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2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language choice for modality patterns to express the degree of probability specifically in email texts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Grammar (SFG) analytical framework. Participants were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writing composition course at an online-based Korean university. They were required to write an email thanking their professor, in which they stated their future plans (definite or indefinite) with a degree of probability. The text analysis was compared with two groups of students' scores (high-scoring group n=40 and low-scoring group n=29), based on an assessment of the course assignment. After building up two learner corpora, UAM Corpus Tool version 3.0 was used to analyze the language choice closely using a modality system of the SFG framework. The high-scoring group showed more range and frequency in the use of modal verbs combined with a modal Adjunct or another modal expression. Explicit teaching on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the appropriate degree of probability using a range of modality devices, rather than relying heavily on the primary modality (choice of modal verbs) is highlighted as a pedagogical implication.
        6,700원
        2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aspect of vocabulary”, which is used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considering the overlaps between vocabulary categories.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aspect of vocabulary and the way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vocabulary aspect education has not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of “overlapping among the vocabulary categories”. In this study, we set up a category of vocabulary with multiple features and categorized these features using “+” and “-” depending on the case. In this way, aspect of vocabulary is restructured more coherently. More discussion on the future studies and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5,700원
        2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azak honorific system has been described to consist of a number of second person forms and terms of address. In addition to these core honorific expressions, however, my recent study of spoken Kazak in the Chinese Altai reveals that there are many other politeness features —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 that constitute a loosely integrated honorific register system. They include grammatical distinctions (e.g., singular/plural, past/perfect, confirmative/non-confirmative), lexical distinctions (e.g., Chinese titles/Kazak kin terms), prosody (e.g., loud/quiet, fast/slow), as well as non-linguistic features (e.g., smoking/ non-smoking, male facial hair grown/removed, serving of black tea/milk tea). This paper describes these “non-core” expressions and the semiotic processes in which they, together with the core expressions, form a dichotomous system of contrast between plain and honorific registers.
        8,000원
        2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에게 적절한 중국어교육문법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 중국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제정한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을 비교분석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교육문법체계 설계의 토대 마련에 목적이 있다. 두 요목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유사한 문법체계로 상호연계성을 가지고 일부 문법항목의 등급배열, 문법항목의 용어와 기술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의 원칙과 구성 체계는 모두 6등급으로 동일한 문법체계로 연계성을 지녔지만 『新HSK大纲(语法:2015)』이 『国际大纲(语法:2014)』보다 난이도가 높다. 둘째,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반영하고 등급을 고려하여 비교문, 겸어문, 把자문, 被자문등 누적식순서배열로 배열해야 할 것이다. 셋째, 문법항목의 용어와 기술에서 조동사-능원동사, 존재문-존현문, 被자문-피동문 등 혼용되고, 사용예문도 명확하지 않았다. 이런 문법항목들은 통용성을 지닌 문법항목 용어와 개념이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의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 문제점과 활용방안을 토대로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교육과 평가가 유기적인 관계를 지닌 교육문법체계가 설계되고 나아가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통용성을 지닌 교육문법요목이 마련되길 기대해 본다.
        6,300원
        25.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many scholars paid attention to L2 learner beliefs about grammar learning and error correction,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both teacher and learner beliefs about types of grammar instructions in Korean EFL contex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eliefs about types of instructions as well as grammar learning and error correction using a questionnaire adapted from Jean and Simard (2011). A total of four hundred and eighty-seven participa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ree teacher subgroups (non-native Korean high school, non-native Korean college, and native college) and two student subgroups (high school and college). The participants in general highly valued accuracy in L2 learning, but they disliked grammar learning or teaching. While both students and teacher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s such as discovery learning, and mechanical practice could be useful in grammar learning, Korean teachers reported more positive views on grammar instructions than Korean studen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a tendency to prefer error correction in the written production rather than in the spoken one. The results also revealed opinion gaps among the subgroups. The pedag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5,400원
        27.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parative role of vocabulary and grammar in different test measures of L2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83 students were asked to take three reading tests with a different technique each (multiple-choice, cloze, and recall), a vocabulary test, and a grammar test, an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learners’ reading performance differed across the three reading test measures, and the two language variables exerted different influences in L2 reading as measured by the cloze test technique; and 2) concerning the comparative contribution of the two language variables to L2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learners’ L2 proficiency, the contribution was significant exclusively in the recall test, and it varied depending upon their L2 proficienc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aking into account the type of test techniques in studies of the relative role of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in L2 reading.
