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물용 콩 풍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KCI 등재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3 립 협이 80.9~77.5% 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 on yield component and yield in sprout-soybean. Six sprout-soybean cultivars were planted on three sowing dates in 2000 and 2001. 100-seed weight, number of seeds per pod, number of seeds,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ratio of empty pods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sowing dates and cultivars. All yield components except the 100-seed weight and number of seeds per pod diminished recording where the sowing day will be late. The ratio of pods with two or three seeds was 77.5 from 80.9 percents. The ratio of two-seed pods were affected by sowing date. The yield of soybean of May 25 sowing was 290 kg/10a followed by June 15 and July 5 sowing with 269 kg/10a and 221 kg/10a, respectively Late sowing greatly decreased the yield of Doremikong, while yields of Tawonkong were more a less stable. In 2000, yiel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pods per plant, number of seeds per plant, dry weight, leaf area, and oil content. While yield of 2001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umber of nodes on main stem, stem thickness, number of pods per plant, dry weight, and leaf area

저자
  • 김학신(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 김홍식(충북대학교)
  • 김경호(농촌진흥청)
  • 오영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