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그러한 장애 요인을 해소 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 하고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수업을 계획하였다. 이 수업은 개별 한자의 모양·음· 뜻과 필순에 대한 지식 암기가 아니라, 한자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겪은 학습 장애 요인을 조사하였다. 응답 내용은 ‘집중’, ‘기술’, ‘학습’, ‘소통’, ‘피로’, ‘흥미’, ‘기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장애 요인에 대한 개선 방안은 수업의 내적 요인과 수업의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수업의 내적 요인으로는 ‘학습, 흥미’의 문제, 수업의 외적 요인은 ‘집중, 기술, 소통, 피로’의 문제이다. 학습 부담이나 학습 부진에 관한 문제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실시, 학습량 적정화 등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흥미는 대면 수업에서 친구들 과 함께 수업 듣는 분위기 조성 등으로 개선 방안을 찾는다. 집중은 활동 중심의 실시간 원격수업, 기술은 학습 플랫폼 오류에 대비한 대체 수단 마련, 소통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피드백 강화, 피로는 일과 시간의 변경 등을 통해 개선 방안을 찾는다. 이러한 응답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활동 중심 한문 수업, 수업 시간 동안 해결 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량의 과제 제시를 통해 학습 부담 감소, 교사와 소통할 수 있는 채널 확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요소를 가미한 수업 방안을 강구하였다. 기술적인 문제나 피로는 개별 교과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수업 구성의 고려 사항에서 제외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학년 초에 실시한 수업이기 때문에 한자 영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은 ‘학습지 제공 → 신습 한자 선택 → 인터넷 사전 검색 → 필순에 따라 한자 쓰기 → 한자를 선택한 이유 쓰기’ 순서로 진행하였다. 처음 한자를 써보는 학생들이 다수였지만, 대부분 정해진 시간 안에 한자의 모양을 정확하게 작성하 였다. 일부 학생은 정해진 수업 시간 동안 학습지를 완성하지 못하였다. 원격수업에서 수업 환경은 교실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학교 수업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수업 방법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6,700원
        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행한 2020년 1학기 한시 전공 온라인 수업 방식을 되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생들의 반응을 현장감 있게 확인할 수 없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온라인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중요함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주의력과 흥미를 높이는 학습 콘텐츠 활용 등이 학습능률을 높이는 수업의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시는 음악적 요소(운율)와 회화적 요소(심상)가 돋보이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다양한 디지털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업 방법은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한시 를 흥미롭게 느끼고 그 정서적 요소(분위기)까지 공감하게 되면, 의미적 요소(주제, 생각, 사상 등)에 대해서도 이해력이 깊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작품을 직접 번역해 보고, 적극적으로 느낌과 감상을 얘기해 보고, 그것이 나의 삶과 오늘날 세상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러한 학습활동을 학생 간에 나눌 수 있도록 교수자가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온라인 원격수업을 한시 교육 방법의 창의적인 전환의 계기로 삼는다면, 한시의 풍부한 예술성과 다양한 문학 콘텐츠들이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5,800원
        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을 통하여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창의력과 자 기관리 능력의 기본인 자아존중감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1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주 5시간 국어 시간을 4시간은 국어수업, 1시간은 독서시간으로 운영하였다. 국어시간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바탕으로 한‘생각키움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창의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였고, 독서시간은 ‘키움 4단계 독서 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하였다.연구 결과 ‘생각키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논리적 표현력 등을 포함한 창의력이 향상되었다. ‘키움 4단계 독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자신을 삶을 생산적으로 가꾸어갈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0원
        9.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six month intensive English teachers’ training 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subject includes twenty teachers who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the pre and post comparison of their English teaching demos out of 37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ttended in the training. The in-house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used to select twenty teachers who enhanced their teaching skills greater than others‘ To look into details of the teaching enhancement, Foreign Language lnteraction (FLint),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 (COL T) and Target Language Observation Scheme (T ALO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changes of interaction, teacher language, activities and methods. The findings ofthis paper include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six month teachers’ training show pal1icularly in the area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ctivities. Teacher's c1assroom languages have changed into more non-directive and affective after the training. Teachers allow more rooms of students' engagement by using more question, confirmation and feedback discourse routÎne after the training.
