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8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속간교잡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 물질로 알려진 EACA와 GA3 의 처리가 결실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교배시기에 있어서 뢰수분과 노화수분중 어떤 처리가 교잡종 생산에 유리한가를 검토하여 생장조절제인 EACA와 GA3 를 함께 처리한 구와 EACA만을 처리한 구를 두고 생장조절제의 효과도 아울러 구명코저 시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 소맥 속간교잡을 실시할 때는 노화수분의 결실율(4.5%)이 뢰수분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배형성율은 오히려 뢰수분쪽이 높았다. 2. GA3 처리 효과는 크게 인정되었으나 EACA 단독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대맥 소맥을 속간교잡하여 2개체의 형태적으로 소맥쪽을 더 닮은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는 생육이 진행될수록 더욱 소맥과 유사하였다. 이밖에도 시험관내에서 얼마간 자란 9개의 식물체도 얻을 수 있었다.
        2.
        196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건종 담배의 생육에 미치는 Gibberellin의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경북지방 장려품종 청주엽, 태야, 향초들을 포장에서 절간신장초기에 100, 200, 300 P.P.M.으로 3회산포하여 발전기에 형태적변화를 조사하였고 각기 적기에 수확건조하여 생엽종과 건조중을 비교하였다. 1. 경엽의 신장은 300 P.P.M.에서 최고이었고 경은 33.05%∼55.22%, 엽은 16.96∼50.69% 증가괴었으며 경엽과 엽폭은 감소되어 엽폭은 최소 70.42∼83.66%로 감소되었다. 2. 엽수는 모든 품종이 Gibberellin처리로 증감이 없었다. 따라서 간장의 증가는 주로 절간장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3. 생엽종의 증가는 엽신장의 증가에 일치하지 않고 200P.P.M.에서 최고로 12∼13.9% 증가하였으며 엽색은 신장에 따라 희박하여졌다. 4. 건엽종도 200 P.P.M.에서 최고에 달하여 9∼12.2% 증가되었으며 건조화율은 엽신장에 따라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