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81.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중국의 중학교 ‘역사와 사회’ 교과서 1종, 2권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글로벌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따른 국가, 인종(민족 포함),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 일곱 가지 범주였다. 분석방법은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이다. 분석범위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문화 주제들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은 어떤 측면의 문화적 다양성을 주목하였고 어떠한 관점에서 다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다문화교육은 국가와 인종·민족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국가와 민족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문화의 차원에서 ‘세계문화 백화원’을 제시하여 국제이해교육을 지향하였으며, 국내의 다민족·다문화 교육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수준으로,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 교육을 통합시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평등, 정의, 공존을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과는 아직 거리가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국가, 인종, 민족,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공존,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차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특정 단원·주제에 추가적으로 다루어지는 기여적 접근과 부가적 접근을 넘어서 변혁적 접근과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지방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에서도 다민족교육을 반영할 필요가 있고, 또 중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다문화교육의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82.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지역간 유아교육여건의 격차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변수로는 원아 100명당 기관수, 학급당 원아수, 정교사당 원아수, 원아당 교육비 등을 사용 하였고, 범위, 표준편차, 편차계수, 지니계수, 역맥룬지수 등을 적용하여 지역각 격차를 측정하 였다. 2004년, 2007년, 2010년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국의 지역간 유아교육여 건 격차는 분석변수와 측정지표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형평성이 개선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표에서는 격차가 심화되고, 특히 하위지역간 불평등이 지속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의 기회균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83.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some issues in rel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It is very regrettable tha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little educated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for Chinese students. Even though many people think that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educating Korean is unnecessary or unuseful. The main problem of literature education is the lack of useful textbooks. Therefor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meeting Chinese students' level is essential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ng Korean for Chinese students. This paper hopes to contribute professors, teachers educating Korean for Chinese students to develop their teaching skill.
        84.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의 대학 내 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교육배경 및 한국어 학습 목적을 조사하고, 이들의 수업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의 교수 요목 설계 방안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한다.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수요목은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회화 중심의 수업보다는 한국어학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대학 내 설치된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의사소통 중심 수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대학 본과생을 제외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과정은 제대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학습시간과 요구에 맞는 교수요목 개발이 요구된다. 본고는 텐진 외국어대학교의 평생교육원 한국어 과정의 현황을 정리하고,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수요목 내용 설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학습 목표가 한국어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나타나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요구하고 있음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학이 중심이 되는 일반대학의 한국어과정 교수요목으로는 이들의 요구를 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본고의 요구조사는 설문 대상자가 비교적 적었고, 텐진외국어대학교 평생교육원만을 대상으로했기 때문에 전국의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표할 만한 지표는 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원의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의 설계 필요성이 드러난 만큼, 이제 다양한 평생교육원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많은 설문과 조사를 거쳐 데이터를 쌓고, 이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맞는 교수요목이 재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85.
        2011.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1월까지 중국 4년제 대학 중 103개 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고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교육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많지 않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국문화 교육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문화 교육의 부족으로 한국의 사회와 문화와 접하게 될 때 문화적 충격을 받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교육 내용, 교자 자질, 자매대학 협력 등으로 나누어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8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는 고대로부터 󰡔千字文󰡕이나 󰡔三字經󰡕과 같은 童蒙書들이 많이 편찬 되었다. 이런 교재들은 어린 학동들에게 識字 및 상식교육을 시킬 때 필수적으 로 사용되었던 교재들이다. 중국에서 현존하는 동몽서 중 가장 일찍 나왔던 책 은 󰡔急就篇󰡕이다. 그러나 이 보다 앞서 중국에는 최초의 학생규칙이었던 「弟子 職」이 있었는데, 이는 齊나라 稷下學宮의 학생 관리 규칙이기도 하지만, 훗날 동몽서 편찬에 영향을 주게 되는 ‘동몽서 雛形’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자직」은 管仲이 지은 것으로, 제나라 桓公 때 세워진 직하학궁의 학생 생 활수칙이다. 직하학궁은 제나라 정권이 국가발전과 정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하 여, 인재를 불러 모아 그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면서 학술연구와 학생교육을 담 당하게 하였던 교육기관이었다. 이 직하학궁 내의 각 학파 賢士들은 백가쟁명 의 구도 속에서 학생들을 지도 관리해야 했고, 이러한 배경에서 「제자직」이 나 오게 되었다. 「제자직」에서는 “尊師” “友愛” 정신과 道德修養, 학습활동과 생활습관 등 학 생들이 반드시 지켜야할 기본적인 준칙 등을 체계적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그 내용은 약 열 가지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식은 기억하기 쉽도록 거의 전 부가 1구 4언의 운문으로 되어 있다. 「제자직」의 기본 정신은 곧 스승을 존중하고 법도를 중시하는 “尊師重道”사 상이다. 이러한 사상은 내용 중의 “謙恭”과 “虛心”의 태도에서 잘 나타나 있다. 이 사상은 학생이 갖추어야할 훌륭한 학습태도이자 덕성을 길러 훌륭한 인품의 소유자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尊師” “重道”의 가치 관념을 체현 하는 방법인 것이다. 「제자직」에서의 “尊師” “重道”의 교육철학은 공허하게 추 상적・관념적인 구호에 그치지 않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천이 되도록 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尊師” 정신은 정상적인 교학활동을 위한 전 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제자직」에서는 지극할 정도로 선생님에 대한 “恭敬” 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君師父一體”라는 전통적 관념이 그대로 적용 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弟子職」이 󰡔漢書󰡕 「藝文志」 중에서도 孝經類에 분류되어 있는 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제자직」 이후에 나온 󰡔千字文󰡕・󰡔百家姓󰡕・󰡔三字經󰡕・󰡔弟子規󰡕 등과 같은 동몽서들이 모두 다 「제자직」처럼 네 글자 형식으로 된 것은 아니지만, 그 격식 과 정신은 모두 「제자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자직」 에서 교육내용을 學規와 통일을 시킨 編寫 원칙은 곧 훗날 동몽서들이 아동의 심리 특징에 맞도록 하고, 지식교육과 도덕 배양을 하나로 융합시켜 이상적인 교육효과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87.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수자는 학습자 모국어의 음운현상들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 사이의 간섭 현상을 파악해서 올바르게 교육 할수 있다. 교수자가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교수하지 않는다고 해도 음운현상을 교수하거나 오류를 고쳐줄 때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근간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낱 음절의 발음보다는 음운현상에 대해 관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에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예측해보고 학습자들의 실제 한국어 발음을 녹음해서 한국어 음운현상의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현상 사용에 대한 실태를 점검 할 것이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선택함은 세 언어에 비슷한 음운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현재 가장 많은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고 있기에 필요성이나 유용성 입장에서도 그 이유를 말할 수 있으리라 본다.
