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18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sign language uses a visual and gestural mode it has more restrictions in designating concepts compared to spoken language, which uses an auditory-vocal mode. Therefore, sign language is prone to using more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expressions. Since Lakoff and Johnson (1980), many researchers have paid great attention to the observation of the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expressions in various spoken languages. However, the same phenomena have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in sign languages, in spite of the fact that sign language frequently employs metaphor and metonymy even in basic words. This paper observes the types of metaphor and metonymy that are used in the adjectives of Korean Sign Language. Because of the arbitrary relation of form and meaning in spoken language, metaphor and metonymy cannot be found in morphologically simple words in spoken language. However, in sign language, metaphor and metonymy are widespread phenomena even in morphologically simple words.
        182.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식기반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모습 역시 달라졌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교과 서의 출현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이주민 세대와는 다른 디지털 원주민 세대에 적합하게 개발 및 적용되어야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교 과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한계 를 보완해 나가며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연 구 중 국내 국어과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의 전반적인 연구 흐름과 일맥상통하며,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 서 모형 개발 및 이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대상이 초등학교급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국 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연구의 미흡은 대표적으로 국내 국어과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물의 수 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향후 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적용 및 활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많은 관심 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183.
        2016.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인 노동자의 급증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중요성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본고는 외국인 노동자에 집중하여 한국어 어휘를 범주화하고 기존의 어휘 교재를 분 석함으로써 특수 목적 학습자를 위한 기본 어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기본 어휘 목록에 이어 외국인 노 동자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 준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184.
        2016.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학습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나아가 한자 교육의 방법과 정도, 목표까지도 학자마 다 상이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자 교수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쓰기를 제외한 읽기 위주의 이해어휘로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초급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한자어 교수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학습자들을 한자권 학습자와 비한자권 학습자로 나누어 한자권 학습자들에게는 직접 한자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비한자권 학습자에게는 비노출 학습법을 사용하여 한자어를 교 수해야 한다고 보고 학습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를 직접 교육하는 것보다는 교재에서 제시되는 한자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초급에서부터 한자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18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기 술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교과서가 실현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내 용들이 다문화를 어떤 방향으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국어교육에서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관련 담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비판적 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 관련 담론의 기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 13종,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11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교육과정 내의 다문화 담론을 분석하고, 그를 통해 교과서를 분석할 관점과 방법을 도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특히 다문화성을 논의할 수 있는 핵심으로 설 정된 타자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동일시에 가까운 타자는 한 정된 존재로 규정되어 있었고, 의도적 거리두기의 대상으로 설정된 존재는 그 거리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규범과 질서를 강조하고 그것이 지켜지는 범주 속에서 다문화 담론이 이야기되고 있었다. 즉 ‘우리’라는 다수의 편향된 시각이 바라보는 ‘그들’로 다문화가 설정되어 있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18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언어 사용 양상 및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이루어진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사용 언어(한국어, 영어)에 대한 인식, 시간의 흐 름에 따른 인식의 변화, 그 과정에서 형성되고 변화된 정체성의 양상에 관심을 두고 연구 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와 정체성 간에는 긴밀하고도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의 사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언어 사용과 정체성 형성은 유동적이고 가변적이어서,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언어 사용과 정체성 형성에 있어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는 상호 간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나, 이들의 언어 사용-정체성 형성은 동일한 양상으로 전개되 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18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mpirical adequacy of the event-based language typ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English and Korean. The event-based language typology classifies languages into I- and D-languag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initial and terminal bounds of an event with respects to the way the relevant languages use in the recognition of eventiveness. In I-languages, in which the initial bound of an event is important, activity and accomplishment are recognized as events, while in D-languages, where the terminal bound of an event is important, achievement and accomplishment are so recognized. English and Korean, the target languages of this stud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I- and D-languag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nglish, we can confirm that it falls into D-languages based on the fact (1) that event cancellation is impossible and (2) that causative reading is possible in terms of the delimitation of predicates. In the case of Korean, we can tell that it belongs to I-languages as (3) event cancellation is possible and (4) only NPs that can work as an initiator can be the subject in the position of [Spec, FP-init].
        188.