        5,400원
        28.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ports on the findings of error analysis of a learner corpus consisting of 238 English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Korean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on errors that stem from confusion of lexical categories. A three-step error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a procedure established by Rod Ellis in 1995. The results revealed 10 commonly confused lexical category dyads—coordinators or subordinators mistaken for adverbs, adverbs for conjunctions, gerunds for nouns, the adverb almost for either an adjective or a noun, the pronoun each other for an adverb, adverbs for nouns, conjunctions for prepositions, prepositions for conjunctions, the preposition to for an infinitive, and the adverbial for example for a preposition. Discussions of the causes of such confusion—homogeneous L1 translation, failure to correctly punctuate spoken language in writing, lack of L2 grammar knowledge, negative transfer of L1 morphosyntactic properties, and lack of L2 lexical knowledge—are delineated with specific exampl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addressed.
        6,300원
        29.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ich facets of perceived self-efficacy (PSE) in L2 read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L2 reading proficiency (L2RP), which type of linguistic knowledge feeds into PSE, and how they are related to L2RP when considered together. Participants (n = 95) were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Four subcomponents of PSE were identified for investigation: text-based PSE, general PSE, PSE in linguistic knowledge, and PSE in authentic reading.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general PSE whose items reflect dimensions of social comparative influences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over environments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L2RP (R2 = 17.7%).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linguistic knowledge and PSE, vocabulary knowledge (VK) was shown to be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PSE when considered together with grammar knowledge (GK) and L2RP (R2 = 22.9%), while VK and GK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2RP (R2 = 69.4%). PSE was not found to make an independent contribution to L2RP when considered with linguistic knowledge.
        6,600원
        30.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research articles on English grammar instruction in Korea published in the journal ofEnglish Teaching since 1965. It analyzes current trends of research studies and provides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in the field of English grammar instruction. A total of 45 research pap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es revealed that over 90 percent of the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most of them have explored the efficacy of grammar teaching under the approach of focus on form. The qualitative analyses present thorough reviews of the published research papers with the emphasis on themes, research methods,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limitations ofthe published articles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grammar instruction are provided.
        6,700원
        3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교과에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문법 항목들이 있다. 이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도 통일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 실태를 조사한 뒤,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법 敎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한문교사 10명의 토론과 토론 과정에서 추출한 논제를 전국한문교사모임의 회원에게 설문지로 만들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토론은 문장의 해석과정을 주제로 하였다. 해석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장은 대체로 긴 문장이라는 것과 긴 문장은 짧게 나누는 지도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설문의 주요 항목은 술보 관계에서 보어의 개념 이해, 개사의 개념 이해, 접속사 而의 띄어 읽기와 현토, 대명사 之의 쓰임이었다.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었던 것처럼 설문 결과도 이를 반영하였다. 다만 有罪의 짜임을 대부분의 한문교사들이 ‘술보’로 답변하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之나 於 등의 허사를 우리말 조사나 어미로 이해시키는 방법을 지양하고, 허사의 본래 쓰임에 충실한 설명과 문맥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교수방안도 제시하였다.
        6,400원
        3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가 도구교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 한문 문법 교육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한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문 문법 학습 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한문 문법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문 문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한문 독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어순이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식자 교육의 강화, 한문 독해에 활용 가능한 의미 중심의 한자 뜻 제시, 언어 학습 경험의 활용, 한문 학습에서 오류 분석의 활성화, 문법 설명 방식의 구체화와 수업 사례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7,800원
        3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1년 한국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이후에 나온 논문 중에서 문법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문법과 문법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문법의 범주에 대하여 정리한 뒤 문법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 본 것이다. 2011년 이후 한문 문법과 관련한 논문들은 한문문법교육과 학교 문법에 관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모두의 공통된 의견은 학교 문법이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법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영역별로 정리해 보았다. ‘한자’ 영역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자 한 자에 여러 가지 뜻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자의 대표 훈을 알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표 훈에 더하여 많이 사용하는 뜻을 알려주어 한 글자가 여러 가지 뜻으로 활용된다는 점을 알게 해야 한다. 또한 ‘어휘’영역의 교육에서는 한문의 품사는 문장 안에서 어디에 쓰였는가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품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인지시키고 단어의 짜임은 가능하면 문장 안에서 익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문장’영역의 지도는 ‘사자성어’를 통하여 문장의 기본구조를 익힌 다음 점차 단문으로 확장시켜 나간다면 처음부터 구조가 복잡한 문장을 익히는 것보다 공부하는데 그래도 덜 어렵게 여길 것이다. 문법 교육의 목표는 문장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학생들의 문법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문법 교육을 강조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임을 감안하여 문법적으로 접근하는 것보다는 풀이 위주로 한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4,900원
        34.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the learning of the ditransitive construction by 49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were scrutinized more in detail by implementing it in three different input frequency conditions: Skewed-first distribution, balanced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Results indicated that syntactic priming overall had facilitative effects on the oral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e target construction, however, it was only in the skewed-first distribution that priming had a substantial learning effect. It is concluded that priming combined with the skewed-first type of input distribution would have generalizable and durable learning effects.
