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61.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회는 목회자, 회중, 목회사역의 삼대 요소로 이뤄진 삼각구도를 통해 수행된다. 목회에 있어서 이 세 가지는 어느 것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중요 한 것들이다. 그런데 그동안 목회론(혹은 목회신학)은 전반적으로 볼 때, 주로 목회자 혹은 목회사역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목회론에서 회중은 상 대적으로 관심을 제대로 받아오지 못했고, 따라서 목회자론과 목회사역론 에 비해서 회중을 논하는 ‘회중론’(필자의 조어)이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한편 오늘날 신학 특히 교회론과 선교론은 급변하고 있고, 이런 변화 가운 데 회중에 대한 강조를 빼놓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런 학문적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한편으로 교회사에서 회중론의 유산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다른 한 편으로 본 논문은 최근 신학 특히 교회론과 선교론에서 회중을 강조하는 담론들을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목회론 특히 회중론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간추려보고자 한다. 교회사 가운데 평신도의 중요성은 간헐적으로 강조되 어왔고 대표적인 것은 종교개혁이지만, 본격적으로 신학적 조명을 받게 된 것은 20세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신학은 평신도 신학, 하나님의 백성 신학, 회중 신학 등이다.
        62.
        202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메노나이트 지도자였던 더크 필립스의 사상을 밝히고 그의 중심 사상을 논의함으로 그의 기독론이 보이는 교회에 관한 관점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더크 필립스의 생애를 간략하게 다룰 것인데 이를 통해 그의 신학의 형성과정과 그의 사역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크는 동시대의 다른 종교개혁 지도자들과 달리 매우 독특한 기독론 (호프만의 ‘천상의 육체론’을 기본으로 한)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기독론은 그의 신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더크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도 그의 기독론을 그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핵심 신학으로 여겨져 왔으며 실제로 더크의 저작의 분량에서도 기독론의 비중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그의 기독론이 그의 보이는 교회의 관점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히며 이러한 관점에서 그의 기독론을 이해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더크의 기독론 안에 성육신의 논의가 신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그는 성육신의 교리는 신자들이 거룩한 삶을 살기 위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해하며 성육신은 인간의 그리스도 안에 거룩한 본성을 갖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63.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인명진 목사의 정치참여 활동을 11번으로 구분해서 분 석했고 끝으로 그 정치참여의 신학적 근거를 검토했다. 인명진은 1970년대 산업선교를 통해 노동자 인권과 권익을 대변했고 네차례 감옥 생활을 했 다. 1980년대 인명진은 강제 추방되고 외국에서 다양한 혁명 사례를 분석 했고, 정치 혁명이 아닌 신앙에 근거한 인간 변화의 공동체 운동을 대안으 로 생각하게 됐다. 1982~84년 한국사회의 노동운동과 학생운동은 극좌로 이념화되어 인명진의 사상은 개량주의로 비판받는다. 1986 그는 민주화운 동 국민운동 본부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정치지도자 김영삼과 가까운 관 계를 맺고 그를 대통령 후보로 지지했다. 이것이 훗날 보수 정당과 친분을 맺게 되는 계기가 됐다. 김영삼 정권하에서 그는 목사의 정체성을 지키면 서 행정개혁과 KBS 이사직에 참여했다. 2006년 보수 정당 한나라당이 부 정부패로 위기에 처했을 때 윤리위원장직을 맡아 부패한 정치인을 징계하 는 개혁에 참여했으나 정치구조를 바꿀 수 없는 한계를 경험했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 된 이후 새누리당에서 97일 동안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탄핵을 수용하고 대국민 사과를 했고, 헌정질서를 따라 당에서 대통 령 후보를 배출하고 그 직을 사임했다. 그는 진보와 보수 양쪽에서 큰 비 난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자기의 활동을 기독교 목회의 사회적 책임으로 여겼고, 죄인의 친구가 되어야 하며, 교회는 보수 진보를 떠나 소금 역할을 해야 한다는 신학적 주장을 했다. 한국교회사와 정치사에서 진보적 사회운 동을 했던 목사가 보수 정당을 대표해서 비상대책활동을 한 것은 아주 특 이한 정치참여 경험이다.