        6,000원
        10.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4,500원
        11.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질적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 교사 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로 선정된 10명의 과학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진단하는 교사양성 교육과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의 과학교사들은 (1) 사범대학이 교사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2) 이론과 실제가 조화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현장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사양성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이를 위하여 (3) 사범대학 교수진에 교과교육 전공자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현직 교사 연수와 관련하여 (1) 현직 교사들 스스로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하며, (2)교사 연수 내용과 방법의 현장성을 높여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사연수로 바뀌어야 하며, (3)교직 사회에 진정한 의미의 수업장학 풍토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성공적인 교실개혁을 위한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4,200원
        12.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주권자나 귀화자는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중한 사람들이므로 이들을 양성하는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한국사회 이해> 수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사회 이해> 수업이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어떤 특징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 이해> 수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사회 이해>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강사 및 수강생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와 수강생들은 <한국사회 이해> 과정 수업이 한국사회에 대한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종합평가 시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제한된 시간과 시험 준비 등으로 인해 주로 설명식 수업과 문제풀이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매주 일요일 하루 종일 긴 시간 수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서도 강사와 수강생 간의 애착과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사회 이해> 수업이 기본 소양 함양과 시험 합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절충적으로 지향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회 이해> 강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편, 강사 지원 등 강좌와 강사의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사회 이해>를 비롯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이 단지 이민자 적응 교육 차원을 넘어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도 정비 및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13.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 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 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 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 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 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 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 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 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 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 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1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어느 교사의 학교 차원의 수업개선 경험을 통해 교육개혁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수업개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개인적 배경을 살펴본 다. 다음으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해 온 과정을 살펴본다. 그런 다 음 학교 차원의 수업개선을 해오는 과정에서 경험한 답답함과 딜레마, 그리고 자신에 대 한 반성과 변화된 점을 나눈다. 나아가 이 연구는 교사들의 참여와 협력을 교육개혁 성 공의 전제조건으로 본다. 이를 위해 교사들에게 ‘가르치는 자의 마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고 학교를 수업중심으로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1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먼저 전국의 주요 거점 다문화지원센터 14개에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학습과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다문화가족은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및 한국어 강사의 다문화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과 이해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은 강의교재보다 한국의 강의자의 능력과 강의자의 열성과 자질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 교재 가운데 어휘 혹은 관용어 교재, 읽기, 쓰기, 문법교재 등의 순으로 좀 더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말하기 수업과 한국사회와 한국문화 이해 관련 수업을 좀 더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은 한국사회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있으나, 다문화가족이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 이해를 지향해야 된다고 생각할수록 한국어 교재 개선, 한국어수업시간 증가, 문화와 역사 이해 등의 수업시간에 대한 증가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수업교재와 교재언어가 좀 더 부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1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수에 참여하였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 개선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였다.개선 요구 분석 결과,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관련해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첫째, 다양한 수업 사례 제시와 둘째, 수업비평의 방법과 절차에 대한 단계적인 안내이다. 또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방식과 관련해서는 첫째, 수업비평에 대한 이론과 실제가 경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수 참여자들 사이의 원활한 대화와 토론을 위해 유연한 자리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연수 관련 자료 제시 순서에 고려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앞으로 진행될 연수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방향을 마련하였다.
        17.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본인들의 실제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양상과 이에 대한 교사 자신의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들과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크게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며 실행 후 평가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준비과정에서 연간 및 월간, 주간 교육계획 준수와 수업자료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준비하고 수업자료와 수업준비 시간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며, 동료교사와 장학자료 등을 수업에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실행과정에서는 유아 통제와 불예측적인 업무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수업평가과정에서 수업개선을 위하여 동료교사의 만남, 보조 인력 확보 그리고 교사 자신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1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체육수업의 개선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의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육과학기술부 제정 고시 기준량 보유율에 비해 체육시설 6개영역과 교구 7개 영역에서 시군지역 각각 67.86%, 77.38%로 모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 스포츠 종목인 축구, 농구, 배구의 야외시설은 대부분 완비된 반면, 보유량이 늘어가는 추세의 실내 다목적 체육관을 비롯한 샤워장, 탈의실, 수영장의 시설은 매우 부족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설보다는 교구의 보유율이 낮았으며, 시도의 지정 종목의 교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학교에 배정된 체육예산의 경우 전체 예산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체육예산 중에서도 시도의 지정 종목 외에 다수의 일반 학생들의 정상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체육시설 및 교구의 확충에 배정된 예산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확보의 경우 일본과 같이 공채발행이나 스포츠복권법을 통한 재원 충당 등의 공적재원 확보를 위한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체육관과 수영장 같은 고 비용의 투입이 요구되는 시설의 확충은 학교 부지 내에 일반 영리 사업체나 기업의 자본과 같은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학교 관리자에게 기부채납토록 한 후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허가를 통하여 기부 체납자가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국가의 국민 체육진흥공단이나 시군의 지방자치단체가 체육재정의 일부를 지원하여 건립 후 공유․운영하는 방안, 확충이 아닌 활용의 측면에서 인근 지역의 공공 및 민간시설의 이용 방안, 시설복합화 사업을 통해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체육장의 지하층 개발이 대안으로 모색될 수 있다.
        1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장학의 본질적 기능을 수업개선지원이라 전제하고, 수업개선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무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장학사의 직무내용은 장학영역, 인사영역, 담당학교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장학사의 직무 내용이 이처럼 수업개선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고 학교의 전반적 교육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교사의 수업을 적극적으로 조력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은 수업참관과 협의 방식, 수업자문과 정보제공 방식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와 장학사 간에 수업에 대한 사전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수업 내용에 대한 자문과 정보제공 활동 등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이 교사의 수업을 전문적으로 조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항만 해운 시장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9,000TEU 급 선박이 취항하여 정기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속에 세계항만들은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하여 엄청난 자금을 투입하고, 법 제도 등의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이러한 큰 물결속에 항만물류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항만선택 시 고려되는 서비스질의 향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항만물류산업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는 검수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이나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직 검수에 대한 논문이나 보고서 등을 찾아볼 수 없는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은 현재 국내 검수업에 대한 현황조사 및 설문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고 향후 국내 검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