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아동은 낮은 지적능력으로 인해 주의집중력의 지속시간이 짧으며 정상적인 언어습득과 발달이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성이 떨어지고 사람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지적장애아동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에는 동물을 통한 매개 활동이 있다. 동물은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언어능력을 향상 시키고, 인지발달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미숙한 아동에게 동물매개활동은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 기술을 습득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 프로그 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J도 I시 특수 장애 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14세에서 16세인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주 1회, 8주간, 총 16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사전ㆍ사후 검사 도구로는 Harris & Harris(1984)의 집중력 격자판 검사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시켜 주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Chronic low back pain (CLBP) causes morphological changes in muscles, reduces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flexibility, negatively affects lumbar stability, and limits functional activity. Plank exercise strengthens core muscles, activates abdominal muscles, and improves intra-abdominal pressure to stabilize the trunk in patients with CLBP.
Obj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k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LBP.
Methods: We classified 33 subjects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n1=17) and a control group (n2=16).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lank exercise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stretching exercise. Patients in both groups attended 20-minute exercise sessions thrice a week for 4 weeks.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each subject was evaluated ultrasonographically, and dis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Four weeks la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 baseline values in both groups (p<.0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5). ODI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Plank exercis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reduces disability secondary to mild CLBP. Therefore, plank exercise is needed to improve lumbar stability and functional activity in patients with mild CLBP.
Background: Compared to healthy people,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have reduced balance abilities which may cause proprioception problems,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void physical activities due to pain, and reduced activity levels lead to muscle weakening, which can further exacerbate pain.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se of sensory stimulation; and among these studies, interventions that use vibrational stimulation have shown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the balance ability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person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5 subjects in each.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via a balance ability test,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test, a pain test, and a proprioceptive sensory test. Both groups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general stabilization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the pain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Conclusions: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s than the conventional intervention method. Therefore, the stabilization exercise in a vibration stimulation environment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To examine the changes in pain,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37 “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ith forward head posture,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Measurement of pain, NDI (neck disorder index)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6 week intervention period. The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The severity of the neck disorder was measured using the NDI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by taking a photo. Th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proprioceptive training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pain. Both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dressing neck disability,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paired with Kinesio taping or proprioceptive training are more effective at addressing pain, neck disorder, craniocervical angle, and muscle activity than performing the neck posture correction exercises alone.
목적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리활동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 : 대상자들은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1급 진단을 받은 여성 3인이었다. 중재프로그램인 요리활동은 주1회 회기 당 5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요리활동에 대한 작업치료는 대상자들이 좋아하는 요리를 직접 만드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은 자리이탈, 불필요한 말하기, 지시를 따르지 않기, 다른 것에 관심보이기의 총 4개 항목에 대해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고, 매 회기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측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대상자 3인 모두 주의집중력 관련 항목들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상호작용도 향상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결론 :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요리활동의 참여를 통한 작업기반 중재가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력 외에 긍정적 정서표현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여, 의미 있는 활동의 참여를 통한 중재가 지적장애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 및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적 : 본 연구의목적은 신체장애 수시운전적성검사 실태에 대해 분석해보고 개선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방법은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 전문가 의견조사로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진다.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는 운전면허시험장의정기적성 검사 및 수시적성검사 업무 담당자, 재활의학과 의사에게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적성검사 담당자 설문조사는 적성검사 담당자(운전면허 시험장의수시적성검사 담당자) 30명과 민원담당관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는 재활의학과 의사 11명에게 신체장애 수시운전적성검사 실태 및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가벼운 신체장애의경우 통보대상에서 추가 혹은 삭제가 필요한 질환군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고 신체장애 관련 대상자 선정방식 적정성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운동능력평가기준 판정방법의적정성 판단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장애 운전적성검사의문제점 및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운전재활전문가의도입의 중요성이 다시한번 대두되었다.
