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노거수는 자연유산이자 환경 지표이다. 노거수 자원의 생 태 · 문화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현황조사 차원의 연구 와 토양 성분, 잎 활력도 분석을 통한 생육상태를 진단하고 관리 방안을 제언하는 논문이 대부분이었다. 노거수 입목 형태 분석이나 입지환경과 생육상태의 상관관계 그리고 보호수 지정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고 연구 대상도 지정노 거수(천연기념물, 도기념물, 시군보호수)에 치중되어 있어 비지정노거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2010년 창원, 마산, 진해 3개시가 통합하여 743,48㎢ 면적을 가진 창원시 는 섬 · 해안 · 내륙이 공존하는 한반도 남동부의 대표지역 으로 이 지역 노거수 자원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환경수도와 생태관광을 표방하는 창원시 행정 구역 내 노거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입지 환경과 관리 실태를 분석하여 보호수 지정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지속 가능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예비조사, 1, 2차 현장 조사, 결과 분석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 문헌 자료를 찾아 지정노거수 현황을 정리하고 지역주민 청문을 통하여 비지정노거수 145본을 파악하여 조사 대상 노거수 237본 목록을 작성하였다. 1차 현장조사는 지정노 거수 자료와 실제 현황을 확인하고, 비지정노거수의 위치, 수종, 본수도 확인하여 주요 제원을 측정을 하였다. 2차 현 장조사에서 세부 제원을 실측하고 입지환경, 생육상태, 관 리 실태를 정밀조사 하였다. 노거수 수령은 수종별로 줄기 절단면과 고사목 그루터기 나이테를 조사하여 생장량을 계 량화 하였고, 장기생장 유 · 불리 조건을 찾기 위하여 최근 고사한 노거수 입목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노거수에 대 한 제원, 입지환경, 생육상태, 인문환경 등 세부항목을 조사 지정노거수와 비지정노거수 2개 집단으로 분류, 통계적 방 법으로 비교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창원시에는 천연기념물 1개소 4본, 경상남도 기념물 1본, 창원시보호수 53개소 87본 등 지정보호수 92본 과 이에 속하지 않는 비지정노거수 145본을 합쳐 237본 노 거수가 분포하고 있었다. 노거수 분포는 자연입목보다 식재 수목(5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은 전체 22종 237 본 중 푸조나무가 72본 (30.4%)으로 느티나무 56본(23.6%), 팽나무 36본(15.2%) 소나무 13본(5.5%) 서어나무 12본 (5.0%)에 비해 많았다. 이는 푸조나무 수호수(守護樹) · 비 보림(裨補林)이 많은데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정노 거수 평균규격은 402㎝로 비지정노거수 378㎝보다 컸다. 그러나 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왕버들, 음나무 최고제원 은 비지정노거수가 더 컸으며 북부리 팽나무는 국내 최고규 격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 494호 고창 수동리 팽나무보다 흉고둘레가 15cm 큰 것으로 밝혀졌다. 수형과 수세, 가지신 장, 지엽밀도, 신엽 및 낙엽, 뿌리 건전도와 결손지, 부패·동 공(洞空), 부정아, 수피용탈, 줄기혹, 병충해 유무로 진단한 노거수 생육상태는 지정노거수는 ‘보통(건전)이하’ 비지정 노거수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지정노거수 64%, 비지정노 거수 22%가 외과수술을 하였다. 입목지점의 지형, 토지이용현황, 토성, 미기후, 천재 및 인재 요소, 인공시설물의 복사열과 간섭, 원지반 변형 정도 를 분석한 결과 비지정노거수의 입지환경(자연성)이 비교 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지정노거수는 개방된 공간에 도로 와 건물 · 시설물과 근접하는 개체가 많아 상대적으로 열악 하였다. 수관영역 내 바닥상태와 투수율이 나쁠수록 외과수 술률이 높은 것은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수세 쇠락 또는 고사(枯死)진행은 인위적 원인(84%)이 자연적 원인(16%)보다 높았고 도로확장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 났다. 생육지반 변화 적응력은 소나무, 곰솔, 은행나무, 느티 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푸조나무, 서어나무 순으로 높았고, 노거수 근경부에 주로 발생하는 줄기혹은 암석, 절개지, 석축 등 입목지점 경질(硬質) 하지반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입지환경과 수종, 입목형태와 건강성은 상관관 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삼진지역은 푸조나무 비보 림이, 내서지역은 서어나무 동구림(洞口林)이, 대산지역은 팽나무 당목이, 진해는 해안을 따라 팽나무의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단목(單木:독립수) 보다는 쌍수(雙樹) 또는 군 집 형태로 입목하거나 주거지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후계목 을 가진 노거수가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이 높았다. 