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6

        18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투 소유자와 비소유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건강행동, 정신건강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소재 4년제 대학생 214명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25.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Cronbach’s α를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투 유무에 따른 두 집단간의 부정적 건강행동,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투의 부정적 속성을 보고 하는 선행연구들과 상반되는 긍정적인 측면의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타투를 문화현상으로서 타투를 반영하고 활성화 시켜 시대에 맞는 문신문화를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8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nalyzed outdoor PM10 and heavy metals (cadmium, lead) for 60 local residents living in the Gwangya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 from July 2019. 40.0% of subjects responded that local environmental pollution was serious. Especially,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residents living near the industrial complex or roads where it was perceived that local environmental pollution was seriou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outdoors of the houses was 10.95 μg/m3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PM10 was 1.90 ng/m3 for Cd and 24.92 ng/m3 for Pb. Overal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nd heavy metals revealed a tendency to be high in the houses located near the industrial complex or the roads. As a result of a risk assessment carried out, the cancer risk of Cd was estimated to exceed 106 in the CTE, RME and Monte Carlo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rgent implementation of specific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is necessary.
        4,200원
        183.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거리청소년을 위한 문진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학생건강검사에서 사용되는 청소년을 위한 건강검진 문진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리청소년을 위해 별도의 문진표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거리청소년들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이 일반 청소년과 는 다소 상반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에 가정을 떠나 장기적으로 거리를 배회하는 경우 위생과 영양결핍 그리고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정신적 어려움 등을 호소하지만,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거리청소년의 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건강 정도를 스크리닝 할 수 있는 개별 문진표 마련이 시급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개발된 거리청소년을 위한 문진표는 거리청소년의 건강 관련 욕구를 직접적으로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거리청소년의 건강 실태를 문진표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의료지원을 제공한다면, 거리청소년의 건강 관련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5,200원
        184.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과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 거주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과 AMOS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노인의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10,500원
        185.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tus of probiotics is increasing worldwide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of probiotics is also being extended to the livestock industry. The use of probiotics in the swine industry aims to improve animal health and productivity by forming a healthy gut microbiota. Intensive pig breeding, a common breeding method in modern society, causes physiological stress in pigs, resulting in imbalance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dysfunction of the intestinal barrier. We conducted a scientific research on the properties of probiotics for multi-strain probiotics (MSP) and observed the economic benefits and efficiency of culturing MSP through a self-cultivation system in livestock. Initially, we observed alteration occurred by MSP application in the gut microbiota of pig. MSP were characterized to have resistance to digestive juices such as gastric acid and bile, followed by colonization in the target organ, the gastro-intestinal tract (GIT). In addition, MSP was also confirmed to have antibacterial ability against pathogenicity that most frequently infected in the swine industry and showed low resistance to antibiotics which means guaranteed stability when added to feed. The growth rate of probiotics in the optimized medium used in the self-cultivation system was suitable for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ulturing and feeding pig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probiotics, considering the ingredient price and the growth efficiency. We observed the significant alteration of gut microbiota of pig by application of MSP. Importantly, the MSP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eneficial bacteria genus of Bifidobacterium that confer a health benefit to the host in pig GIT, whereas decreased the number of harmful bacteria including coliforms. In addition, MSP influenced on the uniformity of gut microbiota at both of sow and weaning pigs. Taken together, the application of MSP with high concentration of probiotics using self-cultivation system may critically improve the pig health by regulation intestinal microbiota.
        4,000원
        186.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헬스케어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보건의료 정보는 민감한 개인정보로서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받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보건의료정보가 개인 정보보호와 보건의료법제에서 어떻게 규율되고 있는지 관련 법규 및 판결을 고찰하였다. 법원은 정보 활용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비교형량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정보처리가 가능하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개별 기업이 공개정보 등을 처리하려고 할 때마다 법익을 비교형량하여 판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U에서 진행된 시민 참 여형 보건의료 빅데이터 조성논의를 참고하여 동의 없이 어느 범위까지 정보처리가 가능한지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회적 논의 이후 법제화 과정에서는 보건의료정 보의 세분화, 목적 외 처리가 가능한 정보의 범위 등 정보처리의 법적 근거 마련,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장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5,100원
        188.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ross-culturally adapted questionnaires may not be comparable to their original version. Objects: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w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struments for the Korean versions of EuroQOL-5 Dimension (EQ-5D) and the abbreviated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BREF) instrument. Methods: A total of 139 cancer survivors from two rehabilitation institutes was recruited. All participants were registered for palliative rehabilitation care. Both instruments were concurrently administered by health care providers following the second bout of the rehabilitation cares. Rasch partial credit model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1) dimensionality, 2) hierarchical item difficulty, and 3) concurrent validit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wo instruments. Results: For the WHOQOL-BREF, all items except negative feeling, pain, dependence of medical aid, were found to be acceptable, while all items of EQ-5D were acceptable. There was an evidence of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Q-5D and 4 domains of WHOQOL-BREF. Two correlations were strong (EQ-5D vs. physical health domain, ρ = –0.610, 95% CI = –0.716 to –0.475) and moderate (EQ-5D vs. psychosocial domain, ρ = –0.402, 95% CI = –0.546 to –0.236). Other two correlations were weak (EQ-5D vs.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domains, ρ = –0.242, 95% CI = –0.401 to –0.075 and ρ = –0.364, 95% CI = –0.514 to –0.207, respectively). Item difficulty calibrations of the two measurements were ranged from –0.84 to 0.86 for the EQ-5D and –1.07 to 1.06 for the WHOQOL-BREF.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some supports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wo Korean versions of HRQOL instrument, with evidences of weak to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EQ- 5D and four domains of the WHOQOL-BREF applied to various cancer survivors. Additionally, the cancer survivors appeared to have more of a tendency to view the EQ-5D items as being slightly more challenging than the WHOQOL-BREF items.
