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 설립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문화재단 설립의 법적 근거를 파악하고, 지역문화재단 운영 시 예상되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타 지역문화재단의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재단 설립의 필요성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을 검토하고 고민하는 관계자들과 연구자들에게 문화정책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지역문화재단의 설립 필요성은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문화재단은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업무를 수행을 통해 공공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지역문화 예술진흥을 위해 민간영역의 참여는 매우 중요하며, 민간영역의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지역문화재단은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역문화재단 설립은 공공재인 지역문화 예술을 활성화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돌려줌으로써 공공복리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과제로는 지역문화재단의 구조적 문제인 운영의 자율성과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해 인사권의 독립, 안정적 재원확보, 감사권의 독립, 재단 설립의 폭넓은 공감대 형성, 사업 방향의 정립으로 도출되었다.
        5,700원
        2.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장애인직업재활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구현하기 위해 우리나라 장애 인직업재활의 운영현황 분석 물론 에덴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발전과정 상에서 드러난 역할이 우 리나라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발전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그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노정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직업재활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우리나라 장애인직업재활에 관한 국내외 통계관련 문헌과 사업실적과 현황의 평가결 과를 알아보기 위해 에덴복지재단의 전문 인력, 사무국장, 기관장 등을 대상으로 전문 인력의 의견수렴을 직접 개별 면접조사와 물론 전문가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장애인직업재활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이 되는 에덴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현황의 분석한 결과, 판로확보의 문제, 역할의 단순화, 작업직종 선택의 문제, 전문종사인력 부족, 시설 및 설비 부족, 근로장애인 선정의 문제, 재정적 지원 부족, 최저임금 문제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건전한 복지경영에 따른 판로확보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관수품의 우선발주제도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 확대 로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임금보전에 도움이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직업 재활시설과의 연계역할을 의무화해야 할 필요한 시점이다.
        5,700원
        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stone cutter design that can rotate and change the cutting side of the stone automatically by the combination structures of the rotatable and foldable plates. Foldable plates are consisted with the iron plate and the hydraulic cylinders system(1500W pump power) which can generate high pressure to raise the plates and the stone. Additionally, rotatable plates are designed by gear system which has high gear ratio(1:8) for rotating heavy stone(5ton) easily. We analyzed the movement of the stone and investigated the total system of the stone cutter including a rotator and a tilter. Moreover, we constructed a control board to control the system accurately. This system can induce high quality cutting process controlled within errors of 5% and also reduce the process time from about 20 min to 90 sec by the automatic system.
        4,000원
        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tress and strain characteristics for the rail device in stone board cutting system.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nd strain from the vertical load acting on the device decrease as the load moves forward. Also,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ppears near the end of left, and the equivalent force of right rail device was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left rail device. The variation of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s was remarkable at the edge of the device,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bottom and column. These results can be applicable to optimal design of the stone board cutting device for the system safety.
        4,000원
        7.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emperature vari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tone board cutting device with sheath heater were analyzed through numerical investigation. Four 2kW sheath heaters whose length and diameter are 1800mm, 11mm are installed, and the initial temperature is -5℃. Also Transient condition is used for temperature variations with the operating time of sheath heater. From the analysis, transient temperature variations of cutting device after operating the sheath heater were predicted. Temperature variations were predicted that mainly appears in part contacted with the sheath heater. The result will be helpful in optimal design for various system equipped with sheath heater.
        3,000원
        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막 구조물은 일반적인 설계와는 달리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및 재단도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설계가 가능하다. 처음 두 과정과는 달리 재단은 3차원 곡면을 최소 오차를 가진 평면 스트립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재단 선은 주로 측지선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측지선은 초기 형상탐색에서 구성된 삼각형 요소의 정보에서 추출됨으로 부드러운 곡선이 아니며, 불규칙한 직선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불규칙한 직선을 곡선으로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플라인 함수를 이용한 보간 방법을 재단도 생성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삼차 스플라인 함수, B-스플라인 함수 및 최소자승 스플라인 함수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해서 고찰하고, 단순 모델 및 카테나리 모델을 대상으로 재단도 작성 결과를 검토하였다. 단순모델의 해석요소수와 추출된 불연속 절점 수에 따른 보간 곡선 비교결과는 요소수가 큰 경우 추출된 절점의 수가 적은 것이 효과적이며, 최소자승 보간이 다른 방법보다 더 부드러운 재단 경계선을 제공한다.
        4,200원
        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rso pattern made by draping and flat pattern method in terms of the size of breast. The size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as 75A and 75D according to the size of breast. Each torso pattern by the combination of the size and pattern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test the fit of the draping and flat pattern tha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ze of breast, the outer appearance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triking size difference was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n bust line level, which decides on position of the side seam in comparison of size between draping and flat pattern of 75A and 75D. In the flat patter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in the size of breast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size of breast. However, in the draping, the bigger breast led to the bigger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the back on bustline level. Second, the flat pattern in 75D was evaluated to be the worst in 27 items among total 46 items for the evaluation of outer appearance in the draping and flat pattern of 75A and 75D. Third, regardless of size, the draping was evaluated to be more suitable in the areas related to neck, arm hole, and waist dart than the flat pattern. These results are suggesting that the draping is a method of reflecting characteristic of the body type more accurately than the flat pattern, and that the draping is a more suitable method than the flat pattern for the design of clothing pattern of the body type with big breast like 75D.
