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1

        141.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
        14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를 둘러싼 논쟁 중에서 최근까지 가장 첨 예한 대립을 거듭하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인 바그너의 사상과 음악이 독일의 제3제국과에 직 접적인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논쟁을 다루었다. 현행 학계에서 이 논쟁은 비판과 옹호의 상호 극단적인 대립을 보이고 개별사항에서 이견이 노출되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데, 본 논문은 이 대표적인 주장들의 배경과 근거를 비판적으로 검증․논의하면서, 히틀러의 바그 너 숭배, 히틀러의 반유대성, 히틀러와 바그너 일가의 관계, 그리고 바그너의 서거 이후 히틀 러의 제3제국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른바 “바그네리안(Wagnerian)” 내지는 “바이로이 티안(Bayreutian)”이 어떻게 바그너의 (반유대적 내용과 연관된) 사상과 작품을 의미화했으 며, 확산시켰으며, 수용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추적하였다.
        14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루터의 죽음관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의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입장과는 달리 루터의 죽음관이 드러내는 가장 큰 특징은 루터가 죽음의 문제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의해서만 의롭게 된다는 그의 핵심적 개혁 사상을 가지고 풀이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서 루터는 이 개혁 사상에 의거하여 중세 구원론과 종교적 관행에 불가결한 요소였던 연옥 사상을 결국 거부한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의해서만 의롭게 된다는 관점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인과 관련하여 두 종류 의 죽음―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인생 중에 경험하는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죽는 죽음과 인생의 끝을 의미하는 죽음―을 이야기한 다. 전자의 죽음은 후자의 죽음의 형태와 그 이후 누리게 될 부활과 영생 의 불가피한 조건이 되는 만큼 루터의 죽음관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이 경험하는 이 두 형태의 죽음은 두 형태의 부활 과 연결된다. 루터는 죽음 이후 불멸하는 영혼이 즉각적으로 심판을 받고 천국이나 지옥이나 연옥으로 옮겨진다는 중세 후기 교리 대신 부활 때까지 죽음은 잠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잠으로서의 이 죽음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첫 번째 창조 때보다 훨씬 더 영광스럽고 아름답게 만들어질 두 번째 창조를 위한 중간과정이라는 점에서 두렵고 끔찍한 일이 아니고, 하나님과 의 영원한 삶을 위해 거쳐야 할 꼭 필요한 통과의례가 되며 이 세상에서 겪은 모든 죄와 죽음과 악과의 싸움에 대한 최후 승리를 의미한다.
        14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right degree of shading to reduce summer months when the death Allium hookeri cultivation in the southern highland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 altitude of 500m, Jeonbuk Namwon unbong plateau region The soil was tested in phosphatic content was slightly higher so 671 ㎎/㎏ than regular soil. Every soil testing was conducted in sandy soil with good water. The test day highs at 50% shading plots of shading in this period about 6.1℃ lower than the non-shading. The soil temperature is lowered to 1.9℃ at 50% shading plots compared with the non-shading. As a result, Allium hookeri underground quantities produced per 1,682 ㎏ 10a in 50% shading plots. This was a 35% increase compared to the non-shading plots. Allium hookeri is native to the Alpine 4,200m from 1,400m above sea level, near the Himalaya Mountains. Myanmar is known as the National vegetables. Allium hookeri is Allium plants. It flies three flavors, including sweet, spicy, bitter taste. Allium hookeri roots are similar to ginseng roots called as 'three vegetable' This is a randomly named. The in Korea was first introduced in 2006. By 2015, the country has been found to 190㏊, Jeonbuk 35㏊ (18.3%) is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ultivation of plants in the southern highland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use this experimental Allium hookeri seedlings were planted in Jeonbuk Sunchang after buying. Allium hookeri cultivation methods put the 3∼4 one eye on the roots. Planting the root length was cut to leave a 3∼5㎝. The planting distance was 40×20㎝. The shielding 35, two months were 50 and 75% by July 1, August 31. The air temperature, soil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light in this experiment. And examined the withering rate, brightness, growth conditions, such as Yield. Conclusion :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Allium hookeri roots emerged on March 2 during planting 43-68 days. Allium hookeri after shading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35% shading and 50% shading was a tendency for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compared to the non-shading. As a result, flooding was 35% as compared to production per 10a 1,682 ㎏ no light shielding at 50%. Plant analysis leaf mineral contents tended increased nitrogen, phosphate, gallium compared to the non-light cultivation. Mineral contents of the root was nitrogen, potassium is higher in comparison with 75% shading no shading.