        4,000원
        19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d yearly trends of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ged 16 to 18 years (n=2,377)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Yearly trends of food or nutrient intake were analyzed v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ption of sugars & sweets, and beverages & alcohols was increased rapidly during this period (p<0.0001). Intake of meat & meat products, and fish & shellfish also was increased (p=0.0008). Intake of grains and grain products was increased until year 2011 but declined after 2012 (p=0.0025).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milk & milk products was decreased (p=0.0395). Intake of protein, fat,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iron was increased (p=0.0445). Carbohydrate energy ratio was decreased, whereas fat energy ratio was increased (p=0.0235). Most nutrient intakes satisfi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dietary fiber (19.6~26.2%), calcium (46.9~55.2%) and sodium (more than 221.4%)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st food group intakes and most nutrient intakes (p=0.0468). Therefore, it is crucial to increase dietary fiber and calcium intake and decrease consumption of sugars, fats and sodium through diverse eating of food groups to ensure balanced nutrition of subjects.
        4,300원
        19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남지역 내 주요공원(4곳)에 생존하고 있는 조경 수목의 수목활력도를 파악하여 수목보호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부산시민공원 내 관목류의 수목활력도는 불량,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다대포해변공원 내 관목류,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해운대나루공원 내 관목류는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었다. 밀양아리랑공원 내 관목류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활엽수 교목과 침엽수 교목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었다. 수목별 수목활력도는 침엽수 교목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활엽수 교목, 관목류 순이었다. 4개의 공원에서 수목의 공원별 수목활력도의 평균이 가장 높은 순서는 해운대나루공원, 밀양아리랑공원, 다대포해변공원, 부산시민공원 순이었다. 계절별 수목활력도 변화는 계절별로 측정된 수목의 수목활력도에서 수목활력도가 가장 높은 순서는 밀양아리랑공원, 해운대나루공원, 부산시민공원과 다대포나루공원 순이었다. 계절별로 변화는 수목의 생장이 활기차게 시작되기 전 3월과 4월의 초봄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가을철 9, 10, 11월이 낮았다. 여름철인 6, 7, 8월이 수목활력도가 높았는데, 가장 높은 시기는 8월이었다.
        4,000원
        196.
        2020.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재활(CBR)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 및 몰입도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만족도와 몰입도의 어떠한 하위요인이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전광역시 보건소에서 CBR서비스 이용자 45명을 대상으로 CBR서비스 만족도와 몰입도, SF-36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5주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독립 t검정, ANOVA 및 사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용해 본 서비스에 대해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서비스 이용 유무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 비교를 위해 독립t검정을 시행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과 만족도와 몰입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만족도와 몰입도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서비스 이용 기간이 6개월 이내인 대상자의 서비스 몰입도가 가장 높았고(F=3.89), 제공받은 서비스 중 장애인 재활교실 프로그램 이용 유무에 따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21). 만족도와 몰입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p<.01), 신체건강 관련 삶의 질은 전문성 만족도(r=-.29)와 만족도 총합(r=-.29)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만족도와 몰입도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BR서비스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을 위한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4,200원
        20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자에 건강불평등 문제가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이 개인적 요인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해 더 크게 좌우된다는게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해 부모의 교육수준(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특히, 공공 복지 수혜 여부를 기준으로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 조사(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아동들은 부모의 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저소득층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들의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생계의 최전선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상황과, ‘아이는 엄마가 키운다’는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문화가 만들어낸 ‘돌봄 공백’이 그 이유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성평등적 돌봄 문화의 정립을 주장함과 동시에 섬세한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예컨대 초등 돌봄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초등 돌봄 사회서비스(예컨대 서울시의 우리동네키움센터)의 도입 및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