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친화적 및 친화적 레이스의 혼합접종에 따른 벼흰잎마름병 발병도의 변화 KCI 등재

Variation of Disease Severity by Mixed Inoculation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Races of Bacterial Blight i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 Xa1, Xa 3 및 Xa7을 가진 단인자 근동질 유전자계통에 일본의 대표균주(T7174, T7147, T7133)를 단독 및 혼합 접종하여 친화적 및 비친화적 균주의 상호작용에 따른 벼흰잎마름병 발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a1 유전자를 갖는 IRBB 101 계통은 벼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T7147와 T7133 균주에는 친화적 관계로, T7174 균주에는 비친화적 관계로 작용하였다. Xa3 유전자를 갖는 IRBB 103 계통은 유묘기에서는 3 균주가 친화적 관계로 반응하였으나 출수기에 비교적 안정된 저항성을 나타냈다. Xa7 유전자를 갖는IRBB 107은 유묘기 접종에서는 3 균주가 비친화적 관계에 유사한 반응을 나타냈고, 최고분얼기 접종에서는 대부분 저항성으로 반응하였으며, 출수기에는 모두 강한 저항성으로 반응하여 비친화적 관계로 변화하였다. 친화적 균주와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병반장이 감소하는 경향 이였고, 친화적 및 비친화적 관계가 확실치 않는 경우는 병반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친화적 균주의 단독 접종보다 대체로 병반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단독 접종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어 병반장의 변화가 적었다. Xa7 유전자를 갖는 IRBB 107 계통은 벼의 생육기간동안 사용된 3 균주 모두에 저항성으로 반응하여 가장 안정된 저항성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of near-isogenic lines containing one of Xa1, Xa3, and Xa7 resistance genes with Japanese bacterial blight isolates (T7174, T7147, and T7133) were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bacterial blight resistance and the stability of resistance gene. IRBB 101 line having a Xal gene was compatible (host susceptible) with T7147 and T7133 isolates but incompatible (host resistant) with T7174 isolate at all the tested rice growth stages. IRBB 103 line having a Xa3 gene was susceptible or moderately resistant to the three isolates at seedling and maximum tillering stage but resistant at heading stage. IRBB 101 line having a Xa7 gene was semi-compatible with the three isolates at seedling stage but incompatible at the other growth stages. Overall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etween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of rice with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races. In the mixed inoculations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solates, the lesion length from near-isogenic lines decreased as the ratios of incompatible races increased. When the distinction between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solates was unclear, there was almost no variation of lesion length regardless of mixed ratios. The pathogenicity of the mixed races in the incompatible Interactions increased rather than the individual inoculation whereas the lesion length of compatible interactions was similar to that of the individual inoculation. These data indicate the incompatible races inhibit the virulence of a compatible race but compatible races increase the disease occurrence due to incompatible races. Furthermore, IRBB 107 line that showed resistance to all the isolates at all the tested growth stages was considered as a good parent f3r breeding of resistant variety.

저자
  • 김보라(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이은정(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
  • 최재을(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