        64.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창세기 강해』에 초점을 맞춰 루터의 기도 개혁과 기도 신학을 살펴보았다. 개인적 및 대중적 경건 형성에서 기도가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한 루터는 자신이 배우고 경험한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도 신학과 관행을 비판했고, 대안적인 기도 신학과 관행을 제시하면서 기도 개혁을 주도 했다. 루터의 기도 신학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도에는 명령과 약속이 라는 하나님의 말씀이 주어져 있고, 이것이 기도의 출발점이요 근간이다. 둘째, 하나님의 약속은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하나님의 명령은 사랑으로 순종해야 한다. 셋째, 참된 기도에는 인간의 절박한 필요가 있어야 한다. 특히 가슴속에서 솟아 나오는 성령의 말할 수 없는 탄식과 울음은 하나님이 보시기에 우리의 부르짖음을 완벽한 기도로 만든다. 넷째, 진실한 기도의 중요한 요소인 절박한 필요성은 소명에 충실할 때 나온다. 다섯째, 기도와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를 강조한다. 『창세기 강해』에서 루터가 제시하는 기도 신학은 다른 글들에 나타나는 기도 신학과 맥을 같이 한다.
        65.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4-5세기 니케아적 영성신학의 은사론을 통해 나운몽의 용문 산 운동에 나타난 은사들을 평가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동안 나운 몽 연구는 한국교회사의 지평 안에서만 논의 되었는데, 필자의 새로운 방 법론을 통해 나운몽에 대한 이해를 보다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니케아적 영성신학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텍스트는 주로 아타나시오스, 바실리오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들이며 이 외에도 사막 영성을 증 언하는 작품들도 사용되었다. 나운몽의 용문산 운동에 대해서는 『아실 나 운몽목사전집』만을 사용하였다. 전반적으로 니케아적 영성신학의 은사론은 섬세하게 신학적 사유를 전개한 반면, 나운몽의 경우는 체계적인 은사론이 아니라 단편적인 사건 중심으로 나열하는 경우가 많다. 비교의 범주는 고린도전서 12장 8절 이하에 나오는 성령의 아홉 가지 은사 중에서 치유와 기적의 은사, 악령을 쫓아내는 은사, 예언의 은사 등 세 가지로만 한정했다. 이 세 가지 은사는 나운몽의 용문산 성령운동에서 두드러지는 요소였기 때문에 니케아적 은사론의 틀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했던 것이다. 아실의 은사론은 전체적으로 니케아적 영성신학 안에 머무르며, 특히 치유와 기적의 은사는 니케아적 은사론에 근접한다. 그런데, 축사(逐邪)의 경우 아실은 개인의 차원에만 머물지만 니케아적 영성신학은 사 회와 역사와 정치구조의 축귀 등 거대한 지평을 갖고 있다. 예언의 경우 니케아적 은사론은 신학적으로 정교하지만, 아실의 경우 사건만 설명할 뿐 신학적 차원의 관심은 결여되어 있다.
        66.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30년 이전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 복음주의의 특징을 세 가지로 핵심요소로 규정한다. 그것은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이다. 1930년 이전으로 시대를 한정한 이유는 1930년 이후 신학이 분화되기 때문이다. 장로교와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예배공동체, 성경번역, 순회전도를 함께 했는데, 이런 연합사역이 가능했던 것은 복음주의신학이라는 공유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1907년 대부흥운동은 성서를 통한 사경회를 기초로, 기도를 통한 체험, 말씀과 기도를 통해서 은혜 받은 자의 새로운 생활을 통한 도덕성이라는 복음주의신학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런 성서, 회심체험, 영적인 생활의 변화는 한국교회신학을 복음주의 전통으로 견고하게 뿌리 내리게 한다. 1907년 한국장로교회는 4개 선교부가 하나의 장로교 치리회인 독노회를 조직한다. 이때 채택한 대한장로교회신경은 장로교회와 감리교의 연합정신과 복음주의신학의 산물임을 통해서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이 개혁신학이 아니라 복음주의신학임을 다시 한 번 규명하게 된다. 한국장로교회 신학이 개혁신학이라면 신학교와 학계에서 칼뱅에 대한 교과과정이나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과정과 칼뱅연구를 보면 교과과정은 성경중심이며, 칼뱅연구사에서 1930년 이전까지는 이에 대한 깊은 연구는 없음을 알 수 있다. 한국장로교회의 복음주의 영성은 개인구원과 체험을 강조한다. 즉 부흥적 특성으로 인간의 감정을 강조한다. 그러나 개혁신학은 그렇지 않다. 복음주의는 개인구원, 개인윤리, 사회관심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되어간다.