목적 : 본 연구는 도로교통공단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서 2017년까지 운전면허를 취득한 장애인의면허취득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장애인 운전과 관련된 제반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국 7개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중 2개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서 운전조력을 통해 운전면허를 취득한 장애인 488명에 대한 현황 및 항목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개소 이후 2017년까지 2개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서 운전조력을 받고 운전면허를 취득한 장애인은 총 488명 이었으며, 장애유형별로는 지체장애 234명, 뇌병변장애 45명, 청각장애 151명, 발달장애 33명, 정신장애 3명, 기타장애 2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별로 확인해본 결과, 1급 60명, 2급 221명, 3급 207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면허 취득 종별은 1종대형 19명, 1종보통 114명, 2종보통 353명, 1종특수 2명으로 확인되 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운전지원센터 개소 이후, 운전면허를 취득한 장애인의현황 및 관련정보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장애인이 운전면허를 취득하는데 있어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장애인이 운전면허를 취득하는데 있어 국가차원의제도적 개선 및 지원과 장애인 운전에 대한 인식변화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한국은 장애인을 위한 인프라나 법제화가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뿐만 아니라 장애의 사회적 맥락이나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중시하는 정책패러다임/정책지향이 미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래서 서구사회와 달리 한국에서는 장애가 천형으로 취급받는다. 이 같은 상황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정책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21세기 사회 정책의 화두가 ‘포용적 사회정책’(inclusive social policy)을 통한 복지국가의 현대화라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 논문은 정책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한국 장애정책의 현대화를 탐색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의 단초를 찾고자 한다. 특히 그것이 한국 사회정책에 가져올 긍정적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를 사회적 질(social quality)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연민의 적용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아동 부모들의 자기연민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장애 관련 기관에서 재활 혹은 교육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부모 28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장애아동 부모의 자기연민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은 완전히 매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의의는 장애아동 부모가 장애아동을 위하여 보다 잘 양육시키기 위한 양육효능감을 잘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자기연민뿐만 아니라 장애수용도 중요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자기연민을 높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장애수용도 높여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논의하였다. 후속적인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 회적 기술, 직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이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진 실험 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전후-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3회 50분씩, 12주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손 기능은 핀치 게이지(pinch gauge)와 퍼듀페그보드(Purdue pegboard)를, 인지기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를,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cale; SSRS)를, 직무능력은 직업인성 프로파일(work personality 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직업재활을 위한 직무기능 강화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손 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기술, 직무능력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적장애인의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인지 기능과 사회적 기술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기에 취업이나 구직을 원하는 지적장애인의 직무기능을 강화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용자욕구 및 과 제가 무엇인가를 고찰함으로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본래 목적인 장애인의 자립생활 증진과 향후 장애 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기관 5곳을 선정하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12부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이용자권리인식수준이 제공기관서비스수준보 다 이용자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이 많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 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제 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권리인식수준을 제고하는 전략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 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참 여를 강화시키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and sling exercise on visual analogue scale (VAS),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and stability index (ST) in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CLBP). This study included participants with a VAS scale of 6 or higher and a KOD of 20-40%.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mat group (n=15) to perform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nd a sling group (n=15) to perform sling exercises, and then they underwent a four-week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VAS and KODI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and a larger effect size within each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it exhibi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sling exercise are similar.
Background:Active trigger points (TrPs) of the suboccipital muscles greatly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with increased sensitivity of TrPs and facilitated referred pain.Objects: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egration of high-frequency diathermy into suboccipital release is more beneficial than the use of suboccipital release alone.Methods:Thirty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1 (EG-1) to undergo suboccipital release combined with high-frequency diathermy (frequency: 0.3 MHz, and electrode type: resistive electronic transfer), or EG-2 to undergo suboccipital release alone, or the control group (CG) with no intervention, with 10 subjects in each group. The assessment tools included the headache impact test 6 (HIT-6), perceived level of tenderness, neck disability index, and neck mobility.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10 minutes, twice per week, for 4 weeks,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Results:The between-group comparison of the post-test values and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l parameters at p<.05, except for the left-to-right lateral bending range. In the post hoc test, EG-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parameters in comparison with the CG,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tenderness level, on both temporal regions, were found between EG-2 and CG. Furthermore, the HIT-6 score and perceived tenderness level,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G-1 and EG-2.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 EG-1 and EG-2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p<.05), except for the perceived tenderness level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with significance for the EG-1 group only (p<.05).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boccipital release technique may be advantageous to improve headache, tenderness, and neck function and mobility, with more favorable effects with the incorporation of high-frequency diathermy.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16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까지로 하였고, 연구 대상은 G광역시 E복지관을 이용 하는 성인 지적장애인 4명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대상연구 중 행동간 복수간헐 기초선으로 하였 다. 중재는 대상자들이 선택한 직무에 따라 기초능력, 직무능력, 일반화 과정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시행 하였고, 12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매 회기의 과정이 끝날 때마다 기초능력에서는 파악력, 기민성, 양손조작력을 직무능력에서는 스트링 조립 완성 개수와 정확도를 일반화에서는 팔찌 만들기 완성 개수 와 시간,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직무에 필요한 기초능력으로 손 기능을 증진시켰고, 직 무분석을 통한 과제를 반복 훈련함으로써 직업을 획득하고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직무능력과 일반화를 향상시켰다. 결론 :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 에 직업재활 프로그램으로서의 사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교회는 신앙의 테두리 안에서 모두가 평등한 사회통합적인 조직으로 볼 수 있으나, 한국 교회는 아직 장애인들과 통합의 준비가 미흡한 상태이다. 교회라는 제한적 공동체 내에서의 통합은 사회적 통합을 이끌 수 있는 통로와 기틀이 된다는 점에서 통합 예배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드리는 통합예배의 의의 및 과제에 관하여 장애 유 형 중 지체장애, 시각장애, 발달장애, 농인(청각장애인)을 중심으 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지체·시각장애인의 공통사항으로는 접근권, 이동권, 편의시설인 환경부대시설같은 물리적 조건 의 정비가 통합예배에 중요한 요건이었다. 둘째, 시각장애인에게 는 정보 접근권의 일환으로 점자주보, 점자찬송가 및 음성언어해설이 필수적이었다. 셋째, 발달장애인은 장애의 특성상 타인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의사소통 시 표준 연령대보다 낮은 아동 수준의 언어사용과 돌발행동에 대한 이해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농인에게는 수화통역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으며, 특히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효과적임을 밝혔다.
