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multiple language-identities embedded within the emerging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Situ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classrooms at an American university, this study draws data from two rounds of interviews with three instructors (one nonnative and two native Korean speakers).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their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revolves around multiple language identities grounded in their L1 cultural norms and perceived English language proficiencies. Their views and undertakings of local cultural norms indicate the varying ways in which these instructors projected their L1 and L2 identities onto their emergent teacher identity. Given the vexed relationship between notions of teacher authority in her L1 Japanese culture and the local norms of interaction, the nonnative teacher maintained authority by establishing a certain distance from her students. By contrast, the native teachers accommodated the local understandings of teacher authority and (re)shaped their view of a teacher to the locally-defined professionalism, a teacher like ‘a friend’. The negotiated identity of the KFL teachers improved classroom interaction and engendered positive view about teaching. The findings are discussed to highlight foreign language teacher identity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6,400원
        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qualitative study, grounded i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attempts to explore a Korean English teacher’s identity construction by employing a self-study, through narrative inquiry. As a self-study, the participant, Sofia, will also be the researcher. Data from her teacher life story narrative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to see how she reconstructs her identity through reflection of her own experiences. The study revealed four major themes showing the identity formation of the participant: (1) identity formation by resisting identity assumptions or stereotypes; (2) identity formation through influence of context; (3) identity formation through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4) identity formation through conceptualizing teacher as professiona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generat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8,6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explores the identity construction of non-regular English conversation teachers (non-RECTs) in an elementary and a middle school in Korea. Drawing on positioning theory and the no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study illustrates how non-RECTs resist, modify, and reconstruct their teacher identity through positioning themselves and others, and different modes of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ontexts. It is a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with two female non-RECTs. The primary data gathered through interviews and informal talks, documents, and e-mails were also included for triangulation purpo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on-RECTs self-positioned themselves as qualified teachers who can effectively implement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to the classroom, but their positioning was challenged and rejected by regular teachers. The participants resisted their marginalized positions as temporary instructors and claimed their legitimacy by establishing themselves as positive contributors to the communicative curriculum. The findings show the non-RECTs’ identity construction is a struggle between the different views on legitimacy and a negotiation among multiple and conflicting identities.
        6,700원
        4.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notion of ‘good language teacher’ (GLT) identity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While other studies have investigated parents’ and general public preferences for and associations of good language teacher identity with ‘native-speaking’ teachers of English,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views of young learners as to what constitutes a GLT. In this study, a survey tool was used to collect student images and descriptions of imagined, good English teachers. A total of 577 young Korean students (K-6th grade) provided their own images and descriptions of good English teachers, both in English and Korea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 perceptions of GLT identity strongly reflects their immediate learning experience.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showing preference for teachers according to ‘native speaker’ or other markers (e.g., race, gender), the study demonstrated no strong preference for native speaking teachers. Instead, factors such as personality were emphasiz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recruiting and hiring practices for English teachers.
        6,000원
        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sentation reports on a study of 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in Hong Kong under rapid education reforms and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The presentation draws on insights from recent work of discourse theory and also results of a larger longitudinal study on teacher identity of two teams of language teachers in a relatively new primary school. A case study of a young Chinese language teacher exemplifies how teacher uses narrative resources to construct and negotiate teacher identiti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Findings of the case study underscore the ‘authorial stance’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7.
        2010.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contributed to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t built a framework from the teacher identity perspective, aimed at deriving further insight into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t is a case study of a Korean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 who conducte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ing logs, written accou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n analysed.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 experienced growth in teacher identity based on his capacity building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eacher identity are positive attitudes to address vulnerability in teaching English,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continuous reflection and establishing ownership during the research. Theoretic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perspective and its application to design, execute and evalu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in-depth understanding. Practically,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6,700원
        8.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을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고,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을 독립변수로,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 민주시민자질, 다문화신념은 통일교육역량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일교육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대로 살펴본 결과, 민족 정체성의 ‘객관적 특성’, 민주시민자질의 ‘참여와 책임의식’, 다문화신념의 ‘다문화 연계의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민족정체성이 통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주시민자질과 다문화신념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유아통일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목적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불어 유아교사들의 통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 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9.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성역할검사, 교사효능감 검사도구,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양성성 유형의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유아교사가 남성성유형이나 미분화 유형에 속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도 마찬가지로 양성성 유형에 속하는 유아교사가 다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유아교사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그가 가진 교육과정 관점을 토대로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Pinar가 주장하는 자서전적 저널 쓰기와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밝혀진 교육과정 관점이 실제 수업 행위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대해 수업 실천을 녹화하고 분석하였다.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자서전적 저널과 인터뷰의 내용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는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과정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은 수업 행위 분석에서 보다 강화(명료화, 관련되는 새로운 관점의 발견) 되거나, 약화(관점과 일치하지 않은 행위의 발견)되기도 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상황을 자신을 이해하는 중요 성찰 자료로, 즉 자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전문가로서의 자기이해, 자기발견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자서전 적 방법과 연계된 수업 행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관점에 토대를 둔, 실천적 지식을 가진 전문가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11.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