        67.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20세기의 위대한 선교신학자 레슬리 뉴비긴(1909-1998)이 종 교개혁사상을 후기 계몽주의 다원주의 사회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를 살 펴보려는 것이다. 뉴비긴은 20세기 후반의 서구사회에서 과학적 세계관을 새로운 이교주의로 보고 기독교 신학에 인식론적 새 출발을 하려고 했다. 뉴비긴은 개혁신학의 토대위에 선교사의 경험과 에큐메칼 운동의 경험을 수렴하여 통전적이고 독창적인 신학을 제공하였다. 이 글은 첫째, 뉴비긴 의 생애와 그의 신학형성에 영향을 준 사건들을 검토했다. 둘째, 20세기의 세계기독교의 변화에 대한 뉴비긴의 이해를 검토했다. 셋째 뉴비긴의 신학 에서 종교개혁사상과 관계된 부분을 ⑴ 하나님 지식, ⑵ 오직 믿음, 오직 은혜, ⑶ 성경의 권위, ⑷ 교회: 하나님의 가족, ⑸ 선택의 교리, ⑹ 만인제 사장직과 직제, ⑺ 교회와 국가의 순서로 연구했다.
        6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웨슬리의 저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저널의 자료, 즉 일 기(Diary)의 특징과 그 연관성, 저널의 문학특징, 저널의 출판 시기와 주요 내용과 사건, 그리고 저널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는 웨슬리의 생각과 사상 더 나아가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에서 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 해, 단순히 신학적인 주제를 따라 추적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간 흐름과 경 과를 의식하는 역사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학적·사회적 정황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대중문화사의 시각에서 그의 저널을 읽을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제까지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저널의 출판 동기와 기록 방법에 대 한 질문이 없을 만큼 웨슬리 연구가 신학주제 중심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그 만큼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웨슬리 찾기에 기울어져 있었다. 이 글은 웨 슬리의 보다 인간적이고 자연적인 모습을 추적하여, 더 입체적인 웨슬리 복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글 결론적으로 웨슬리의 저널에서 다음의 사항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첫째, 그의 신학이 평생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완전,” 즉 성결을 목표로 하는 신학이었다. 둘째, 저널을 통 해 메소디스트 부흥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셋째, 웨슬리는 저널을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넷째, 웨슬리 저널을 통해 18 세기 영국의 대중사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널을 통하여 결국 웨슬리 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타락한 세상에 대한 대안공동체라는 것을 보이려 고 하였다.
        6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schatology of Hope presented in Pannenberg's theology has a special meaning in the Christian eschatology. His eschatology of hope emerged in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needed a theology of hope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t that time, the Christian theology came to a crisis with emerging the radical theologies, such as theology of the death of God, the secular theology, after the era of the Neo-orthodox theology(or the existential theology). Therefore the theology of hope was required. Advocates of the theology of hope hav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a hope in the kingdom of God which will be coming in the future. Pannenberg presented the kingdom of God 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geschichte. The universal geschichte means history as a whole, that is a history connected the past and the present from the future. In this viewpoint of the universal geschichte, history becomes to be a revelation of God, that is “revelation as history.” There is a great hope in our history, because human history is open to the future. According to Pannenberg, the kingdom of God as a ultimate hope of human history is in the future. However the hope has already been expected in the event of Christ's resurrection. The universal geschichte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make Pannenberg's theology into the eschatology of hope. Through the theology, he emphasized that the Christian eschatology should be a theology of hope. The eschatology of Pannenberg as a theology of hope has led the Christian eschatology of 20th century to the hope for the future. The theology has overcome the theology of crisis and has solved the challenge of the radical theology. But it has failed to make Christianity as a movement of hope substantially. His eschatology of hope has been criticized as a historical optimism, because the universal geschichte presented by his revelation as history seemed to be the metaphysics of history. Furthermore, his theology of hope couldn't fulfill historic meaning of the Christian eschatology since the eschatology failed to embody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ssion to realize it. In spite of the limitation, his theoretic insight of the eschatology of hope has become an element of the Christian theological hope.
