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21.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in house care is develops and becomes part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 viewpoints of in-patients and out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house visits by physical therapist and to investigate the viewpoint of in- and out-patients who ha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3 general hospitals in Wonju, Korea. Two hundred and fifty-eigh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ixty-five point seven percentage of respondents showed their willingness to utilize house visits by physical therapist if an in house physical therapy program were established. 2. The questionnaire used a Likert-type scale to ask the respondents their viewpoints on in house physical therapy services. Most respon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answering 'I agree'. The findings show that house visits by physical therapists should be introduced as an integral system for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Korea.
        4,800원
        122.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new direction of college English progra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Korean university EFL leamer needs. With this goal, this study discusse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provided for 405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desirable English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needs assessment.
        6,700원
        124.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πl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fea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EFL learner needs assessment in Korea. π1Îs paper relates theoretical concepts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in needs assessment in general to the p때lC비따 concem with needs assessment in TEFL. 까le paper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the needs assessment in terms of the “ leah1er-centered” system, thc 폐 needs" type, the “process-oriented" interpretation, and the “democratic" approach.
        5,200원
        125.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 haviors of elders aged 60 or over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us to contribute to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 subjects were 200 elders who had resided at An-Dong city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llect data,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3 to 23, 1996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by 6 trained student interviewers. Chi-squar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e of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average age were 73.6 years old. 21.5% of the subjects were 60-69 years old, while 27.5% were 70-74 years old, 25.0% were 75-79 years old, 26.0% were 80 years old or over. 2)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aver age 3.39 point and standard deviation 1.09. The perceptive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s was in the mid point range of health condition. 3) 46.6% of men and 25.8% of women practiced exercise regularly for thei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4) For the degree of the subject's perceptive health condition, the difference by s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51.8% of men and 60.2% of women has idea for interventions to health promotion program by rehabilitation services.
        4,900원
        126.
        199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28.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as a basis for program planning for day care children. Nutrition achievement test developed by American National Dairy Council and Iowa state University was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for day car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 70% of mothers indicated their children had a certain degree of food behavior and feeding problems in terms of unbalanced food habit, irregular meal period. 2. Mean score for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for day care children was 9.3. 3. The nutrition achievement test score for children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middle and lower group. 4. Inspection of the difficulty difference indices showed that over the 50% of the children had more items that were easier in the content of physiological facts than in the food handling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foods.
        4,600원
        129.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 investigate work patterns and productivity indices, b) rate performance levels of employees and c) determine the suggested levels of personnel and labor hours for the effective labor control in school foodservice. Eightee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in Seoul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work patterns by the work sampling methodology. Allowance time and performance rating by VTR observation was done to determine the standardized labor hou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percentage of each work function of the total work functions such as direct work function, indirect work function and delay were 65.57%, 8.12%, 26.31% respectively. The productivity index is 0.92 min/meal. The average working and delay hours per week of the foodservice director, foodservice employees and supply person were 33.64 hours, 23.25 hours, 38.52 hour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delay hours of total labor hours for foodservice employees and supply person were 42.27% and 24.0%. The standardized work hours and the appropriate levels of foodservice employees of 17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were examined: The average rating of the foodservice employees work was 1.19 and British Insulated Calendarer Cables (BICC) allowance rate was 19.40% on the average. The total work hours of foodservice employees were 172.64 hours per week and levels of personnel were 4.53 persons. BICC allowance rate was applied: The standardized work hours per week was 180.95 hours and appropriate levels of personnel were 4.11 persons based on legal 44 working hours.
        4,000원
        130.
        202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wave of digital economy sweeping the 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cloud computing, 5G, ChatGPT and other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ing rapidly. All walks of life are undergoing changes, and people’s thinking, cognition, life, study, and work are changing accordingly.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also facing new situations and challenges in politics,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and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digitalization itself and its impacts a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world and affect every citizen of the earth. Digital literacy and skills derived from digitalization have gradually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from all walks of life. In terms of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kills, it mainly refers to the digital ability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and use in study, employment, and future work under the background of informatization and digitalization. Although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kills have been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schools, there is no unified definition of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kills by various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use of this concept by countries and reg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prises’ demand for digital talents,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the training and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skills.
        131.
