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야생더덕 수집종의 노지 재배시 생육 특성과 향기성분 조성 KCI 등재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romatic Compositions of Korean Wild Codonopsis lanceolata Collections Cultivated in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0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한국산 야생더덕 수집종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동위산소 패턴 및 향기성분 조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더덕 군락지역은 표고 450∼800m에 걸쳐 자생하였고 표고 450m 이하와 800 m이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2. 야생더덕 자생지의 조도량은 1,970∼8,400 Lux로 노지 재배지인 안동의 약 8.3%에 불과한 약광상태였다. 3. 자생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은 pH은 4.8∼6.4정도로 산성을 띠는 토양이 많았으며 유효인산함량은 9∼23ppm으로 매우 낮았고 유기물 함량은 4.0∼32.1%로 일반 밭 토양 2.8%보다 훨씬 높았다. 4. 자생지의 식생군락은 천남성, 곰취, 잔대, 쥐오줌풀 등의 초본류와 단풍나무, 생강나무, 조팝나무, 참나무 등의 목본류가 주로 생육하는 개엽수림하에서 자생하고 있었다. 5. 야생더덕 수집종의 안동 재배지에서 지상부 생육은 개화기가 8월 5일에서 8월 16일로 소백산더덕이 가장 빠른 개화특성을 보였고, 특히 자방수는 일월산 더덕이 평균 3.2개로 다른 지역수집종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종자수는 주왕산 더덕이 평균 121개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6. 야생더덕 수집종간의 단백질 밴드 및 동위효소 패턴은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동위효소인 peroxidase의 경우 잎 조직은 덕유산 더덕, 뿌리 조직은 학가산 더덕, 덕유산 더덕, 일본산 더덕의 차이가 다소 인정되었고, esterase의 경우 잎 조직에서는 가야산 더덕, 오대산 더덕, 청량산 더덕이 차이를 보였고, 뿌리조직에서는 덕유산 더덕에서 차이가 있었다. 7. 수집종간의 식물정유에 대한 수율은 평균 0.007%인 것에 비하여 덕유산 더덕이 0.009%로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소백산 더덕을 비롯한 10개 지역의 더덕은 0.004∼0.007% 정도를 보였다. 8. 향기성분 조성에 있어서는 수집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리산 더덕에서는 식품분야에서 식용유지나 가공식품의 산패를 방지하는 등 장기보존용의 물질로 사용되는 저산화 물질인 BHT 성분이 동정되었고 주된 성분은 지방족 알콜류가 11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trans-2-hexanol, cis-3-hexanol, 1-hexanol등의 향기성분은 모든 수집종에서 높은피이크 면적(%)을 나타내어 금후 고방향성 더덕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유망시되었다.

The native ecological environment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Korean wild Codonopsis lanceolata and one Japanese strain were investigated to find Codonopsis lanceolata strains showing high aromatics, and to know regional differences among these stra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Korean wild C. lanceolata strains in ecological environments.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s was highest in Togyusan strain with 0.009%. Difference in protein band patterns among these strains was not recognized, and peroxidase and esterase pattern changes were appeared in different collected regions at the leaf and root tissues. Major aromatic constituents were 11 kinds of aliphatic alcohols such as trans-2-hexenal, 1-hexanol, cis-3-hexanol, and trans-2-hexanol. And Togyusan strain, Sobaeksan strain, and Kayasan strain have the highest aliphatic alcohols of plant essential oils. In particular, BHT(butylated hydroxytoluene), one of the antioxidants, was detected in Chirisan strains.

저자
  • 李承弼(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이승필
  • 金相國(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김상국
  • 閔基君(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민기군
  • 趙知衡(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조지형
  • 崔富述(경상북도 농촌진흥원) | 최부술
  • 李相哲(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이상철
  • 金吉雄(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김길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