옛 관아 가 있었던 소답동 진동면 웅천동에 느티나무가 집중 분포하 고 있으나 생육상태는 보통이하로 도시화에 따른 환경변화 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인지성·장소성이 높고 신앙대상과 제례의식, 유래 전설이 있는 인문환경을 가진 노거수는 보 존 의식이 높아 장기 생장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 정노거수의 입지환경 · 건강성 · 수형미가 낮은 것은 보호수 로 지정이 오히려 노거수의 자원 가치가 떨어진 결과로써 접근성이 좋은 지정노거수에 사람을 위한 과도한 개발과 시설물 도입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노거수는 원경(遠景)이 라는 인식과 달리, 주간(主幹)의 규모, 판근(板根), 줄기뻗 음새 등 수관 내 근경(近景)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노거수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경관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 된다. 창원시 노거수는 지나치게 외과수술과 수간주사에 의존 하고 정자나 운동기구 등을 과도하게 설치하거나 불투수포 장, 일본식 조경석축을 조성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주민의 신청에 의하여 접근성 위주로 노거수를 지정하여 수령과 제원(규모) · 희소성 · 생태성 · 지역대표성을 반영하 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정기적인 노거수 전수조사와 재평가를 통하여 노거수 지정 및 해제 등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거수자원조사표>와 같은 노거수 발굴, 평가, 지 정 매뉴얼을 마련해야 하고, 노거수가 건전하게 생육할 수 있도록 충분한 생육공간 확보, 예비보호수(관리수) 지정, 후 계목 육성, 친환경 생태적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향후 노거수 제원, 건전도, 희소성, 경관 문화성, 지속가 능성 등 생태 및 문화적 가치를 계량화함으로써 노거수 지 정 및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표 개발 연구 가 필요하다.
        2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 농업용수, 대기오염 등의 환경변화에 민감한 연구단지의 특성상 환경 자원의 이용이 용이해야 하나 현 농업기술원은 농업연구를 위한 환경 및 생태계 유지가 힘든 실정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농업, 6차 산업화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한 기반시설을 수립하고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의 이전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농업기술원 이전을 위한 입지이론 및 방법을 검토하고 입지여건 분석을 위한 입지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먼저 공공시설 이전에 관한 입지이론에 대해 알아보았고, 입지선정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후보지 여과방법을 사용하였다. 후보지 여과방법에는 요인별 점검법, 나뭇가지 모양분석법, 혼합형 분석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요인별 점검법을 바탕으로 하여 입지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입지선정 기준으로 경제성과 개발의 용의성, 접근성과 편의성, 농업여건, 토양여건, 인력자원 지원이 가능한 곳 그리고 연계성과 형평성이 고려되었다.
        4,000원
        2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tress and strain characteristics for the rail device in stone board cutting system.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nd strain from the vertical load acting on the device decrease as the load moves forward. Also,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ppears near the end of left, and the equivalent force of right rail device was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left rail device. The variation of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s was remarkable at the edge of the device,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bottom and column. These results can be applicable to optimal design of the stone board cutting device for the system safety.