        70.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is a hermeneutical evaluation of the life, the ministry and the theology of Rev. Sang-Bok Kim, for the purpose of inspiring and teaching the next generation. First and foremost, prior to evaluating his ministry and his theology one must first observe his life to understand the depth of his spirituality and the formation of his values and beliefs. We will look at his life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First, his life in Korea (1939.1.11∼1965.8): north (Pyongyang) and south (Pusan and Seoul); second, his life in America (1965.8∼1990.5): studying abroad, teaching and ministry; and lastly, his life again in Korea (1990.6∼2011.1): his life based on his ministry at Hallelujah Church. Understanding his life through these three different stages will provide us insight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his ministry and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his ministry can be divided into teaching ministry and pastoral ministry. Within his pastoral ministry we will be able to see him as a ‘pastor-teacher’ (Eph. 4:11) through the vision, the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ministry. Lastly, his theology is understood as well as criticized generally on his view of Bible (‘plenary verbal inspiration’) and in particular his view of pneumatology and eschatology and ecclesiology and woman ordination, and WCC.
        7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begins with an introduction of women in Calvin’s time in order to explain his context and his attitude about women and women’s issues. Calvin’s Christian thoughts are of great importance both to the church and the society at large.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women around Calvin: more particularly, Calvin’s marriage with Idelette de Bure, his concept of marriage and Marie Dentière as pioneer of women’s theology in his historical context. The author focused on illustrations of influential women in Calvin’s time and their limitations full emancipation. Calvin challenged the medieval ethic of marriage issues while retaining some conservative attitudes. However, he shouldn’t be criticized to feminist measur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obvious that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f his ideas in his era, but at the same time provides an important theological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within the Swiss reformed tradition. Particularly in the churches, one must learn to avoid discrimination gender, race, or social class, and instead place as much value as possible on each individual.
        7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renaeus was educated by one of the apostolic fathers, Polycarp who was a sincere disciple of Apostle John according to Christian tradition. His name is remembered in our history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modern era foreign missionary as his journey to spread Christianity reached to the western area, Lyon, from the Eastern Orthodox Church. He criticized Gnosticism, which proclaimed the most important theme in Christianity is just spiritual elements and that it does not give any value to our daily struggles such as our bodily life and materialistic world. Gnosticism fiercely challenged the Christian leaders of the day with their own special school of thought. The followers of Gnosticism, however, failed to simplify their complex system of thoughts and further declined to synthesize the scattering religious thoughts. And they took the separation of real world and spiritual world to the extreme. Some point out that the followers of Gnosticism lived near brim of the river, Euphrates, where Judaism and Christianity were both taught, and this could have led them to have a skewed understanding of the Bible. In that point, Gnosticism came short on comprehending the Word completely and chose the parts that complied with its intentions. As a result, it never had the true understanding of the Bible. Irenaeus, on the other hand, observed that the history of Salvation of God is going to be coherently continued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to the ending time as Old and New Testament write in the complete Bible. He also believed that the fulfillment of the prophesy about the Messiah and Jesus Christ will play a part in continuing the history of God. He was able to come to theses conclusions because he saw the Bible as a whole. “Whole Bible is going to be unified as one wholly, Holy Spirit is being grasped and binded one as if it is a kind of chain. One by one united and somebody lift up one verse of Bible also simultaneously the other verse is following after it”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Irenaeus, if somebody accepts and believes in the perfection of God, he has to acknowledge that it is illogical to have an insufficient view of the Bible. He admits that the Bible is the gift of God for humanity. His position on this matter justifies him to speak for the authority of the Bible. Upon understanding the place of the Bible in the real world, Irenaeus claimed that salvation of the material world is as important as salvation of the humanity. Before discussing the doctrine of Christ, it is important to clarify why the Gnostics’ view was dangerous. Originally, they believed that life in flesh was meaningless, therefore, it was inevitable for them to reject the idea of incarnation of the Christ. Furthermore, they could not agree that a divine being could face death on the cross. In fact, they endeavored to introduce the two sons theory which states that the divine Christ left His flesh on the cross, therefore only the flesh faced death. Irenaeus, however, never spoke lowly of Christianity which obviously did not believe in the two sons theory, and believed that Creator in Old Testament is the same God who is revealed as Father in New Testament. This, once again, conflicted against the Gnostics’ belief that Creator in Old Testament is different from God in New Testament. Irenaeus later pointed out that God and Son of God consist of same essence that is Homoousios. When Markus Aurelius was the emperor of Rome for 19 years(161~180 ca.), Bishop Irenaeus of Lyon had protected the Church with the spirituality of martyrdom. Also he had strengthened the theological system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Gnosticism. Traveling throughout and outside the empire, Irenaeus truly lived the life of the brilliant leader, serving for the Church of God successfull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