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0

        2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다차원적 빈곤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은 한국복지패널의 가구용·가구원용 자료와 아동부가조사(4, 7, 10차)를 활용했다. 먼저 퍼지셋 질적분 석방법(Fs/QCA)을 통해 아동 가구의 다차원적 빈곤율을 산출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고, 아동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 및 부모 요인을 투입하여 구조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차원적 빈곤 수준이 높아질수록 부모의 지도 감독 및 교육 참여 수준은 낮아졌고, 특히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부(-)적 영향력은 커졌다. 둘째, 비교적 연령이 낮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은 부모의 교육적 관심이 커질수록 학업 성취 수준이 높아졌다. 이는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가족 자 원(family resources)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진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 셋째, 부 모 요인이 자녀의 심리 내적 상태(자아 존중감, 주의 집중 등)에 미치는 영향력은 연령이 어릴수록 커지 는 반면, 아동의 심리내적 상태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마지막 으로 다차원적 빈곤과 아동의 학업 성취 간 경로에서 아동 요인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부모 요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아동 가구의 다차원적 빈곤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아동의 심리 내적 요인과 부모 역할에 따라 학업 성취 수준은 달리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7,800원
        2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 의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 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코치지원은 성취목표성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성취목표성 향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골프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건강효과를 증진 시키고 나아가 골프 기술습득이나 기량향상 등의 성취감을 만들어 성취목표성향이 높아진다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2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와 G도 P시 소재 P대학교에서 건강사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5명, 대조군 34명에게 각각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과 전통적 실습교육 수행 전ㆍ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실습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능력(t=2,797, p=.007), 비판적 사고 성향(t=2,406, p=.019), 정보수집능력(t=2,977, p=.004), 문제인식능력(t=3.58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그러므로 간호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정보수집능력 및 문제인식능력 향상을 위해 건강사정 수업 시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glish learners’ motivation, strategies and achievement, with a group of 51 Korean three-year college students.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Also they took a mock TOE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owed for the analysis of learners’ motivation and strategies to predict a single dependent variable, their English achieve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internal motivation’ was found the highest predictor of their English study, while ‘instrumental motivation-individual’ was the lowest motivation type for students. Second, participants used ‘social strategies’ most frequently in studying English, and they used the others in the order of ‘compensation strategies’, ‘affective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memory strategie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Last,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on the TOEIC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ies was found to be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5,100원
        2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학부과정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의 4학년 학생 227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에는 비판적 사고성향의 지적공정성과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 중 및 하의 성취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의 지적공정성과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를 높이는 한편 난이도 상의 성취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4,000원
        2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tte étude vise à étudier les caractéristiques et la différence entre la classe traditionnelle et la classe inversée grâce à une analyse comparative de ces méthodes d’apprentissage. L’expérience a été réalisée sur un groupe d’expérimentation et un groupe de contrôle afin d’étudier l’effet de l’apprentissage inversé sur la motivation et la réussite scolaire des étudiants. Des outils de recherche tels qu’un programme d’apprentissage inversé et un questionnaire de motivation ont été utilisés. Les procédures d’étude comprennent, dans cet ordre, un pré-test, un processus expérimental et un post-test. Par la suite, le traitement des données a été effectué par un ‘test t’ réalisé sur un échantillon indépendant et un ‘test t’ réalisé sur un échantillon apparié. Les résultats montrent que l’apprentissage inversé a un effet positif sur la motivation de l’apprentissage. Par exemple, celui-ci a influencé l’amélioration des éléments de motivation tels que l’attention et la confiance. Par ailleurs, il a plus d’effet sur les élèves au niveau faible que sur les élèves de haut niveau dans les études académiques du français.
        5,800원
        2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학습코칭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조별 학습 및 팀기반 학습을 6개월 이상 경험한 전남 소재 안경광학과 전공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학업성취는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코칭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503,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351, p<.01). 학습코칭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325, p<.01), 남자인 경우(β=.259, p<.01), 학점이 높을수록(β =.222, p<.05)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β=.547,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β=.404, p<.001)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학습코칭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전공만족도가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4,500원
        2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group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pretest-posttest test design. Second year pediatric nursing students studying the practical subject Integrated Simulation at S University in K region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using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o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 = -5.795, p < .001)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t = -3.835, p = <.001) than bef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fficacy score(t=-.217, p=.829).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lessons with various methods an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o –evaluate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 evaluation.
