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milk, which is a representative western food, has a more than 100-year history in Korea, the preference is controversial. This study examined the milk history of Choseon in 1884~1938. This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regarding the westerner’s records and advertisements. Westerners who visited Choseon in 1884~1895 (1st period) recorded the eating habits of Choseon,i.e., no milk consumed, even in insufficient food situation. Among the westerners, medical missionaries began to show or/and recommend condensed milk for sick children. In 1896~1909 (2nd period) newspapers, general shops in Hanseong for westerners showed advertisements of dairy products. In the 1900s, condensed and raw milk were advertised through newspapers. Domestic ranching systems to produce raw milk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mainly by Japanese. In the 1910s (3rd period), raw milk and condensed milk were advertised in newspapers. Since the mid-1920s (4th period), dairy products were bisected into condensed and powdered (dried) milk. Moreover, many Japanese manufacturers appeared in the advertisement in the 1920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lk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 of an enlightenment food in Korea since the late 1900s, but the old negative wisdom, unfamiliar taste, and high price of milk at that time limited its appeal.
        4,200원
        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r introducing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empha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argeti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was s sophisticated image. Preference for a sophisticate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hasis of brand image when selecting fashion products. Emphasis of brand image has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s direct and in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When selecting a fashion product (clothing and cosmetics), brand image import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brand’s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herefore, fashio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brand logo.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lothing and product containers used in advertising to show the brand. In addition, every company should create an advertising image that represents their overall brand, by using a combination of detaile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4,300원
        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 (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 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4,900원
        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쇄광고물에 있어서 복수의 제품(고가제품과 저가제품)을 대상으로 하는 인쇄광고물에서 효과적인 레이아웃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두 유형 제품에 대해 4종류의 인쇄광고물(좌/우 제 시 2종류와 상/하 제시 2종류)을 디자인하여 고가제품과 저가제품의 배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디자 인A(고가제품-좌측, 저가제품-우측), 디자인B(저가제품-좌측, 고가제품-우측), 디자인C(고가제품-상단, 저가제품-하 단), 디자인D(저가제품-상단, 고가제품-하단). 분석결과에서는 고가제품의 경우는 대각선의 시작점에 제시되었을 때 소비자의 선택이 증가하고 저가제품의 경우에는 대각선의 끝점에 제시되었을 때 소비자의 선택이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가제품과 저가제품을 동시에 광고하는 경우 고가제품의 광고물은 좌측 또는 상측에 배치하고 저가제품의 광고물은 우측 또는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두 제품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인구 통계적 요 인들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 혀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인구통계적 요인은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3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 광고에 대한 태도의 경우에는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그리고 광고 회의주의와 성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 또한 상 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경우에는 동일하게 광고 회의주의와 제품 관여도 , 광 고 회의주위와 구매의도 그리고 제품 관여도와 성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밝혀졌 다. 광고에 대한 태도의 경우에만 제품 관여도와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광고회의주의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종속 변인모두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수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변인은 특정 변인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다양한 속성과 결합하여 커뮤니케이션 결과를 수용 하거나 거부로 유도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전략 수립 시에 고 려해야 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이다.
        7,700원
        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can have impression goals as well as defense goals. Those with impression goals could use social goals or opinions of others in a social context to determine their attitudes, and those with defense goals could maintain their existing attitudes and beliefs. Since people typically approach pleasure and avoid pain, there are two kinds of goal orientations depending on regulatory focus theory. Therefore, marketers could design advertisements for their products on the basis of two types of focus,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advertise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onsumers with different consumption goals evaluate an advertised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nsumers with impression goals felt much more "right" about the product in a promotion-focused, rather than prevention-focused, advertisement, and those with defense goals, felt much more "right" about the product in a prevention-focused advertisement. Consumers with impression goals evaluated the product in the promotion-focused advertisement more favorably than in the prevention-focused advertisement, and those with defense goals evaluated the product in the prevention-focused advertisement more favorably.
        4,600원
        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den, Steenkamp and Batra(1999)의 7개국에 걸친 연구에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이 광고의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실제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포지셔닝 전략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 전략이 제품평가(지각된 품질, 가격, 브랜드 명성)와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정(+)의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제품지식 그리고 제품특성(내구재 대 비내구재)이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효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민족 중심주의가 약한 소비자일수록, 제품 지식이 낮은 소비자일수록 그리고 비내구재보다 내구재에서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효과가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6,600원
        1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고표현의 ‘임팩트’는 지금까지 0.3초에 눈에 띄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눈에 띄는 것에 대한 광고표현의 임팩트는 광고디자인의 획일적이며 차별이 없는 미적가치의 준거기준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이로써 동종제품에서조차 다양하고 개성적인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경쟁적인 현실에서 광고표현 임팩트의 차별화를 위한 새로운 인식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광고표현의 임팩트는 단순한 ‘눈에 띔’의 시각표현영역이 아닌 소비자개성에 따른 ‘스며듦’의 ‘임팩트과정듬체계’를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스며듦’의 다양한 인식구조 가운데 대표적인 5가지 리듬체계를 추출하여 제품관여도에 따른 실험물에 피험자의 직접 체크리스트 방식을 채택하여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제품관여도에 따른 소비자의 ‘스며듦’ 과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광고표현의 ‘차이’를 위한 ‘스며듦’의 리듬체계를 정립하였으며, 이 ‘스며듦’의 리듬체계를 통해 획일적인 미적준거기준에서 벗어나 소비자개성에 따른 다양한 임팩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