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리스트의《발라드 2번》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전통적인 분석방법으로는 해결 되지 않는 조성구조의 모호함이 나타난다. 필자는 리스트의 증3화음에 대한 관심과 바이쯔 만(Carl Freidrich Weitzmann, 1808-80)의 이론을 토대로 성부진행의 측면에서 이 작품의 새 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리스트와 동시대를 살았던 바이쯔만은 1853년에 발표된 논문인 “Der übermässige Dreiklang”에서 증3화음이 다양한 조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논 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리스트의 초기 작품에서 한 패시지의 장식적 역할로 사용되었던 증3화음은 바이쯔만의 논문이 발표된 이후 증3화음의 영역이 확대되거나 작품의 동기와 결합하여 작품전체의 구조 로 사용되는 등 그 이전에 사용했던 방식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발라드 2번》은 1853년에 작곡되어 1854년에 출판된 작품으로, 이후 증3화음이 조성구조로 확장된 리스트의 작곡 스 타일을 살펴볼 수 있는 시발점이 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증3화음이 표면적인 사용에 서 벗어나 거시적인 조성구조로 확장되고, 그 안에서 관계없이 나열되는 화성진행들도 증3 화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났다.
        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chenker's monumental treatise Der freie Satz (1935), he presented a tonal scheme of major-third harmonic progression as an analysis of "Das Ständchen" from Gedichte von Eichendorff (1880-1888) by Hugo Wolf (1860-1903). His sketch is unusual because it has no structural dominant using symmetrical divisions of the octave by third. Even though some theorists have accepted to construct the chromatic third progression as a tonal scheme with the music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 process of harmonic evolution in tonal structure has been overlooked. The general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how the third harmonic scheme has been established.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examines a process of harmonic evolution from the diatonic third to the chromatic third presenting a model for the progressions. This examination leads to some analyses of music from Liszt, Beethoven, and Tchaikovsky, discussing how the third harmonic progression has been gradually changed as an overall tonal structure. In this paper, bass-line sketch and Tonnetz are used as analytical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