손창섭 소설은 장애인물이 특징적으로 많이 등장하며 그러한 점에서 그의 소 설은 ‘병리적,’ ‘병적,’ ‘장애소설’로 지칭되었다. 기존의 논의들은 장애를 반사 회, 비도덕, 불건강한 것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작가 개인의 전기나 전후라는 사 회적 알레고리로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를 통해 말하고자 의미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분석되지 않았는데 이 글은 장애 인물의 시각에서 손창섭 소설을 살 펴보았다. 손창섭 소설은 ‘같은 인간’의 시각에서 주류 사회의 가치를 추종하는 인물을 불건강한 인물로 배치함으로써 ‘건강’과 ‘건전’의 신화를 전복한다. 미결 정의 시각에서 양자의 경계를 무화시킴으로써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공 격하고 있다. 또한 언어와 시선이 구성하는 폭력성을 간파하며 하위 배치된 영 역에 대한 공감과 소통을 요구하고 있다. 제도권 언어가 자기중심적 이기성과 폭력성에 물들어 있음을 비판하며 불구/신체를 가진 장애 인물들의 신음과 목소 리를 적극 복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손창섭 소설은 장애를 통해 중심 권력과 지배 담론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주변화 된 존재에 대한 공감을 촉구하 는 타자의 윤리를 담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치 아다다」는 물질문명 사회에서의 인간 탐욕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작품 속에는 21세기 인간 삶에서 주요 화두로 대두 되는 주제어인 여성, 종교, 장애의 문제가 정교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인공 아다다는 장애인 여성으로서 조선시대 유교의 남성중심주의적 도 덕 담론 하에서 타자중의 타자로서의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인물이다. 아다다는 그 누구로부터도 지지를 받지 못하고, 취약성의 상태로 내몰린다. 지참금을 가 지고 결혼을 하지만, 5년이 지난 후에 시집으로부터 쫓겨나게 되며, 곧 친정으로부터도 외면당하게 된다. 아다다는 결국 노총각 수롱이와의 제2의 인생을 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수롱이와의 함께 하는 삶도 결국 위험에 처하게 된다. 수롱이는 장애인 여성 아다다를 거저 취함으로써 원래 부인을 얻기 위해 모은 150원이라는 돈을 아끼고 되고 그 돈으로 땅을 사려고 한다. 아다다는 돈으로 인해 자신의 삶이 또다시 위협에 처해질 것을 두려워하며 아침 일찍 150원이라 는 돈을 바다 속에 던져버리고 만다. 아다다는 자신의 취약성이 지닌 사회 권력 담론과의 관계성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그녀는 유교의 남성 중심적 도덕 담론 과 자본의 권력 또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음을 저항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장애인의 개인특성 중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부모,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일수록, 장애특성 중에서 장애발생원인이 후천적일수록, 장애진단시기는 연령이 적을수록, 보험이용 특성 중에서는 민간보험을 가입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일수 록, 지역국민연금에 가입한 경우일수록, 접근성 및 편의시설 특성 중에서 접근을 위해 타인 도움을 청하지 않을수록, 자가용이나 장애인콜택시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할수록 여성 장애인이 인식하는 삶의 질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낙인 및 권리침해 여부, 인식된 심리적 요인 등을 고 려할 수 있고,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에 대한 인식 개선사업이 요구되고, 각종 계단 및 전철 출입구 등에 1m짜리 봉 손잡이를 설치하여 경증장애인이 스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오아시스>(2002)와 <말아톤>(2005)에 나타난 장애재현과 담론을 관객수용분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화 속에서 다뤄진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관객의 인식과 수용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19명의 비장애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복합적 현상으로서의 장애, 2)비장애 중심적 상징으로서 전유된 장애, 3)정상성에 동화·흡수된 장애. 첫째, 참여자들은 의료화된 관점과 함께 젠더화와 계층화된 시각으로 장애와 장애관련 등장인물들을 인식·수용했다. 둘째, 참여자들은 장애인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와 상징을 차용하여, 장애인들이 아닌, 자신들의 사회적 어려움을 표현했다. 셋째, 참여자들은 영화 속에서 비장애와 남성중심적으로 묘사된 장애여성의 성과 사랑(오아시스)과 장애남성의 장애극복(말아톤)을 정상과 비장애 중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공감을 표시했다. 참여자들의 장애인물에 대한 인식과 수용은 <오아시스>와 <말아톤>이 장애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뿐만 아니라 비장애중심적인 정상성을 확대·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neck disability index (NDI),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Following baseline measurements, the subjects (N=40) with unilateral neck pain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wo 5 weeks exercise intervention groups: a experimental group (EG, n1=20)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or a control group (CG, n2=20) that received routine physical therapy program.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5 weeks. All participants performed 2 repetitions of each intervention per day.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for pain, NDI,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were recorded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for both groups. Paire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changes post-intervention compared with pre-interven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2 groups. After the 5-weeks intervention, both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ly decreased pain and disability level (p<.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rvical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ROM (p<.05). The EG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level, cervical rotation,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than the C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s reduce neck pain and neck disability level and enhance cervical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level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