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간 조도에 따른 벼 품종별 출수 반응 KCI 등재

Varietal Difference in Heading Date of Rice by Night Illum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6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최근 고속화 도로의 건설 등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야간조명이 급증되고 있는 상황하에서 야간 조도에 따른 벼 생태형 및 품종별 출수 반응을 검토하고자 극조생종, 조생종, 중생종 및 중만생종의 품종을 각각 3품종씩 12품종을 선별하여 1.0-70.0 lux(0.005-0.196W m2, 0.11-0.98 umol2s1)의 광도에서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야간조명에 의한 벼의 출수반응은 야간 조도가 높을 경우 출수기와 수전기가 지연되었으며, 지연 정도는 중만생종 >중생종 >조생종 >극조생종의 순이었고, 특히 중생종인 광안벼와 중만생종인 일품벼는 출수까지 일수가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나, 중생종인 안산벼는 조생종과 유사하여 수량에도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태형에 따른 야간 조도 1 lux당 출수지연 일수는 극조생종은 0.09-0.10일, 조생종은 0.14-0.26일, 중생종은 0.16-0.58일, 중만생종은 0.35-0.54일이 지연되었다. 품종에 따른 야간 조도 1 lux당 출수지연 일수는 조생종 중에서 대진벼(0.14일), 중생종 중에서는 안산벼(0.16일), 중만생종 중에서는 대안벼(0.35일)가 가장 짧았으며, 일품벼(0.54일)와 광안벼(0.58일)는 현저하게 지연일수가 길어 광에 민감하므로 수량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었다. 생태형별 수전일수는 야간 조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50-70 lux에서는 극조생종은 0-1일, 조생종은 -1-1일, 중생종은 0-l6일, 중만생종은 6-18일 연장되었다. 품종별 수전일수는 야간 조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50-70 lux 에서는 극조생종의 모든 품종과 조생종의 그루벼와 대진벼 및 중생종의 안산벼는 0-2일 연장되었으며, 조생종의 대진벼는 1일이 단축되었고, 화성벼, 대안벼 및 추청벼는 6-9일 연장되었으며, 광안벼 및 일품벼는 16-18일 연장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varietal and ecological difference of rice in heading date by night illumination. The degree of delay in heading date and days from heading initiation to full heading (DHIF) of rice were in the order of mid-late maturing cultivars (MLC)> medium maturing cultivars (MEC) >early maturing cultivars (EAC) >very early maturing cultivars (VEC). However, the MEC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in days to heading; Kwanganbyeo delayed significantly, but Ansanbyeo did not. The comparative sensitivity of different rice ecotypes per lux in delayed heading was 0.09-0.10, 0.14-0.26, 0.16-0.58, and 0.35-0.54 day in VEC, EAC, MEC, and MLC, respectively; the shortest ion Odaebyeo (0.09 day), moderate in Daeanbyeo (0.35 day), and the longest in Kwanganbyeo (0.58 day). Difference of DHFI was 0.-1 day in VEC, -l-2 days in EAC, 0-l6 days in MEC and 6-18 days in MLC under 50-70 lux compared to 2 lux; Daejinbyeo (-1 day), Hwaseongbyeo (6 days), Chucheongbyeo (9 days), Kwanganbyeo (16 days), and Ilpumbyeo (18 days).

저자
  • 김충국(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조현숙(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최성호(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이진모(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 변종영(충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