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한계기 구명 KCI 등재

Critical Date of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ey Cropping at Honam Plai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 한계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1998~1999 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조생종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 중생종 금오벼 1호, 주안벼를 공시하여 6월 5일, 6월 10일, 6월 15일, 6월 20일에 10 a당 7 kg씩 담수표면산파하여 생육 및 쌀 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68~81% 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입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도복은 오봉벼, 주안벼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삼천벼, 상미벼, 금호벼 1호는 도복발생이 심했다. 3. 안전출수기로 본 파종한계기는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의 경우 6월 20일까지, 금오벼 1호와 주안벼는 6월 15일까지였다. 4. 쌀 수량은 6월 5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은 파종기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6월 15일 이후 파종에서는 수량감소가 컸다. 5.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출수기, 수량 등을 고려한 파종한계기는 6월 10일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ritical date for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ey harvest in Honam plain areas. Three early maturing cultivars of Samchonbyeo, Sangjubyeo and Obongbyeo and two medium maturing cultivars of Geumobyeo 1 and Juanbyo were tested under four different seeding dates. Seedling stand was higher with earlier seeding date with the range from 68 to 81% then later seeding date. Field lodging occured severely in Samchonbyeo, Sangjubyeo and Geumobyeo 1, while it was not apparent in Obongbyeo and Juanbyo. In consideration of threshold heading date, critical seeding date was June 20 in Samchonbyeo, Sangjubyeo and Obongbyeo of early maturing cultivars, and June 15 in Geumobyeo 1 and Juanbyo of medium maturing cultivars. Milled rice yield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eding date of June 15 or late. These results implied that critical date of seeding for wet direct seeding after barley cropping in Honam plain area was June 10.

저자
  • 백남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민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홍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남정권(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고종철(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상수(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보경(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정곤(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