        4,000원
        2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cation selection of distribution centers is a crucial task for logistics operators and key decision makers of an organization. This is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process which includ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riteria. In order to propose an optimized location selection model, this research suggests a hierarchical group of evaluation criteria : 5 major criteria with 15 sub-criteria. The MCDM approach presented in this research, by integrating Grey Relational Analysis (GRA)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nds to rectify the overall quality and uncertainty of the values of evaluation criteria. An example of a location selection case in Korea is illustrated in this study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4,000원
        2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the companies, improvement of logistics center managing efficiency is importantly recognized. Among them, studies on improvement of picking work process on about 55% of logistics center managing costs are continuously conducted. And, most of studies focus on analysi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picking method performable on the stage of logistics center design, etc, s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efine load location rule by product releasing frequency in logistics managing environment based on conveyer and suggest expected effects by simulation analyzing method to improve picking managing efficiency.
        4,000원
        2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logistics parks are no longer simply storage areas but rather the center of corporate supply activities. As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ncreases, so does the value of logistics related facilities. Unlike the past, in which the sole purpose of logistics services was the spatial movement of materials through transportation, modern logistics are required to carry out functions such as timely adjustment and swift adaptation to changing patterns, and this leads to the emphasis on forming logistics parks. Logistics parks make profits using the efficiency of time and space. Such logistics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corporation creating operating profits as well as acting as a method of alternative investment for individuals. Logistics parks no longer simply store materials, but have become a pl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areas of corporate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thus the analysis of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logistics parks and the related characteristics is extremely important. There are many existing studies on the selection of locations of logistics parks but work on the factors related to location selection by industry seem lacking. As such, in the course of this study we have used preceeding studies to draft a questionnaire on which selection factors affect the selection of logistics park location in different industrie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to uncove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s of logistics parks in different industries.
        4,600원
        3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무선 인터넷이나 모바일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대학들 역시 모바일 캠퍼스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 캠퍼스 구축은 근거리 무선랜(WLAN)인 와이파이 기술과 무선 AP(access point) 시설에 기반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공간 계획 없는 AP의 설치는 특정 지역에 대한 과밀화를 초래해 오히려 접속 장애나 통신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서비스의 제한된 지리적 커버리지는 실제적인 유비쿼터스 캠퍼스를 실현하는데 많은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많은 무선랜 시설을 증설한 전남대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현행 와이파이 무선 인프라 시설의 분포 특성과 서비스 커버리지를 분석하고 있으며,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와이파이 음영지대를 최소의 비용으로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최적 AP 입지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들은 와이파이 기반의 U-캠퍼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많은 대학들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3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e that estimates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location of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data related to Haemi Eupseong.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has presented an opinion that can become a practical basi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prototype of Haemi Eupseong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data that had been unsatisfactory among the fruition of studies conducted in relation to Haemi Eupseong. The outcomes achiev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verified that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that has been restored is one that has different architectural composition than the prototype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s restored in a different location. Secondly, in respect of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guest house found by the analysis of the pic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office has one step higher than the double-wing house in the form of the roof. Thirdly, the location of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of the late Chosun Dynasty is judged to be the periphery area where the current restored guest house is located, which is where the teachers' building of Haemi elementary school was located. Fourthly, the prospect of the guest house of Haemi Eupseong is decided to be similar direction to the current restored guest house with the greatest possibility of having the same direction with the arrangement of teachers' building of Haemi Eupseong elementary school.
        4,900원
        3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대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수 계획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자연조건하에서 여러 대안 후보 입지 중 최적의 요트 계류장을 결정 하기위한 문제이다. 목포시 인근의 4개의 요트 계류장 후보지 중 최적의 후보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21개의 요소들이 각각의 후보지들에 대하여 분석된다. 총 21개 요소들 중 개발 기간과 초기 투자비용은 다음 요소들에 비해서 1.5배의 가중치를 갖는다. 가중치 선형모델 분석 결과 네 곳의 후보지중 평화광장 수역이 가장 합리적인 장소로 선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소개된 모델은 지금까지 요트 계류장 선정 시 적용된 적이 없는 새로운 방법이다. 본 논문은 가장 합리적인 위치를 결정하는데 공헌할 뿐만 아니라 마리나 관련된 다른 분야에도 응용 적용가능하다.