        146.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로그라이크 게임에서 파생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고찰하고 해당 매 커니즘이 가져오는 독특한 플레이 양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게임에서의 일반적인 죽음의 과정과 영속적 죽음의 과정을 비교 분석했으며 이후 영속적 죽음의 과정이 게임의 플레 이와 리플레이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다. 영속적 죽음은 캐릭터의 부활 가능성이 없다는 점 에서 극도의 긴장을 유발하는 플레이 사이클을 구축한다. 이러한 치명적 패널티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죽음을 유예하기 위한 선택적 플레이를 야기하지만 이후 플레이어의 숙련된 스킬을 바 탕으로 자신의 선택을 수정하고 대안적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리플레이로 이어진다. 신중한 선 택과 대안적 플레이를 요하는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통해 진지한 고민을 담을 수 있는 게 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4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vailable additional education cours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functional education, which is mainly for the enhancement of safety consciousness, along with a model for the way of manage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struction death accidents for the recent five years were analyzed about their patterns and the scales of the accident sites to infer the main subjects and the direction of hands-on education cours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combin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the construction safety hands-on education courses and the additionally required education courses were proposed.
        14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on of highly concentrated PM10 is in the spotlight as a social issue, and it increases the attack rate of Asthm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for PM10 from 2000 to 2011, and investigate its correlation with the death from Asthma. Furtherm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it by dividing into two cases like including Asian dust and excluding Asian dust because it presented the high concentration when Asian dust was occurred in the spring.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M10 in Seoul was higher in the central area than the peripheral area.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nd death from asthma displayed the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ll period was 0.92(p=0.000), and the correlation was 0.84(p=0.001) in case of remove Asian dust. The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has increased in the winter and decreased in the summer. The death from Asthm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all period was 0.588(p=0.044) and 0.640(p=0.025) in case of removing Asian dust. Although the causes of Asthma had a great diversity, the similar tendency by a factor of PM10 meant that the correlation was high.
        14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the rice blast fungus attacks rice, fungal proteins are secreted into the plant apoplast to facilitate infection. The rice plant recognizes such secreted proteins, which result in the induction of defense response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how rice plant recognizes secreted proteins remain elusive. Here, we report that a small, secreted protein, Magnaporthe oryzae snodprot1 homolog (MSP1), is recognized by rice plants and triggers host cell death and defense responses. Furthermore, pre-treatment of rice with Domain II, elicitor-active epitope of MSP1, induces resistance to the pathogen KJ301. We demonstrated that secretion of MSP1 into the apoplast is prerequisite for triggering cell death and activating defense-related gene expression, suggesting that it is recognized by a receptor in the host plasma membrane. Through comprehensively analysis of transcriptional profile in rice leaves and suspension cultured cells (SCCs) in response to exogenous MSP1 and Domain II treatment using 60K Agilent microarray chip, we found that 27 signaling genes, such as F-box(6), MAPK(4), protein kinase(11), transcription factor(6), were up-regulated in leaves and SCCs and six protein kinases were targeted into plasma membrane. Thus, we suggest that some of these genes may act as receptor of MSP1 in response to exogenous MSP1 treatment. Expression pattern of candidate genes was further checked in response to different environment cues using open rice dat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se genes may be also involved in the signaling in response to cold stress, root-JA treatment and brown plant hopper (BPH) attack.
        15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eel of Citrus sunki exhibits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obesity, but little is known about neurodegeneration-related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 from both immature and mature Citrus sunki peel on neuronal cell death. Treatment of the neuroblastoma cell line SH-SY5Y with MPP+, an inducer of Parkinson disease model, increased cell dea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creased levels of active caspase-3 and cleaved PARP were detected. Treatment with immature Citrus sunki peel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MPP+-induced neurotoxicity. Cytoprotection with immature Citrus sunki peel extract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caspase-3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In contrast, mature Citrus sunki peel extract had no significant effects. These data suggest that immature Citrus sunki peel extract may exert anti-apoptotic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caspase-3 signaling pathway on MPP+-induced neuronal cell death.