        8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토대로 중국이 가지는 다문화적 특징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민족 국가는 고유의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가적 문화의 철학적 구조를 형성하고, 사람들의 지식과 믿음, 가치판단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 중국 문명화의 오랜 혁명적 발전 과정에서 이들 문화가 사회에 적응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봉건사회의 다원적 구성체로 된 자유로운 독립체에서 현대사회의 자의식적 단체인 다원적 독립체로 다른 집단의 문화는 서로 소통되고 동화되고 통합되어 왔다. 그 결과 중국과 같이 다민족 사회의 형태를 가진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었다. 즉 다원성의 단일한 이론인, 다문화의 과학적 개념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다문화 교육 이론은 다원론을 하나로 묶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성된다. 첫째, 무엇보다 각각의 민족 그룹은 그들 고유의 연관적인 독립성을 가진다. 둘째, 그 문화가 무엇에 기반을 두고 있고 무엇을 추구하던 각각의 문화는 공통적 특성을 지닌다. 더욱이 시간과 인간의 소통이 발전되면서, 각 문화의 차이는 더 공통적 특성을 띠게 된다. 그러므로 중국의 다문화주의는 개별 문화의 차이성을 염두에 두면서, 완벽하고 동일한 권리를 바탕으로 각 문화의 개별성과 함께 공통적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8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1)이라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 운영에 주변국의 한 사례로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육과 건강 과정표준’을 통해 볼 때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와 , 과정 목표, 내용 표준, 교수 내용, 실시 건의,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학생의 건강을 촉진하고 운동에 대한 학생의 소질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데 초점을 두어 ‘건강 제일’과 ‘소질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과의 성격이 ‘학과 중심’으로부터 ‘학생 발달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교육과정에 학생의 체질 및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 건강, 사회 적응 능력의 신장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여 학생의 전인적 발달에 관심을 가졌다. 넷째, 체육 교육과정의 관리가 국가, 지방, 학교의 3급 관리형식으로 분권화되어 그 동안 국가 수준 체육 교육과정에 의존하여 수업을 해오던 교사들의 재량권이 대폭적으로 늘어났고, 이에 따라 체육 교과에 조선 민족의 전통 종목을 살리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90.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개관하고 문제점을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은 우여곡절 끝에 현재 비교적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시점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고 재검토하는 것은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보다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한 작업이다. 본고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과 개설과 학습자 구성, 교수요원 구성, 현행 교육과정과 교수법에 대해 논의한다.
        91.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두 개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한 집단은 교사의 발음을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직접교수법으로, 다른 집단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등의 음성학적 정보를 제시하고 발음 을 교육하는 청각구두식 방법으로 동일 시간 동안 교육을 하고, 같은 문항으로 “받아쓰기”를 하여, 각 집단의 음소 인지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방법은 단순 반복을 통한 직접교수법이 라는 것을 밝힌다.
        92.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들의 세부적 요구사항의 이해를 근거로 하여,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신라대학교 한국어 연구소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생들에 대한 설문지를 조사했다. 설문지는 다섯 부분 즉, 학습자 요인, 교수방법 요인, 학습방법 요인, 학습내용 요인과 학습의 효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우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정하는 방향을 결정했다. 첫째, 기초 한국어 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들은 그들의 높은 지적능력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들은 실생활 내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목적 이 의사소통 능력의 확장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문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은 다양한 수준에서 달라야만 한다.
        94.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ese seafarers have begun to be employed by foreign shipowners since 14979. Recognizing the benefits of overseas seafarers employment , Chinese goverment has implemented policy for seafarers' education and suppl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goverment has expanded and improved seafarer training facilities. As a result a number of seafarers have been educated, who are now available for employment on Chinese and foreign flag vessels. In 1995, about 20,000 Chinese seafarers served on foregin shipowner's vessels and the total foreign currency they earned was approximately US 300 million.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education system for Chinese seafarers and the mechanism of Chinese overseas seafarers employment and to highlight main problems occurred in the mechanism of their overseas employment. It takes the fact-finding research method with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