        5,800원
        35.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s L2 reading proficiency effects on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ocabulary knowledge and grammar knowledge to L2 reading comprehension for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To this end, 200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take a vocabulary knowledge test, a grammar test, and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y L2 reading ability in order to examine L2 proficiency eff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sub-groups indic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as distinctive. The results showed that syntactic knowledge had a predictive power for reading performance in the high reading group, but vocabulary had the same quality in the intermediate reading group. For the low reading group, neither vocabulary nor grammar could significantly account for the L2 reading varianc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5,800원
        36.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중, 한 갈래인 음운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과 그 내용을 제시한 논문이다. 또한 이 논문은 필자의 이미 발표한 ‘한국 한문문법 교육론의 연구 방향’이란 논문 중,‘음운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의 내용을 실제적으로 구체화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이 한문의 음운론적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한문 원전의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음운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음운론 교육론의 목표, 음운론 교육론의 내용(同字異音異義字연구, 同字同音多義字 연구, 古今字 연구) 음운론 교수법 연구, 음운론 평가법 연구 등이다. 1. 音韻論 敎育論의 目標 1) 한자의 字源을 안다. 2) 同字異音異義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3) 同字同音多義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4) 異字同音同義字(古今字) 및 異體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5) 合音字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6) 한자 字體의 변천과정을 안다. 2. 음운론 교육론의 내용 1) 同字異音異義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동자이음이의자(한자가 같은 형태이지만 음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한자)’들은 降(강, 내릴 : 항, 항복할), 更(갱, 다시 : 경, 고칠),車(거, 수레 : 차, 수레), 見(견, 볼 : 현, 뵈올) 등의 한자를 비롯하여 44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2) 同字同音多義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동자동음다의자(한자가 같은 형태이고 음도 같은데, 뜻이 여러 가지가 있는 한자)’들은 可, 經, 道 , 說, 등의 한자를 비롯하여 85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3) 異字同音同義字(古今字)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 있는 한자 중의 ‘이자동음동의자(고금자: 한자가 다른 형태이지만 음과 뜻이 같은 한자)’는 ‘舍 -捨’‘云 -雲’ ‘然 -燃’ ‘見 -現’‘昏- 婚’, 등을 비롯하여 27개 정도의 한자가 있다. 4) 合音字 어떤 한자들 중에는 변화과정에서 두 음절이 합쳐져서 한 음절로 된 한자를, 合音字라고 한다. 합음자에 해당하는 한자들은 ‘耳(而 + 已:<이>, ~뿐이다)’ ‘盍(何 +不:<합>, 어찌아니할)’ 諸(之+ 於:<저>, 그것을~에서)’등이 있다. 5) 頭音法則 및 받침 脫落 현상 한국에서 한자 어휘를 바르게 발음하기 위해서는 해당 한자의 발음이 다른 한자의 발음과 결합할 때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음운론적 규칙이 있다. 이런 규칙에는 두음법칙(예:良藥<량약 →양약>)과, 받침 탈락현상(예:不當<불당 →부당>) 두 가지가 있다. 3. 音韻論 敎育論 敎授法 음운론의 교수-학습법은 음운론의 내용들을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먼저 ‘음운론’의 개념을 이해시켜야 하고, 다음에 한자의 3요소와 字源의 원리, 古今字와 異體字, 동자이음이의자 및 동자동음다의자의 개념 및 유형, 한자의 변천과정 등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문제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게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직접적으로 한자의 자원 원리, 고금자, 한자의 다양한 음과 뜻을 이해하고 체계를 세워보도록 지도 한다. 주로 한국에서 한자의 형태와 음과 뜻과 관련된 음운론 교육론 교수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자의 형태와 뜻과 관련된 지도법으로는 ‘구조 분석법’ ‘자원(字源)활용법’ 등이 있고, 한자의 음과 뜻과 관련된 지도법으로는 ‘한자 카드 활용법’ ‘言語活用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웹기반학습법’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4. 音韻論 敎育論 評價法 한국 한문문법 교육론에서 음운론은 주로 한자의 形과 義를 중심으로 하고, 音은 뜻을 구별하는 측면에서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한자가 한문을 구성하는 字素로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해석을 할 때 한자의 字源 및 古今字와 同字異音異義字 및 同字同音多義字 등의 원리를 알아야 하는 것과 암기해야 하는 것 등을 나누어 가르치고 평가해야 한다. 또 한자들의 짜임원리와 어휘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짜임 원리와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을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음운론 교육론 평가법은 중 ・ 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한문과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어 우선 이를 따르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2009년 개정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영역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급단위 중, 중학교에 관한 것만 음운론(한자영역) 교육론 평가법에 대하여서만 살펴보았다. 1) 中學校 漢文 漢字領域의 成就 基準 및 成就 水準 중학교 한문교과의 한자영역의 성취기준 및 단위 성취수준의 記述은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 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성취수준 (상, 중, 하)간에 質的인 차이를 낼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 구별하였다. 용어사용에 있어서는 성취기준에서 사용한 구분이 ‘나눔’ ‘분류’에 구분을 두었다면, 단위 성취수준에서 사용한 ‘구별’은 분류한 각각의 특징, 차이를 이해하는 데 강조점을 두었다 할 수 있다.