        4,000원
        3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농업공간이 전통적 사회공간에서 국제적 경제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농업 입지에 관한 계량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미래의 시장성이 기대되는 작물인 복분자는 곡물대체 상업작물로서 지역적 특화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농업 클러스터로서 복분자에 대한 자연⋅인문 환경을 고려한 입지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지 못했으며, 일반적인 농산업 클러스터 입지 연구 조차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입지 연구의 특성과 한국의 농업입지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경상도 지역에서 복분자 클러스터가 입지할 수 있는 최적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통계기법인 Kriging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다기준 분석법(Multi-Criteria Analysis)의 하나인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기법을 이용하여 복분자 클러스터 입지 요인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산출한 후 최적의 입지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 남서쪽 지역, 경상남도의 서쪽지역과 중앙부 지역, 남쪽 해안가 지역 등이 복분자 클러스터의 최적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상도 내 복분자의 지역적 특화에 대해 실질적인 활용 가치를 지니며, 관련 담당자나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한 농업의 최적 입지모델을 제시한다.
        4,900원
        3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gistics parks make profits using the efficiency of time and space. Such logistics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corporation creating operating profits as well as acting as a method of alternative investment for individuals. Logistics parks no longer simply store materials, but have become a pl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areas of corporate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thus the analysis of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logistics parks and the related characteristics is extremely important. The estimation model is established by the weights for industry derived from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4,000원
        3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cility location in designing a supply chain network is an important decision problem that gives form, structure, and shape to the entire supply chain system. Location problems involve determining the location, number, and size of the facilities to
        4,000원
        3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ddresses the analysis of the travel distance and the number of storage location for storage location allocation methods in a warehouse system. The dedicated, randomized, combined and limited storage methods are considered. The combined and t
        4,000원
        37.
        200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인 수요를 가지는 제품에 대한 효율적인 물류망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장-중앙창고-지역창고를 포함하는 2단계 설비입지문제의 수학적 모형을 구축하고 해를 구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공장에서 서비스 지역내의 중앙창고로 제품을 수송하는 단계와 중앙 창고에서 하부 서비스 지역의 지역창고(대리점)로 경로를 통하여 제품을 배송하는 2단계 수송시스템을 고려하였다. 구축된 토형의 총비용은 수송비(수송비+배송비(정상배송+추가배송)), 중앙창고 재고비(정상재고+안전재고), 창고비(중앙창고+지역창고) 및 확장 EOQ를 고려한 지역창고 총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중앙창고 수와 지역창고(대리점 등) 수를 결정하고 각각의 중앙창고가 서비스하는 지역창고 수 및 지역창고의 경제적인 1회 발주량과 최대 재고부족량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4,000원
        3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hows that the SWOT is efficient to select a factor which is valuable as worth consideration when a decision making is necessary. Such processing of information is able to present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bio-industry in northern area of Kyonggi province, and create the pragmatic value and effect in carrying out the polic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rvey present condition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bio-industry in northern area of Kyonggi province by the decision making method of the SWOT model, to suggest a plan for the prospect of continued development field and the location of industry, and to extract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ment of annual action and investment plan which can develop bio-industry.
        4,600원
        39.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반식생이 일정 지역에 정착할 때 밀접하게 관여하는 토양환경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하반 미지형 이라는 특수 지역에서 생각할수 있는 미지형 형성의 토양구조와 하반미지형이 식물에 미치는 토양수분, 그리고 식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결과 각 미지형마다 그 퇴적상태가 다르며 이에따라 하반식생도 달리 나타났다. 또한 모두 조사구에 서 모래층 밑에는 반드시 자갈층의 단계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된 과거의 홍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지형을 고려한 식생을 도입하여야 하며, 토양수분과 지라수위와 식생과의 관계는 하천마다 다르므로 현지 지형에 맞는 식생 도입이 요구된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 장기적 현장조사와 하천 수문, 수리학적 data의 축정에 따른 하반식생과 입지환경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식생호안공법의 개발이 향후과제라 할 수 있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