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완효성비료 효과 KCI 등재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Growth and Yield in Rige Direct Dry Seeding for Water-saving Rice 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5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매시 완효성비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표준시비(N-160kg/ha) 대비 완효성비료(LCU: 18-12-13%)를 기비로 100%와 80% 시용구 및 기비로 60% 시용하고 속효성비료인 요소로 분얼비 또는 수비로 20%씩 각각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LCU 100%에서 가장 컸고, LCU 시비량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2.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LCU 100%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시비효율은 LCU 60% + 수비(요소) 2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처리간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m2 당 수수와 m2 당 립수는 LCU 100%에서 가장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는데, 쌀 수량은 관행인 속효성 시비구 대비 LCU 100%에서 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담직파재배에서 관개수 부족시 절수재배가 필요하여 이때에 완효성비료로 시비할 경우 표준시비량(N-160kg/ha) 수준으로 시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low release fertilizer (LCU) o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ying cultural system. During 1999-2000,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arried out at field (Chonbuk series)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using Dongjinbyeo.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during the total growth duration were the longest and panicle umber per m2 was the highest in 100% LCU application rate. Leaf area index and top dry weight were the highest in the 100% LCU application rate. They increased as more LCU was applied. Nitrogen uptake was the highest in 100% LCU application, and N use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LCU 60% + FP (fertilization at panicle formation stage) 20% application. Milled rice yield was 7% higher in 100% LCU application rate than that of conventional N application. Ripened grain rate and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did not differ, but panicle number per m2 and grain number per m2 were the highest at 100% LCU application.

저자
  • 최원영(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최민규(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김상수(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이재길(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 이문희(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