        4,900원
        1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을 마는 바구미(leaf-rolling weevils)’로 알려져 있는 거위벌레류(Rhynchitidae, Attelabidae)는 식식성 곤충(obligatory phytophagous)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둥이거위벌레과(Rhynchitidae) 1,110종과 거위벌레과(Attelabidae) 1,000종이 보고되어 있다(Legalov, 2003). 거위벌레류는 뉴질랜드와 하와이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종은 아열대지역과 열대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가장 많은 종수는 동양구 (Oriental), 열대아프리카(Afrotropical), 신열대구(Neotropical)에서 관찰된다. 거위벌레류 의 특징은 󰡐자손을 위한 특별한 보살핌󰡑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거위벌레류는 유충의 성장과 먹이를 위해 독특한 재단법을 이용하여 잎덩이(요람, leaf rolls, cradle)를 만들기도 하고, 다른 종들은 식물의 과실이나 꽃, 줄기 등을 유충의 성장을 위해 이용한다. 특히 목거위벌레아과(Apoderinae)는 신열대구, 신북구에서는 전혀 분포하지 않고, 오스트리아구에서는 소수의 종을 제외하고는 역시 분포하지 않으며, 거위벌레과에서 가장 나중에 분화된 분류군(Legalov, 2005)으로 요람을 다른 종에 비해 섬세하게 대부분 짧은 원통형 요람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거위벌레아과 10종의 요람형을 기재하는 동시에 요람의 형태와 잎의 재단선에 따라 요람형 분류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요람형의 용어는 Suzuki and Uehara(1996a)에 따랐다.
        1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성 구조물은 축강성은 강하고 휨 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를 주 구조재로 사용하므로 초기강성에 매우 민감한 구조체이다. 막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기장력 도입으로 인한 구조물의 형상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형을 통한 모델링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형상해석이 요구되며, 초기장력의 도입으로 형성되는 막 구조물의 곡면은 일반적으로 등장력 곡면이다. 따라서 연성 구조물의 해석과 설계는 기존의 강성구조물과는 다른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재단도 작성 및 시공해석의 3단계 해석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재단도 작성 프로그램 NASScut를 이용하여 경계면 곡률의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삼각형 Re-mesh 패턴을 제안하고, 재단도를 작성한다.
        4,500원
        14.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량 연성구조시스템 중 하나인 막 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어진다. 막 구조물은 축강성이 강하고 휨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를 주 구조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구조물과 달리 구조설계에서는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그리고 재단도 등의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재단도의 작성에는 구조물의 크기나 곡률 그리고 재료적 강성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작용하며 다른 설계과정과는 매우 다르다. 따라서 일반 구조설계용 프로그램은 막 구조물의 구조설계에 부적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막 구조물의 측지선을 이용한 재단도 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제를 통해 재단도 작성결과를 비교 고찰하도록 한다.
        4,200원
        15.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학재단 연구 인력 DB를 활용하여 지구과학을 포함한 국내 이공계 연구자의 연구 실적을 분석하였다. DB에 수록된 지질과학분야 연구자수는 312명(점유율 1.5%)이고, 최근 5년간(1999년부터 2003년까지) 게재실적은 SCI 학술지가 1,026편(점유율 0.2%)이었고, 일반학술지가 3,265편(점유율 0.5%)이었다. 최근 5년간 1인당 SCI 학술지 게재실적은 지질과학 분야가 3.3편, 수학은 4.0편, 물리학은 57.6편, 화학은 60.4편, 생물학은 33.4편으로 조사되었다. 지질과학분야 중 세부 분야별 연구자의 1인당 SCI 논문 게재실적은 환경지질학 9.6편, 층서퇴적학 4.6편, 지구화학 4.2편, 지하 수학 3.6편, 지질해양 3.5편, 자원공학 3.2편 순이었다. 본 조사분석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과 타 이공계 분야간의 연구실적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의 상대 비교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9.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0.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로 2018년 05월 ~ 2018년 09월까지 진행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브랜드란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나 개인이 소비자에게 특정 이미지를 주고, 경쟁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재화와 차별화하기 위해 만든 심벌, 이름, 디자인 등의 항목이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말한다. 오늘날 소비자 인식을 방해할 정도의 많은 브랜드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상징적인 의미로 기억에 남기 위해서는 경쟁사와 구별되는 브랜드 이미지가 요구된다. 이렇듯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를 떠올릴 때 가장 먼저 그릴 수 있는 시각적인 이미지가 브랜드 디자인이며, 기업은 타경쟁사와 차별적이면서도 기업의 철학을 담은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인 나눔복지재단의 특징과 유사사례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이 타 나눔복지재단과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을 상징하는 모티브를 가지고 디자인 이미지를 표현하고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제작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차별성이 선호도 등 긍정적인 결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시작으로 이러한 사회적 기업이 운영목표를 성취하고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