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들깨 지방수집종의 기름함량 및 오메가 지방산 조성 차이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 of Oil Content and Omega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 Local Peril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8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들깨 수집 재래종 317품종을 공시하여 기름 함량과 오메가 지방산 조성등을 분석 조사하여 고함유 오메가-3 지방산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 들깨 317품종의 기름 함량은 35.6~55.3%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44.5%이었다. 2. 공시 317품종의 총 불포화지방산은 92.2%였으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7.8%였으며 지방산조성은 ~omega-9 지방산 (Oleic acid) 함량변이는 9.5~21.37% (평균 15.2%), ~omega-6 지방산(linoleic acid) 함량변이는 9.1~20.4%(평균 13.9)이었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은 50.6~70.5% (평균 63.1%)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4. ~omega-3계 지방산 함량은 경북 예천종이 70.5%로 가장 많으면서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경남 고성종은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기름 함량과 stearic acid와 ~omega-3계 지방산과는 유의적인 정 상관이었으며 ~omega-6계 지방산과는 고도의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omega-3계 지방산은 ~omega-6/~omega-3 지방산 비율 및 포화지방산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materials on the oil quality improvement of perilla seeds. Oil contents and omega(~omega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eds were investigated to 317 varieties of domestic perillas. Oil contents of 317 perilla varieties ranged from 35.6 to 55.3 with 44.5% of varietal mean. The major omega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oil were oleic acid(~omega -9) 15.2%, linoleic acid(~omega -36) 13.9% and linolenic acid(~omega -3) 63.1% in the mean value. Varietal variation of ~omega -9, 6 and 3 fatty acids ranged of 9.5~21.4%, 9.1~20.4% and 50.6~70.5% respectively. Unsaturated fatty acid were averaged 92.2% of seed oil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ratios of ~omega -6 to ~omega -3 ranged of 0.13~0.34%(0.22% in mean value). The highest linolenic acid variety was Yecheonjong being 70.5%. The lowest variety in rations of ~omega -6 to ~omega -3 was Goseongjong being 0.13%. Oil cont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oil content and linoleic aci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lionolenic acid and the ratios ~omega -6 / ~omega -3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ly correlat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 negatively being r=-0.723**

저자
  • 柳守魯(작물시험장) | 류수노
  • 李正日(작물시험장) | 이정일
  • 李孝承(작물시험장) | 이효승
  • 朴忠範(작물시험장) | 박충범
  • 成炳列(농업유전공학연구소) | 성병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