        2016.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유학생, 특히 중국인 유학생들의 교수-학습 활동 과정 중 학문목적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 소재한 3개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남 133명, 여 150명)을 대상으로 학업, 학문목적 한국어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 대학진학 전 한국어 학습 경험 과 한국어능력시험 등급이 대학생활에 미치는 정도와, 학문목적 한국어 교수-학습 활동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21일에서 6월23일까지 3개 월간에 걸쳐 실시되었 다. 대상자의 선발은 각 대학교 유학생회를 통해서 각 대학에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결과연구는 학문목적을 가진 학습자들이 언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어려움의 해소와 문어능력의 향상, 대학생활 중 학문적 활동 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 한계점을 제시하였 다.
        189.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언어에서 의사소통은 가장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다. 한국어 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에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에 비하여 말 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발음 을 그 이유로 생각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어휘와 표현을 다양하 게 알더라도 화자로서의 발음이 명확하지 않으면 청자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자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이 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진 말하기의 한계가 발음에 있음 에 착안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주로 범하는 오 류를 모형으로 설계하고 발음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90.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문장은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이 문장의 확대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여 하나의 글을 완성해 간다. 문장의 확대는 복문과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장 연결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복문 습득 양 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3주 동안 초․중․고급 단계 외국 인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접속문의 경우 대조와 이유가 모든 급에서, 나열은 초급과 고급에서 70%이상의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으며 그 외 접속문은 완전 하게 습득을 못하였다. 내포문의 경우 관형절이 모든 급에서 80%이상 의 높은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고 명사절은 초급이 47%로 습득이 아 직 진행 중이었으며 중급과 고급은 정답률에 차이가 있지만 습득이 이루어졌다. 혼합문의 경우 세 문장, 네 문장 연결하기 모두 정답률이 70%이하로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에서 단순한 두 문장 연결의 접속문과 내포문에서 습득이 이루어졌더라도 문장 길이가 길어져 통사적으로 좀 더 복잡한 복문구조가 되면 문장 연결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91.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언어학습이란 학습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 는 것이므로 학습자가 취하는 언어 학습전략(Langage Learning Strategy)은 성공적인 언어학습에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들이 훈련을 통해서 학습전략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한다면 성공적인 언어학습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상 수업활동에서 학습전략훈련을 하 고, 학습자들이 언어능력을 높이는 매개체로 학습전략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면 언어 학습전략은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학습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한국어 능력 향상과 언어 학습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업 성취도별 학습전략의 사용 양 상을 비교하고, 학습일지를 쓰는 훈련을 진행하였다. 학습일지를 쓰게 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위그룹 학습자들이 하위그룹에 비해서 상위인지 전략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언어 학습전략에서 향상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학습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일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학습자 들의 성공적인 한국어 수행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192.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텍스트를 읽고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단어와 단어의 의 미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문장 안에서 단어의 쓰임을 이해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읽기 능력이다.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가 바탕이 되어 야 한다. 본고에서는 읽기 텍스트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인 ‘이독성’의 연구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독성이 연구된 계기를 바탕 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독성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연 구 되어야할 이독성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93.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L2 learners employ similar processing strategies as native speakers when disambiguating attachment of a relative clause (RC)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Different processing strategies were tested with temporarily ambiguous sentences containing RCs when the head NP is a complex NP (NP1 of NP2), in which either NP1 (low attachment, LA) or NP2 (high attachment, HA) can be an antecedent. The RCs were controlled for length (short vs. long) and position-sentence initial (scrambled word order) vs. sentence medial (canonical word order). Native speakers consistently showed a clear HA preference regardless of the length or the position of the RCs, whereas KSL learners showed a clear LA preference. The attachment differences between L1 and L2 are discussed in terms of transfer and prosodic sensitivity.