        2023.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한국문화교 육 관련 교과목과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그 결과,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 육을 부족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어학과 재 학 중인 학습자들은 모두 한국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1) 교육 내용의 풍부성, 2) 교수 학습의 다양성, 3) 교재 내용의 실제성, 4) 학습활동의 실천성이라는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적합한 한국문 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다루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
        132.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피트니스 지도자의 직무 열의를 높이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사회적 지 지 등 관련된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남, 여 피트니스 지도자 408명이었 으며, 이들에게 설문을 요청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 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적 합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 첫째,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 무형식 학습 및 사회적 지지는 직무 열의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장 욕구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과 사회적 지지는 병렬 다중 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결론: 피트니스 지도자의 성장 욕구는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지도자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지 도에 대한 열정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성장 욕구가 높은 피트니스 지도자는 동료와 상사, 가족, 고객 의 지지와 같은 사회적 관계가 형성될 때 직무에 대한 열의도 높아지며, 무형식 학습에 참여하고자 노력하는 태 도도 직무 열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33.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 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 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 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 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 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 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4.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총 299명(여학생: 153명)의 중학 생이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자율성지지, 회복탄력성, 운동전념,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을 설문지를 활 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의 검증 및 분석은 SPSS(version 25)와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 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및 체육 교사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자율성지지 및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장기적인 활성화를 위한 스포 츠 강사의 동기부여적 교습법 개발 및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근거 기반의 확대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135.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가지는 의식과 다독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소재 국·공립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9명과 동일 학교에서 근무 중인 영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와 학생에게 주어진 설문 문항은 기초 설문 항목, 학교 수업 실태 조사 항목과 다독 실태 조사 항목 및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들은 교과서를 제외한 영어 읽기 텍스트 부족과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적 구성 결핍을 현재 영어 읽기 교육의 주된 문제점으로 인식했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교사들은 교육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독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학생 설문 분석의 경우, 지나치게 난해한 표현들이 수능 영어 지문과 EBS 교재에 다수 포함되어 학생들은 영어 읽기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현재 다루고 있는 수능 지문과 EBS 교재 이외에도 읽기 능력 향상과 수능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 기 위해 추가적인 읽기 자료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조사를 통해 수능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다독 프로그램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136.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히 도입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향후 초‧중등 교육에 미래 교육 방법으로 안착될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탐색하고, 전통적인 대면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의 설문 조사(개방형, 척도형), 문헌 조사, 해외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 및 설문 조사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재구성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의미 있게 통합하고 활용하는 역량, 온라인 수업 시 활동 데이터를 통해 학생을 진단하고 모니터링 하는 역량, 온‧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활동 정보를 활 용한 학생별 맞춤형 지도‧지원 역량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해외 사례의 시사점과 문헌 조사, 그리고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교사의 새로운 역할 수행과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 역량 제고, 교사의 온라인 수업 지원을 위한 학교와 교육청 수준의 물적‧인적 인프라 구축, 취약 계층 가정의 온라인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단계적 지원 체제 구축, 블렌디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및 평가 전략 수립을 제안 하였다.
        137.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코로나 상황(Covid-19)의 장기화로 인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많은 교육과정들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인 교육실습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초점은 비대면 교육시대의 온라인 교육실습을 위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2019년 충청권 교사연구회를 통해 드러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플랫폼에 요구되는 콘텐츠와 세부 기능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2020년 5개의 충청권 실습학교들이 실시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내용을 살펴보아 현장의 요구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2020년 온라인 교육실습을 경험한 각기 다른 대학교 소속 4명의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 기억해야 할 가치와 교육실습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실습지도교사는 실습의 전 과정의 흐름을 드러내는 콘텐츠의 중요성, 학생들은 실제실습의 과정에 초점이 맞춰진 콘텐츠들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소통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가치를 드러냈다.
        138.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인식과 그들이 지각하는 시민성의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도를 도출하여 그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수집된 714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t검증, χ2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영역 및 문항별 중요수준과 현재 수준 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급별 분석에서도 고등학생의 경우 18개 문항 중 2개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중요수준이 현재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전체와 학교급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도출된 영역은 ‘디지털 보안’, ‘디지털 자아정체성’의 영역이었으며, 이는 1사분면에 위치하여 교육요구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배운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교육에서 이런 교육이 반영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는 현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을 교육하기 위한 지침 및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 하였다.
        139.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델파이분석, 요구분석을 차례로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 및 저성취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이후 델파이 조사와 10인의 전문가협의회를 거쳐 학업 저성취 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구성 요소에 대해 지원 프로그램 구성 시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차이검증(대응표본 t검증), Borich의 중요도 산출,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델파이 분석을 통해 총 1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14개의 구성요소는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요구분석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는 7개, Borich 요구도에서는 6개의 구성요소가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넷째, 우선순위 도출 결과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는 5개 (목표관리, 집중력, 시험관리, 체계성, 내용의 적합성)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종합적이고 수요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제안한 구성요소들은 추후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40.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교사 연수체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언어교사 연수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교원 연수체제 및 연수의 법적 근거와 종류, 언어교사 연수의 정의 및 필요성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체제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언어교사들의 요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언어교사 연수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결과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된 불균형의 해소, 변화된 시대에 맞는 다양하고 현장 친화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연구·개발, 연수내용이나 주제 선정, 연수과정 개설 및 운영에 있어 해당 지역의 특성과 교사들의 요구 적극 반영, 해외 유수 교사연수 기관과의 MOU 체결을 통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 운영, 언어교사들의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실질적인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연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진의 지속적인 질 관리 등, 향후 언어교사 연수체제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