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들깨 수집 재래종 317품종을 공시하여 기름 함량과 오메가 지방산 조성등을 분석 조사하여 고함유 오메가-3 지방산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 들깨 317품종의 기름 함량은 35.6~55.3%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44.5%이었다. 2. 공시 317품종의 총 불포화지방산은 92.2%였으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7.8%였으며 지방산조성은 ~omega-9 지방산 (Oleic acid) 함량변이는 9.5~21.37% (평균 15.2%), ~omega-6 지방산(linoleic acid) 함량변이는 9.1~20.4%(평균 13.9)이었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은 50.6~70.5% (평균 63.1%)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4. ~omega-3계 지방산 함량은 경북 예천종이 70.5%로 가장 많으면서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경남 고성종은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기름 함량과 stearic acid와 ~omega-3계 지방산과는 유의적인 정 상관이었으며 ~omega-6계 지방산과는 고도의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omega-3계 지방산은 ~omega-6/~omega-3 지방산 비율 및 포화지방산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되었다.
        2.
        199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품종의 온도와 일장에 따른 항산화성분 함률차이를 조사하여 참깨 재배기술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무분지형 단백깨와 수원깨 및 분지형 안산깨와 한섬깨를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온도와 일장을 달리 처리하여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장과 온도처리에 따른 참깨 항산화함량의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2. 온도의 차이에 따라 20/15℃ (주간온도/연간온도)에서 sesamin 0.22%, sesamolin 0.16% 인데 비하여 30/25℃ 에서는 sesamin 0.28%, sesamolin 0.19%를 보여 저온조건 보다는 고온조건에서 항산화 성분함량이 높았다. 3. 일장의 차이에 따라 11시간 일장에서 sesamin 0.24%, sesamin 0.26%, sesamolin 0.20%와 큰 차이가 없었다. 4. 따라서 참깨 항산화성분 함량은 일장의 길이보다는 온도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