        9,300원
        3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how they perceive English grammar education with regard to its role in learning English and the need and ways of including grammar instruction into th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23 teachers and 1513 6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ith 20 teachers were done through e-mail.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re three-fold.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hey perceived that English grammar knowledge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ing English. Second, majority of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start in 5th grade,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approaches; the teachers prefer the inductive method, while the students prefer the deductive one. Third, many teachers considered that grammar instruction woul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y believed that activities for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well designed in order to keep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made.
        8,700원
        3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문법 분석에 있어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장 큰 單位는 문장이다. 그러나 문장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가 다르고, 그에 따른 문장의 경계도 달라 좀 더 명확한 서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문장은 완정한 의미를 표현하는 독립할 수 있는 언어 단위로, 주어[문두의 NP]가 관할하는 구절까지를 경계로 한다.”라는 정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정의도 문두의 NP가 관할하는 범위가 段落으로까지 길어지는 언어 현상에 대해서는 분석의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문법 분석의 단위를 문장으로 국한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문장으로 조합된, 문장보다 더 큰 단위의 조직인, 단락을 상정하고 단락을 관할하는 ‘주제’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문법 분석 단위를 단락으로 확장했을 때의 효용성을 단어의 문법 성질 파악, 문헌 독해, 한문 교과서 글감 제시 범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5,800원
        39.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한문 문법 지도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구안 과정과 학생들의 반응 및 그에 따른 피드백 등을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본고에서 마련한 방안들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일정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문법 지도 방안은 문법 의식 제고, 한자 및 단어 의미 제시, 문장 제시․설명 등 3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마련되었다. 문법 의식 제고 방안으로는 교과융합 방식을 통한 문법 용어 이해, 한문과 국어의 차이를 통한 어순의 이해 등을 거론하였고, 한자 및 단어 의미 제시 방안으로는 의미항목과 용법의의 동시 제시, 영어․국어와의 대조분석적 방법을 통한 접속사의 이해 등을 제안하였다. 문장 제시․설명 방안으로는 대구 문장의 적절한 활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배움중심학습, 모듬학습 등에서 문법을 통한 독해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일으키며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시론적인 의견을 개진하였다.
        8,100원
        40.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one is reading or writing, various forms of bottom-up knowledge—e.g.,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the mechanics of written language—interact with the top-down processes at the level of discourse. One of the reasons English language learners encounter a lot of difficulty when they are engaged in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is that they have been taught grammar only at the sentence level and not at the discourse level. In order to illustrate how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can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ways in which the following four topics can be dealt with at the discourse level: cohesion, the tense and aspect system, comma usage, and existential there. Obviously,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of the other top-down and bottom-up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EFL teachers, however, need to know more about discourse grammar to effectively make their learners aware of it and to offer them learning activities that will contribute to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production.
        5,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