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6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ultivation environment, cropping system, and the quality of cut flower in autumn-winter season chrysanthemum‘Jinba’, and to suggest the cultivation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cut flower. It was examined for cultivation environment such as average day and night temperature, average day and night relative humidity, average day and night vapor pressure deficit (VPD), and integrated solar radiation of 4 farms planted in mid-October. Also, it was surveyed for cropping system such as cutting condition, growth period, irrigation method, soil chemical properties. Chrysanthemum ‘Jinba’ was harves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cutting of four farms, and then growth, chlorophyll content,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data, it was analyz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ultivation environment, cropping system, and quality of cut flower elements. In correlation between cultivation environment and quality of cut flower, the average night temperatu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growth of cut flower, and it was no correlation with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vase lif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day and night temperature and VPD, and a mo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day and night humidity. In correlation between cropping system and quality of cut flower, the cutting length, period of vegetative growth, daily irrigation amount, and total irrigation amount showed a less positive correlation, and leaf number of cutting and soil pH showed a mos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wth of cut flower. On the other hand, soil EC showed a less negative correlation, and days to flowering after light out showed a most negative correlation with growth of cut flower. The vase life of cut flower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ropping system factors.
        6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maturity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character for double cultivating system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or garlic in southern area of Korea. Soybean cultivars released in the past, especially ‘Keunolkong’ was widely cultivated but it was weak at abiotic stress and low yield potential because of too short growing period and short stem height. ‘Hanol’, a new early maturing cultivar showing better abiotic stress tolerant and higher yield potentia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1408 and ‘Hwaeomputkong’, and released in 2009. ‘Hanol’ is, compared to ‘Keunolkong’, Hanol’s growing period is five days longer and its height is 5cm higher. In addition, it showed better excess-water tolerant and 26.5g 100-seed weight. At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ix regions from 2007 to 2009, ‘Hanol’ showed 2.04 tons of seed per hectare, 14% higher than ‘Keunolkong’ (1.80ton/ha). ‘Hanol’ is promis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with higher yield.
        63.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oybean cultivar for soy-paste, ‘Hwangkeumo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2414 (crossing line of ‘Pokwangkong’ and ‘Suwon163’) and ‘Hwaeomputkong’ by soybean breeding team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0. A promising line, SS99409-2B-11-5-4,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Milyang202’. It was prominent and had good result from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and released as the name of ‘Hwangkeumol’. It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gray pubescence, yellow seed coat, yellow hilum, spherical seed shape and large seed (28.6 grams per 100 seeds). Maturity date of ‘Hwangkeumol’ was as early as September 15th.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double cropping system. ‘Hwangkeumol’ was resistant to bacterial pustule and resistant to soybean mosaic virus, the major soybean diseases in Korea an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s. The average yield of ‘Hwangkeumol’ was 2.51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6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풍’은 1999년에 대립이며 황색 종피이며 다수성인 ‘수 원191호’를 모본으로 하고 경장이 짧고 조생종인‘수원196호’ 를 부본으로 교배되었다. 2000년도에 F1을 양성하고, 2001년 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2년 ~ 2004년도에 F3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HS982-B-1-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3호’이다. ‘연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피침형 과 능형의 중간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실모양은 편구 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갈색이고 협은 성 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대원콩보다 15일 빠 른 조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8.7 g으로 대립이다. SMV유묘 검정에서는 하위엽에서 모자이크증상을 보였으나, 포장에서 는 0이었다.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2.5%였다. 불마름병 유묘 검정에서는 5 정도였으나, 포장에서는 0이었다. 콩나방 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36.1%이었는 데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46.8 ㎎/100g, 아이소플라본 함량 은 1,667 ㎍/g으로 대원콩보다 낮았다. 조지방은 19.2%였는 데, 대원콩보다 포화 지방산은 11.8%로 1.6% 높았으나, 불포 화지방산은 85.0%로 1.2% 낮았다. 가공적성에서 두부수률은 대원콩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두부물리성 중 경도, 검성, 응집성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경도는 낮았다.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대원콩보다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대원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6% 증 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3.44 MT/ha으 로 38% 증가하였다(품종보호번호: 제4242호).