        15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은 피부 광노화의 주요 요인이며,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포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 산화적 스트레스,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발현에 미치는 죽여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HaCaT 인간 각질세포를 여러 농도의 죽여추출물 유무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세포의 생존율과 생화학적 과정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의 생존율을 증진시켰고, procaspase 3가 활성화 형태로 절단되고, Bax/Bcl-2 비율이 증가하는 세포 자살 과정을 완화시켰다.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에 노출된 세포에서 활성산소의 발생과 지질 과산화도 감소시켰다. 또한 죽여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자극된 matrix metalloproteinase 1의 발현과 c-Jun N-terminal kinase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죽여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세포 사멸,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 주었으며, 이 추출물이 피부 광노화의 일부 현상을 억제하는 화장품 원료로 유용함을 시사하였다.
        15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엘리엇의 「이스트 코우커」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다양한 죽음의 이미지들이 있다. 첫째, 물리적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는 죽음의 이미지들이 나온다. 이 죽음은 탄생, 성장, 쇠퇴, 죽음, 그리고 다시 탄생으로 이어지는 자연의 생명 순환의 일부로서 자연의 생명체계 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두 번째, 「이스트 코우커」의 죽음은 부 정적 이미지들로서 주로 자연의 섭리에서 벗어나 부조화를 이룰 때 나 타난다. 이 죽음은 도덕적, 영적 죽음이며 신과 단절된 현대의 도시문명 을 상징하고 있다. 세 번째 종류의 죽음은 여러 종교들과 연관된 죽음 의 이미지들이다. 이 다양한 죽음의 이미지들 이면에는 공통적으로 탄 생 또는 부활 속에서의 생명과 연결된다. 「이스트 코우커」에서 엘리엇 은 생과 사의 주제를 예술적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이미지와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15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니체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신의 죽음에 의해 만연된 허무주의라고 생각했다. 니체가 진단했던 이런 허무주의적 양상은 엘리엇의 초기 작품들 특히 「게론션」과 『황무지』에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니체가 기존의 교회가 예수의 가르침 중 죄와 심판을 강조하고 사랑을 강조하지 않은 것에서 신의 죽음을 야기시켰다고 주장한 반면에 엘리엇은 성육한 예수의 본질을 인간이 알아보지 못한 것에서 인간의 절망적 상황이 발생했다고 보았다. 니체는 허무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영원회귀 사유를 주장하였다. 니체의 영원회귀 사유에 따르면 생성은 변화이자 생명이며 곧 존재이고, 모든 순간은 의미가 있다. 영원회귀는 일종의 사유실험으로서 인간의 삶에 대한 태도를 시험하는 것이다. 한편 엘리엇의 후기 시 『네 사중주』에서 세상만물은 유전의 법칙에 따라서 변화하는데, 이것은 니체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생성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니체의 생성은 곧 존재로서 가치우위에 있는 반면에 엘리엇의 세계는 유전의 법칙에 지배를 받지만 영원과 시간이 교차하는 순간이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의미와 가치를 준다.
        15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이 병원체의 침입을 받으면 식물체내로 단백질을 전달한다. 병원체가 식물체내로 분비하는 단백질 중에서 cell death를 일으키는 단백질들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먼저 Pseudoperonospora cubensis 에 감염된 오이 잎에서 발 현되어 병원체 유래의 단백질들을 기존에 알려진 RLXR 도메인을 가진 염기서열에서 프라이머를 디자인 하여 PCR 반응을 통해 cloning 하였다. 이중에서 P. cubensis 접종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들을 중심으로 Nicotiana benthamiana에 Infection 시켰다 그 결과 Infection된 Effector 들 중에서 2개의 Effctor에서 visible한 cell death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사세한 결과가 포스트를 통해서 발표될 것이다.
