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물콩 및 밥밑콩 품종들의 재식밀도에 따른 광이용 수량반응 KCI 등재

Yield Response and Light Utilization to Planting Density in Soybean Cultivars for Bean Sprouting and for Cooking with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6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한국의 전통적 식생활과 관계가 깊은 나물용, 밥밑용 대두품종들의 수?성과 증수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식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나물용품종으로 단엽콩, 밥밑용품종으로 검정콩과 장려품종인 팔달콩을 m2 당 10본에서 80본까지 5가지 재식밀도에서 시험하였다 1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품종 모두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물중은 늘어났으며 LAI는 협비대 중기에서 종실비대기 사이에서 최대에 달하였고 밀도에 따라 단엽콩은 6-10, 검정콩은 5-9, 팔달콩은 5-8을 나타내었다. 한계 LAI는 품종에 따라 5.4-6.2로 추정되었고 엽적밀도에 따라 군락내 지표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종실수량은 단엽에서 m2 당 40본에 이를 때까지 계속 증가하여 444.5kg/10a으로 최고수량을 나타내었고 그이상의 고밀도에서는 감소하였다. 반면 검정콩은 밀도에 따른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팔달콩은 최고밀도인 80본까지 증가하여 405.7kg/10a의 최고수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래수와 입수는 밀도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고 100입중은 검정콩에서 약간 감소하였을 뿐 큰영향은 없었다. 3 엽면적 source와 종실 sink의 증가는 단엽콩과 팔달콩에서 수량증가로 나타날수 있었으나 대입종인 검정콩에서는 증수에 기여하지 못하여 수량성이 낮은 품종으로 결론지었다.

Soybean cultivars for bean sprouting, and for cooking with rice are related closely with Korean dietary tradition, but their yields have been kept in low level. The yielding responses of Danyup, a cultivar for bean sprouting and Gumjung, a cultivar for cooking with rice were compared with Paldal as standard cultivar in planting density within 10 to 80 plants per ㎡. Yield of Paldal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increased from 10 plants up to 80 plant/㎡. But, Danyup reached at threshold as planting density reached up to 40 plants/㎡. Gumjung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within planting density. Danyup had the highest yield, 445 kg/l0a at 80 plants/㎡. The highest yield of Paldal was 406kg/10a at 40 plants /㎡ while Gumjung had 373kg/ l0a at 40 plants. The yield responses of cultivars were influenced by canopy structure and light utilization. Paldal had short and straight canopy with determinate growth habit responded well at the heavy density, and had 6.2 in critical LA!. But Gumjung, tall and dense canopy with indeterminate growth habit had limited utilization of light within canopy with 5.4 in critical LAI and high rate of lodging. Gumjung was concluded as a low yielding cultivar, since it did not have good response to increasing source size and sink number.

저자
  • 李浩鎭(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이호진
  • 金弘植(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김홍식
  • 李弘䄷(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이홍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