        6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토양 pH 수준별로 고토석회, 유황, 황산칼륨, 패화석, 규산질비료, 석회질소, 유안비료를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키고 토양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대체농자재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pH가 낮은 황산칼륨 처리구(24 kg/10a)에서는 더뎅이병 발병률이 84.4%, 발병도가 28.4%로 가장 낮았다. 방제효과는 12.3%, 상품율은 93.2%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발병도 38.3%로 낮았고 방제효과 23.8%, 상품율 66.3%로 높았다. 토양 pH가 높은 시험구 중 더뎅이병 발병률은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38.3%로 가장 낮았고 유안 처리구(48 kg/10a)는 62.6%로 높았다. 더뎅이병 방제효과는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에서 23.8%로 유황 처리구의 6.1% 보다 4배 이상, 상품률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자 더뎅이병 병원균 Streptomyces acidiscabies과 Streptomyces scabiei를 석회질소 2.5, 5 g/L, 10 g/L에 접종시 생장량은 다른 토양개량제 보다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자 파종 전에 토양 pH가 5 이하이면 황산칼륨을, 6 이상이면 석회질소를 시비하면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7.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풍’은 1998년에 두부 특성이 우수한 동산 128호를 모본으로 하고 미국에서 도입된 Sprite 87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1999년에 F1을 양성하고, 2000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AVRDC에서 SSD (single seed descent)로 F3-F5세대를, 2002년도에는 F6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25-B-B-S-S-S-100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 1호’이다. ‘만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 신육형이며 꽃색은 백색이고, 엽형은 난형이며, 모용색은 회백색이고, 종실 모양은 편구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담갈색이고 협은 성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태광콩보다 9일 빠른 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9.5 g으로 대립이다. 병 저항성은 뿌리썩음병은 강하고, 불마름병은 1이었고 콩나방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41.3%, 조지방은 19.3%였고,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81.2 mg/100g, 아이소플라본함량은 2,425 ㎍/g으로 태광콩보다 높았다. 가공적성은 태광콩보다 두부 수율은 230%로 높았고, 경도는 낮아 부드러웠고,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태광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4% 증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단작에서는 2.41 MT/ha으로 3% 낮았으나, 이모작 재배 시에는 2.87 MT/ha으로 12% 증수하였다.
        68.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 96.2% of the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is obtained from groundwater and there are quit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 demand/supply spatially because of regional and seasonal differences in cropping system and rainfall amount. Land use for cultivating crops is expected to decrease 7.4% (4,215 ha) in 2020 compared to 2010, while market garden including various vegetable crop types having high water demand is increasing over the Island, especially western area having lower rainfall amount compared to southern area. On the other hand, land use for fruit including citrus and mandarin having low water demand is widely distributed over southern and northern part having higher rainfall amount.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of 1,214×10 3 ㎥/day in 2020 is estimated about 1.39 times compared to groundwater supply capacity of 874×10 3 ㎥/day in 2010 with 42.4% of eastern, 103.1% of western, 61.9% of southern, and 77.0% of northern region. Moreover, net secured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ould be expected to be much smaller due to regional disparity of water demand/supply, the lack of linkage system betwee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facilities, and high percentage of private we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total net secured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to overcome the expected regional discrepancy of water demand and supply by establishing policy alternative of regional water supply plan over the Island, including linkage system between wells, water tank enlargement, private wells maintenance and public wells development, and continuous enlargement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6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 및 노지에 재배되는 소득작물은 종류가 다양하고 장소와 시장가격 동향에 따라 수확시기가 극히 가변적이다. 따라서 소득작물 후작에 필요한 벼는 늦게 심어도 벼를 안정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단기성 품종이어야 한다. '만종'은 '영덕34호'와 '남평벼'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인공교배 한 후 약배양으로 품종을 육성하였다. 1. 출수기는 7월 10일에 이앙한 소득작물 후작지 재배에서 8월 30일로 '금오벼'보다 1일 정도 늦은 중생종이다. 간장은 '금오벼'
        70.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um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We also compared major components in sesame seed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 The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e also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Grain yield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sowing dates. In general, sesame sowing on June 30th showed higher grain yields than July 10th, July 20th and July 30th in the greenhouse. We also found out sesame cultivation practice with the row spacing of 40 cm and interplant spacing of 30 cm (a few branch type) or 40 cm (many branch type) showed high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in main stem when thousand seed weight and grain yield were highest. In the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at the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sesame seed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contained 4% much more oil content than open field condition. The lignan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also higher by 6% in the greenhouse than open field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guaranteed higher grain yield with less labor input which is now emerging alternative farming practice system in present aging rural society and will also give sesame cultivation farmers to increase net income in Korea.
