advent pest on citrus in Jeju. Both larvae and adult attack the new shoots and young and matured fruits of citrus. S. dorsalis is highly polyphagous with over 100 recorded species, but not known in Jeju. As a result from investigating the host plants in and/or around citrus orchards in Jeju during 2009 to 2010, they were 25 families 39 species. The total thrips examined on those plants were 13 species, and the richness thrips among them was S. dorsalis,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rips tabaci and Thrips hawaiiensis. The widespread host plants of S. dorsalis were Mallotus japonicus, Paederia scandens, Hedera rhombea, Cayratia japonica and Clematis apiifolia and they can be also used for monitoring plants. On early May, the larvae of S. dorsalis were first investigated on the shoots of Mallotus japonicus, Lonicera japonica, Paederia scandens, Viburnum awabukira, Fraxinus rhynchophylla and Celtis sinensis. The other thrips species except S. dorsalis and T. tabaci, especially F. intonsa, T. hawaiiensis, T. flavus and T. coloratus were just found on flower stalks during the blooming season.
7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val parasitoid, Bracon hebetor, attacks third or older larvae of indian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which results in laying eggs or simply paralyzing the larvae. We studied the influence of the parasitoid’s attack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indianmeal moth. The third larval instars of the same age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colonies and each larva introduced in an acrylic cube (2 x 2 x 2 cm) treated with: 1) empty, 2) three rice grains, 3) three rice grains and a female parasitoid without ovipositor (by removing) and 4) three rice grains and a paralyzed larva. The larval activity in the experimental cube was photographed every five minutes until the larva died or pupated. Only the larvae in the cube with paralyzed larvae could pupate and emerge. The other larvae in the three treatments died before pupating, although the survival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F=5.27; df=2,14; P=0.019); the larvae in the empty cube had a shorter survival time than those in the rest of treat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alyzed larvae could be fed by the health larvae and contribute to prevent population crush in the situation of food shortage with the presence of the parasitoids. The host parasitoid interaction between indianmeal moth and Bracon hebetor might not always be negative to the indianmeal moth population.
7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yptic species are hardly distinguished by their morphology but reproductively isolated. To understand the evolution and speciation of cryptic species, differentiations between cryptic species should be studied using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morphological analysis. Two of three species under the genus Loxoblemmus in Korea are morphologically similar and may constitute the cryptic species. We studied the differentiations in morphology, calling songs, and genetic sequences to understand patterns of speciation in these three species. Although L.doenitzi was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wo species based on morphology, the distributions of the number of file teeth and wing morphology overlapped in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However, there were clear differentiations in some calling song characters among three cricket species. The number of pulses in a chirp was two in L.doenitzi and four in L. campestris, but that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six in L. equestris. The genetic sequence analyses using 16S rRNA and COI barcode revealed that L. doenitzi diverged off earlier from the other two species. Calling songs of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largely differed in spite of their short divergence tim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peciation processes may involve differentiation in calling songs in the Loxoblemmus complex.
7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bility of the predacious mite G. occidentalis to limit population density of T. urticae infesting roses in the greenhous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ullman, U.S.A. Population fluctuations of T. urticae, G. occidentalis, and Macrosiphum euphorbiae were assessed for over two years on greenhouse roses through time series data. During the first half of experiment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performed (from May 2000 to May 2001) and the presence/absence and randomized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during second half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2). Populations of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were estimated by R-functions or discrete prey-predator equations. During 121 weeks there were six population fluctuations of T. urticae, G. occidentalis and M. euphorbiae. The variation of G .occidentali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at of T. urticae but G. occidentalis did not overexploit T.urticae. The predicted populations of both mites were explained by above equations. M. euphorbiae and T. urticae might be compete for limited resource in the greenhouse rose and the movement of G. occidentalis was inhibited by the honeydew of M. euphorbiae. Therefore, M. euphorbiae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from the results of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 urticae and G. occidentalis was negative it was unlikely to present complete biological control of T. urticae on greenhouse roses. It might be necessary an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T. urticae in bent-cane greenhouse roses.
7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mpotance of the color stimuli in foraging and host-finding by phytophagous insects are determined by various experiments. Since the lantern fly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oidea) was first reported in Korea in 2006, damages on grapevine are growing annually. It is often observed that nymphs and adults of L. delicatula shift host plants several times during the course of the season. However, information about the dispersal behavior of L. delicatula is scarce. We conducted a series of three experiments to determine possible cues of visual orientation in L. delicatula. In the Light/Dark choice experiment, nymphs had a choice of light and no light conditions in the T-maze. In the color preference experiment, we measured the time spent in one of four colored lights: Yellow, blue, green, and white. In the UV experiment, more than 98% of 3rd and 4th nymphs had a choice of UV (395 - 410 nm) and white light conditions in the T-maze. As a result, 91% individuals in the 1st nymph stage before the first foraging oriented toward the light conditions. And after 7 days, 93% in 1st nymph choose the light arm. But only 63% in 2nd nymph chose the light and light preference was decreased by days. It represents that light response of L. delicatula could change among instars. In the color preference experiment, more than 60% of L. delicatula in 3rd and 4th nymph chose blue light. In the UV experiment, more than 90% of 3rd and 4th nymphs preferred the UV light to the white light. This result is suggested that nymphs are sensitive to light and oriented toward shorter wave light such as blue and green.
8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kona regalis (Butler) and Toleria romanovi (Leech) (Lepidoptera: Sesiidae) ar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grape in northeast Asia. We compared the overwintering, damage and seasonal flight activities of these two species in Korean vineyards. Mature larvae of N. regalis overwintered in the infested shoots of grape, while T. romanovi overwintered as mature larvae enclosed within a cocoon in the soil. Larvae of the former species fed primarily in grape shoots (97.2%), whereas larvae of the latter species burrowed into main trunks (57.4%) and branches (40.4%), causing significant damage and frequent mortality. The seasonal fluctuation of male catches was monitored with pheromone traps in 2010. Male moths of N. regalis were present from late May until middle June, and peak abundance occurred in early June. T. romanovi males were trapped from early June to early August with peak catch in middle July in Suw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