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맥류의 종속간 교잡에 관한 연구 제1보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물질의 처리가 교잡종자 생산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the Intergeneric Crosses in Triticeae - Ⅰ. Influence of Crossing Methods and Chemicals on the Hybridization Rate in Wheat-barley Cross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0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속간교잡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 물질로 알려진 EACA와 GA3 의 처리가 결실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교배시기에 있어서 뢰수분과 노화수분중 어떤 처리가 교잡종 생산에 유리한가를 검토하여 생장조절제인 EACA와 GA3 를 함께 처리한 구와 EACA만을 처리한 구를 두고 생장조절제의 효과도 아울러 구명코저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 소맥 속간교잡을 실시할 때는 노화수분의 결실율(4.5%)이 뢰수분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배형성율은 오히려 뢰수분쪽이 높았다. 2. GA3 처리 효과는 크게 인정되었으나 EACA 단독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대맥 소맥을 속간교잡하여 2개체의 형태적으로 소맥쪽을 더 닮은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는 생육이 진행될수록 더욱 소맥과 유사하였다. 이밖에도 시험관내에서 얼마간 자란 9개의 식물체도 얻을 수 있었다.

The trials were carried out for improvement of early maturing wheat varieties, desease resistant and good quality through transfering good characters of barley to the wheat, during 1980-'81. For these purpose, Chinese Spring, a wheat variety was used as male and Manker 16 a barley variety, as female parents. EACA(~varepsilon -Amino Caprolic Acid) known as an inhibitor of blood coagulation was injected to all barley from 14 days until heading with 1m~ell per culm at the level of 500ppM. GA3 solution which accelerates pollen activity was also used with 75ppM concentration after pollination for two days including check to determine the single effect of EACA. Two different methods of the cross were used. One was bud-pollination, another was post-pollin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ost-pollination was better than bud-pollination in terms of pollination rate, even though formation rate of normal embryo was seemingly adversed. The new plant derived from barley-wheat cross was similar in phenotype to the wheat.

저자
  • 金鳳淵(맥류연구소) | 김봉연
  • 洪丙憙(맥류연구소) | 홍병희
  • 曺章煥(맥류연구소) | 조장환
  • 諸商律(경북대학교 농학과) | 제상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