        7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지속재배시 벼 생육, 수량 및 미질과 질소비료 절감 효과를 구명하고자 3년간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시 m2 당 자운영 입모수는 565~804개로 안정적이었고 식물체의 질소 및 칼리함량은 관행보다 높았으나 인산함량은 추천시비량보다 약간 낮았다. 2. 자운영 지속재배 답 벼 생육은 분얼기때는 환원장애를 받아 벼 단작보다 초장이 짧고 주당 경수 및 건물중이 적었으나 유수형성기 이후에는 서서히 회복이 되어 벼 단작과 비슷하였다. 3. 엽색도 변화도 분얼초기부터 출수기까지 벼 단작과 비슷하였으나 출수기 이후 성숙기까지 엽색도는 벼 단작보다 3.7이나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자운영구에서는 질소성분이 벼 생육후기 늦게까지 공급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4. 자운영 지속재배논에 무비로 벼를 재배한 결과 m2 당 수수가 벼단작보다 평균 14개정도가 많고 현미천립중이 약간 무거웠고 수당입수는 비슷하였으나 등숙비율은 벼 단작보다 0.6~7.8% 낮았다. 5. 자운영 지속재배논에 무비로 벼 재배시 3년간 쌀수량은 518 kg/10a으로 벼단작 501 kg/10a과 비슷하여 자운영 지속재배시 화학비료 100% 절감이 가능하였다. 6. 자운영 답 벼 재배시 쌀 품질은 벼 단작에 비해 등숙 비율이 낮은 결과 백미 완전미율이 낮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벼 성숙기 늦게까지 질소공급에 의한 분상질립 및 청미 등의 미성숙립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7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 is considered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by increasing soil organic matter and fertility level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at paddy soil (fin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eric Fluventic Haplaquepts) i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Korea in 2006 to 2007.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in green manure plots was lower than without green manure (control) during spring season (April to May).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no tillage plot (broadcast before rice harvest) was the lowest among treatments. After green manure cropping, the soil bulk density and porosity ratio were improved at the top soil. The production of green manure was the highest athairy vetch and barley mixture plot by partial tillage. However, mixture treatment had no improvement on soil organic matter. After rice cropping with green manure application, soil quality was improved such as soil physical properties except mixture treat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soil quality should be improved by green manure cultivation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7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 연작장해 경감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9월 하순~10월 중순에 호밀, 헤어리벳치, 귀리 등을 파종 후 이듬해 5월 상순 환원하여 2004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윤작에서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여 단일연작 48.9kg/10a 대비 33% 증수되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하여 10~15% 증수되었고,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윤작 시 연작에 비하여 병발생, 토양의 시들음병균 밀도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연작 간에는 녹비작물재배 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비작물재배 간에는 호밀과 헤어리벳치재배에서 양호하였고, 공극률은 윤작과 연작의 호밀재배에서 가장 높았다. 연작기간이 경과할수록 시들음병 및 역병 발생이 많았으며, 연작 간에는 호밀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수량도 가장 많았다.
        7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답에서 벼의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벼-자운영 작부체계에 적합한 품종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 답작 포장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재배답은 무재배답에 비해 이앙 후 환원장애에 의한 초기 활착이 떨어졌으나, 풍미벼, 소비벼, 화영벼가 초장 및 개체군생장률 감소가 적은 편이었다. 2. 부위별 질소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높았고, 반대로 질소흡수량은 단위면적당 건물중이 높았던 자운영 무재배답에서 높았다. 3.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수량이 낮았던 원인은 단위면적당 수수가 적었기 때문이다. 4. 수량에 영향을 미친 수량구성요소로써 자운영 재배답에서는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자운영 무재배답에서는 등숙율이 크게 작용하였다. 5. 쌀의 완전미율과 단백질 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자운영 무재배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식미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8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elect the seeding machine for mechanizing cultivation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three different seeding machines, ridge rotary, power tiller ridge rotary, tractor ridge rotary were used for sowing one of the high yielding rapeseed cv. Hybrid with five different seeding methods. Seeding of ridge rotary was reduced the seeding effort with 45%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branches and pods, pod length and seed setting rate were higher. The seeding of ridge rotary also was showed highest seed yield. On the basis of time requirement for seeding, vegetative and yield parameters ridge rotary seeding machine was a suitable seeding machine for rapeseed cultivation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