        155.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엘리엇의 『황무지』에 나타난 죽음을 주로 전기적 접근과 부도덕한 성애가 죽음이라는 테이레시아스의 실체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히아신스 정원, 마게이트 백사장, 선술집에서 릴의 대화, 위험 성당, 밀레 해전 등의 장면과, 바다, 템즈강, 런던교, 시티와 런던, 예루살렘, 아테네, 알렉산드리아, 비엔나 등에서 성폭행, 죽음 또는 멸망이 병치‧직조되어 죽음의 함의와 상징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요컨대, 엘리엇은 황무지에서 제 1차 세계대전 중 에게 해에 익사한 친구들인 루퍼트 브루크와 다다넬즈 해협에서 익사한 장 베르드날 뿐만 아니라 죽음의 기원을 하는 꾸마에의 무녀, 슈타른베르크 호수에 미쳐서 익사한 루트비히 2세, 익사한 페니키아 선원의 타로 카드, 즉 플레바스, 밀레 해전에서 익사한 스텟슨, 미쳐서 연못에 빠져 죽은 오필리아, 궁전이 파괴되어 흙속에 파묻힌 첨탑에 유폐되어 몰락한 아뀌뗀느 왕자, 다시 미치고 자살하는 이에로니모 등과 같이 미쳐서 물에 빠져 죽고 싶은 죽음에의 염원을 암시적‧상징적으로 표백함으로써 죽지 않고 재생의 방법을 찾게 된 것이다
        15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ural stem cells are found in adult mammalian brain regions including the subgranular zone (SGZ) of the dentate gyrus (DG) and the subventricular zone (SVZ). In addition to these two regions, other neurogenic regions are often reported in many species. Recently, the subcallosal zone (SCZ) has been identified as a novel neurogenic region where new neuroblasts are spontaneously generated and then, by Bax-dependent apoptosis, eliminat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Z in the postnatal brain is not yet fully explor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cise location and amount of neuroblasts in the developing brain. To estimate the importance of programmed cell death (PCD) for SCZ histogenesis, SCZ development in the Bax-knockout (KO) mouse was examined. Interestingly, an accumulation of extra neurons with synaptic fibers in the SCZ of Bax-KO mice was observed. Indeed, Bax-KO mice exhibited enhanced startle response to loud acoustic stimuli and reduced anxiety level. Considering the prevention of PCD in the SCZ leads to sensory-motor gating dysfunction in the Bax-KO mice, active elimination of SCZ neuroblasts may promote optimal brain function.
        15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ophoblasts, in the placenta, play a role for placental development as well as implantation in the early pregnancy.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rophoblast are identified by their localization and potency for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invasion. Thus, inadequate trophoblast cell death induces trophoblast dysfunction resulting in abnormal placental development and several gynecological disease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increased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2 (IMUP-2) by hypoxia influences trophoblast apoptosis. However, IMUP-2 function on autophagy, which is type II programmed cell death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analyzed IMUP-2 expression in trophoblast cells (HTR8-SVneo) and compared IMUP-2 effects on cell death including apoptosis and autophagy in trophoblast regardless of IMUP-2 expression. Increased IMUP-2 in trophoblast by IMUP-2 gene transfection induces cell death, especially, apoptosis increases more than autophagy (p<0.05). However, the decreased IMUP-2 in trophoblasts after siRNA treatment decreased apoptosis with the decreased activities of caspase 3 and 7. The expressions of LC3 and MDC as an autophagosome makers and phosphorylated mTOR, which is a negative regulator for autophagy, increased. In addition, the S phase of cell cycle increased in trophoblasts when IMUP-2 expression decreased. Taken together, the alteration of IMUP-2 can control the balance between apoptosis and autophagy of trophoblasts resulting in functional involvement in placental development and in gynecological diseases by regulating the function of trophoblasts.
        16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obacterium vector를 이용한 세포사멸 억제유전자인 AtBI-1(Arabidopsis thaliana Bax Inhibitor-1)을 벼에 도입하기 위하여, 벼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과 AtBI-1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자포니카형 벼가 인디카형 및 통일형 벼에 비해 식물체 재분화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에서 일품벼의 식물체 재분화율(7%)이 가장 높았다. 배양용기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petri-dish에서 보다 시험관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다. 4주동안 자란 ‘일품’ 유래의 callus를 Agrobacterium과 co-cultivation한 후 kanamycin과 carbenicillin이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12.0%의 가장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genomic DNA를 이용한 PCR 결과는 Bin-AtBI-1-GFP 유전자는 1 kb 부근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Southern blot 분석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형질전환체의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에서 잎, 줄기, 뿌리에서 GFP가 발현되어 형광색을 띄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