        19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전에 미리 동영상 강의를 보고,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이 중심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업을 하기 위해 교사는 핵심 지식을 추출하여 동영상 강의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모둠별 지도 혹은 개별 지도를 해야 한다. 기존의 수업에 비해 교사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지만, ‘거꾸로 교실’은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학생의 미래 사회 핵심 역량과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의의가 있다. 국어과에서는 수업 중 학생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면서, 글쓰기, 토론하기 등의 활동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기 위해 국어 수업의 주요 변인 분석, 교수학습 과정 설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수업 실행 및 평가 단계별 요소와 유의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19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먼저 전국의 주요 거점 다문화지원센터 14개에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학습과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다문화가족은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및 한국어 강사의 다문화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과 이해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은 강의교재보다 한국의 강의자의 능력과 강의자의 열성과 자질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 가운데 어휘 혹은 관용어 교재, 읽기, 쓰기, 문법교재 등의 순으로 좀 더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말하기 수업과 한국사회와 한국문화 이해 관련 수업을 좀 더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은 한국사회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있으나, 다문화가족이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 이해를 지향해야 된다고 생각할수록 한국어 교재 개선, 한국어수업시간 증가, 문화와 역사 이해 등의 수업시간에 대한 증가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수업교재와 교재언어가 좀 더 부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196.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학습 지향적 평가로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국어교 과를 중심으로 국외의 온라인 형성평가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 스템의 발전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최근 학생평가 패러다임인 ‘학습을 위한 평가’와 ‘학습으로서의 평가’에 대해서 탐색하고, 이러한 평가 패러다 임에서의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우리나라 온라인 형성평 가 시스템의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Ⅳ 장에서는 향후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향후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어야 한다. 첫째는 국어과 온라인 형성평가 시스템은 국어과의 세부 학습요소별로 문항을 제공해야 한다 는 것이고, 둘째는 학습순서도 및 학습요소별 강약점 피드백을 통해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 우리나라 공교육 상황 에서 질 높고 만족도가 높은 학생 맞춤형 국어 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방 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9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행의 국어과 평가 개선의 방안으로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학습 지향적 평가 로의 변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2011년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에 따라 서 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는 교과서 형태인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그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교과서는 현재 2014년 전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 과학 등의 일부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보급되면서 그 실현 가능성을 확인 중에 있다. 분명한 것은 현 시점은 학습자의 발달과 학교 및 교과 특성을 반영하면서 현행의 교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시기라는 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교과서가 반영해 야 할 교육 생태계의 주된 변화는 평가 체제의 변환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돕는 국어과 평가로의 전환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였다. 특히, 국어 학습자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진단하고 개별 학업 수준과 특성을 고려 한 교수적 피드백을 연계하도록 하여 본질적인 학업적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학 습 지향적 평가가 내재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모형의 실현태를 제안해 보았다.
        198.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본 연구는 통신언어의 유형별 특성에서 나타나고 있는 형태변 이 통신언어 신조어에 대해 이들의 표현 양상과 의미를 알아 본 것이다. 그리고 통신언어 신조어 사용이 통신언어 사용자들의 표준 한국어에 대 한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통신언어 사용자들 을 세 그룹(중.고생, 대학생, 일반성인)으로 나누어 설문지 조사를 하였 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통신언어의 사용이 한국어를 오염 시킨 다는 무조건적인 부정적 인식에 앞서, 학교 현장에서 표준 한국어 교육 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통신언어 신조어 사용에 대한, 사회 언어학적인 새로운 시각을 넓혀 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급변하는 현 시 대의 통신언어에 대한 언어의 사회성을 인지하는 교육의 방향에도 도움 이 되고자 하였다.
        199.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신 장을 위한 말하기, 쓰기와 같은 언어 표현 영역 학습에 따르는 환경적 제약과 심리적 압박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 인 자기주도적 학습법을 강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소리 내어 읽기가 비교적 학습자가 접근하기 쉬운 활 동인 읽기를 하는 동시에 나머지 언어 기능 능력까지 총체적으로 향 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 연구 대상을 음독으로 설정하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소리 내어 읽기가 다른 언어 기능의 연관성을 고려한 통합적 기능 학습임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음독 이 언어 이해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 을 통해 음독이 언어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00.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부족에 따른 대학원 생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8명의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함에 따라 대학원 생활 경험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이야기의 배경 안에서 현장 텍스트를 분석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의 특징을 살려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것은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의 어려움, 한국어와 영어 혼용은 또 하나의 걸림돌, 한국어능력시험은 시험을 위한 시험, 언어연수 과정은 한국어 능력을 키우기 위한 징검다리와 같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앞으로 한국에서 유학하게 될 외국인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대학원생 관리와 지원에도 유용할 것이며 이후의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