        4,200원
        3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와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소속의 학생들 중 2012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총 4개 학 기 동안 일반지구과학 강의를 수강한 273명의 학생들이다. 현재 전공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가 일반지 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시험 체감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23.0을 활용하여 이원분산분석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교육 전공 학생들과 타 과학교육전공 학생들 사이에는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시험 체감 난이도에 대해서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의 이수 여부는 학생들의 태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 I과 지구과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은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 또는 지구과학을 전혀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일반지구과학 수업 태도가 더 좋았으며 높은 성취 수 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 대학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한 교수학습적 접근이 필요하며, 과학 교사로서 필요한 교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사범 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4,200원
        32.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serious disasters caused by the lack of basic safety and health measures at workplaces, such as chemical poisoning accidents and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at large shipyards. At the same time,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safety of our people is rising. There are several schemes to preemptively remove industrial accidents. Among them, the safety and health diagnosis system that provides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workplace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and the system is expanding quantitatively every year by suggesting problems and remedial measur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safety and health diagnosis. However, due to the lack of laws and regulations on safety and health diagnosis system, dumping of diagnosis amount due to the existence of too many diagnosis agencies, lack of expertise of diagnostic workforce, etc. there has been serious disasters in the diagnostic workspaces. In this regard,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and health diagnosis is questionable.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afety and health diagnosis by reviving the intention of safety and health diagnosis legislation
        4,000원
        3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ading passage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their readability and lexical difficulty. The readability was measured by using Flesch-Kincaid Grade Level Index, while their lexical difficulty was measured in terms of STTR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and vocabulary frequency levels by using VocabProfile and Oxford WordSmith Tools 7.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readability of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NAEA conducted from 2012 to 2014, while the readability between the English textbooks and that of the 2015 NAEA reached a comparable level. However, the textbooks from one publisher showed substantively lower readability than those from the other publishers and the NAEA. Secondly, regarding vocabulary frequency levels, the words in 1K and 2K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extbooks and the NAEA, while the NAEA had a higher STTR and lower frequency of tokens per type than the textbooks. It suggests that the NAEA employed more various words with less repetition than the textbook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6,000원
        3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탐방객 인식에 기반한 보다 분석적인 접근의 국립공원 시설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덕유산국립공 원과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객 대상 총 214매를 유효표본으로 기술분석과 중요도-성취도 분석 실시 결과 태안해안국립 공원은 지속적 관리노력 필요 항목이 4개, 저우선순위 항목이 3개, 과잉 노력 지양항목이 2개로 평가되었다. 덕유산국립 공원은 지속적 관리노력 필요 항목이 3개, 우선시정 필요 항목 1개, 저우선순위 항목이 4개로 나타났다. 관리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개소 모두 긍정적이며 국립공원 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 또한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덕유산국립공원이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비해 두 분야 모두 더 높게 평가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세부 관리속성 모두에서 관리상의 미진한 점이 나타났다. 이는 산악형 국립공원과는 상이한 해상해안형 국립공원의 탐방특성에 기인 한 결과로 보이며 국립공원 유형별로 상이한 이용특성의 분석에 기초한 시설관리가 탐방만족 제고를 위한 필수요건으 로 판단된다.
        4,000원
        3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유림 소유규모의 영세성과 분산성이 심각하여 합리적인 사유림경영이 어려워져 임업소득의 부진현 상이 계속됨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유림경영규모화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리경영제도에 계약한 임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유림 산림경영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파악 과 규모화 산림경영을 위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파악하였다. 대규모 산림경영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는 0.991로 나타났다. 중요도-성취 도 분석(IPA)결과 인력 및 임업장비의 보급체계 확립이 우선시정이 필요하고, 국고지원 확대에 따른 초 기 투자비용 절감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소득사업 활동의 신뢰도 분석결과 크론바흐 알파계수는 0.991로 나타났고, 중요도-성취도 분석(IPA)결과 수익간벌 등에 의한 우량 대경목 생산에 따른 소득과 단기소득 임산물을 통한 소득(산양삼, 더덕, 고사리 등)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 되었다. 소득분배 방안의 신뢰도 분석결과는 크론바흐 알파계수는 0.986으로 나타났고, 중요도 분석결 과 계약면적에 따른 소득분배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를 현재의 대리경영제도에 적용한다면 산주의 의견이 수렴된 보다 합리적인 산림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 단된다.
        4,000원
        3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학의 입시전형의 다양화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업 역량과 성취 수준에 편차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공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학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대학공부의 부적응한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부생이 겪는 학업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이 가진 학업 잠재력을 극대 화하여 성공적인 대학공부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집단 학습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프 로그램 참여자들은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변화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집단 학습상담이 학생들의 학업 편차를 해소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 자신의 학업 역량을 향상시키 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7,000원
        3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학 입 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요인 중 흥미와 재능(β=.356, p=.012)이었고, 전공만족도는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292, p=.047)이었다.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415, p=.003)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에 필요한 안 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38.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고등학교 출신 유형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의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 출신 학생으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 고교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학과적응은 이과 출신 학생들이 3.82로 문과 출신 학 생보다 다소 높았으나 그 외의 학과적응과 대학생활 적응도는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출신 학 생들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학과적응 중 정서적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항목의 적응도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으며(p=0.00), 이는 이과의 교육과정과 안경광학과에서 배우는 학문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과출신의 학생들이 다소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해 안경광학과 전공 학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되리라 사료된다.
        39.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flipped class method implemented in a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tertiary level. The treatment variable of the experiment was a teaching method: a flipped cla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raditional class for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3 class sessions were completed. The model of the experiment was a nest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ositive affective experience, negative affective experience, class satisfaction, and language achie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positive experience during the treatment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negative experience decreased at the end of the class in both groups. Although the mean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of the negative experi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clas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language achievement on their final exam, while the control group’s mean decreased.
        6,700원
        4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들이 전공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4년제 안경광학과의 교양교육 및 전공기초 교육과정을 편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한다. 방 법: 안경광학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졸업평점(GPA)과 교양교과, 전공기초 교과들의 학점을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전공학습 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MS Excel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계산하였다. 결 과: 졸업 GPA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교과목은 수학I 과 안경광학개론I으로 ~0.69의 값을 가지며 물리학I 또한 ~0.65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공필수 교과들과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들의 상관관계에서는 이론 수업의 비중이 큰 안경광학I, 물리광학I, 기하광학I, 콘택트렌즈학I 등의 교과는 수학I, 물리학I 등 수학을 기초로 하는 교양교과와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안경조제가공학I과 같이 실습의 비중이 큰 교과는 국어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결 론: 안경광학과 교양 및 전공기초 교과과정은 전공 학업성취도에 비추어 볼 때 수학, 물리학, 국어, 안경광학개론 등의 교과교육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외국어 교과의 중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화학이나 생물학 등의 교과도 어느 정도는 필요한 교과로 해석할 수 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